• 제목/요약/키워드: electronic records

검색결과 734건 처리시간 0.029초

전자기록 환경에서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raisal in Electronic Records Environment)

  • 김명훈
    • 기록학연구
    • /
    • 제11호
    • /
    • pp.91-122
    • /
    • 2005
  • Appraisal is a basic archival function that analyzes values of records and determines the eventual disposal of records based upon their archival values. In electronic records environment, however, appraisal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appraisal system that mainly is based on paper records. Since electronic records don't have physical entity and strongly depend on computer technologies, archivists fall into various dilemma in appraisal of electronic records. Moreover, because creation environment of electronic records is remarkably complex and diversified, appraisal of electronic records cannot be done until the later stages of the life cycle of the records. In Korea, appraisal system is founded on the Tables of Transaction for Records Scheduling through which disposal activities of all records are definite in a concrete form. However, there are little institutional infrastructures associated with appraisal of electronic records. Therefore this paper will intend to analyze characteristic features about appraisal of electronic records as a preliminary study for establishing appraisal system of electronic records in Korea. For this purpose, I have firstly compared creation environment of electronic records with traditional creation environment mainly based on paper records, and analyzed differences between appraisal of electronic records and traditional appraisal system based on paper records in view of recordness of electronic record. then I have examined functional appraisal that focuses on functions and activities in which the records are created and used, and discussed about main issues in relation to establishing appraisal system of electronic records.

전자기록의 진본성 유지를 위한 전략 (Maintaining the Authenticity of Electronic Records in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s)

  • 서혜란;서은경;이소연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41-261
    • /
    • 2003
  •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은 전자기록이 자생적으로 갖고 있는 취약성과 가변성과 같은 특성 때문에 전자기록의 진보성 유지 측면을 충분히 반영시켜야 한다. 복제와 변조가 수월하고 장기보존 시포맷변환을 시켜야 하는 전자기록에 대한 진보성 유지는 도전하기 어려운 과제이기는 하나 정확한 역사 기술의 전제가 되는 기록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절대로 회피할 수 없는 과제이기도 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자기록의 진본성 유지를 위한 전략을 검토함으로써 향후 신뢰할 수 있는 전자기록관리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도움을 주는것을 목적으로 하여, 우선 기록 및 전자 기록의 의미, 진본성 그리고 진본성 평가를 위한 요건을 소개하였다. 또 시스템에서 전자기록의 진본성을 유지하기 위한 원칙, 전자기록의 진본성에 대한 오디트 트레일이 가능하게 하는 지적 정보 기술 방안과 시스템에서 구축해야 할 자본성 유지 메커니즘을 제안하였다. 마직막으로 전자 기록의 진본성 유지와 관련하여 시사점을 제시한 전자기록 관련 시스템 표준을 살펴보았다.

신뢰성 있는 전자기록관리를 위한 법적 기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egislative Requirements for Trusted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 서혜란;서은경;이소연;오경주;정원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193-218
    • /
    • 2004
  • 전자정부 사업의 본격적인 추진과 함께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는 전자기록물을 이제는 통합적이며 신뢰성 있게 관리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전자기록관리가 신뢰성 있게 수행되기 위해서는 전자기록물의 생산부터 유통, 관리, 활용, 보존 그리고 폐기에 이르는 모든 절차를 아우르는 법규가 구축되어야 한다고 보고 그 전단계로 이러한 법규가 갖추어 야 할 기본요건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하여, 먼저 국내의 관련 법규들을 수집하고 그 내용이 신뢰성 있는 기록관리시스템 구축에 유용한지를 검토하였고, 다음에는 미국, 영국, 캐나다, 호주의 관련 법규 및 정책을 수집하여 그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전자기록물의 특성과 기록관리 이론을 고려하여 전자기록관리를 위한 법적 기반을 구축하는데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는 기본 요건들을 제시하였다.

클라우드 저장소를 활용하여 기록생산시스템에서 기록관리시스템으로 전자기록물을 이관하는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nsferring Electronic Records from Record Production System to Record Management System Using Cloud Storage)

  • 김주영;김순희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24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전자기록물을 전자기록생산시스템에서 기록관리시스템으로 이관할 때 발생되고 있는 디지털컴포넌트의 무결성 훼손 문제를 해결하고자 클라우드 저장소를 활용한 기록물의 논리적 이관방안을 제안하였다. 생산단계에서부터 클라우드 저장소를 활용하여 전자기록물을 생산하고, 이를 기록관으로 이관하는 전자기록물의 논리적 이관 방식은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최근에 점차 확대되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공공기관의 업무방식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록물관리 방안이다. 둘째, 전자기록물을 복사하여 물리적으로 이관하는 기존의 방식보다 논리적으로 보관권한 만을 이양함으로서 전자기록물의 이관 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위험 요소를 줄일 수 있다. 셋째, 전자기록물의 물리적인 이관에 따른 디지털컴포넌트의 오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전자기록물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다. 넷째, 전자기록물의 이관업무 수행을 위해 낭비되고 있는 행정력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전자정부 추진과 기록관리방안 (A Study on the Promotion of Electronic Government and Plans for Archival Management)

  • 김재훈
    • 기록학연구
    • /
    • 제5호
    • /
    • pp.39-85
    • /
    • 2002
  • This paper is aimed at proposing the policies for managing archives in the process of promoting Electronic Government System.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f electronic government project and plans for its establishment, this research examines the electronic government system and its problems on the basis of archival science. What I acquired in this paper is as follows.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needs great changes ranging from the nation to the individuals. It becomes common that the use of computerized program for business purposes, computerization of information materials and the effective way of search use of electronic documents. Therefore, more and more countries all over the world have been seeking to promote 'Electronic Government', which applies the fruits of the development in information technology to administration process. Recently, Korea has been rapidly entered into the 'Electronic Government' system being against the traditional way of administration. In electronic government system, the 'Life Cycle' of public records will be computeriz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change and develop along with the government's policies for 'electronic government project' in the archival management system. This means that the archival management system which have put emphasis on the textual records should be converted to electronic records system. In other words, the records management in electronic government system requires not the transfer and preservation of the records but the consistent management system including the whole process of creating, appraising, arranging, preserving and using the records. So, the systematic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alization of electronic government, but it is a subject to be realized by electronic government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government have overlooked the importance of archival management for long time, especially the importance of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First of all, this research attempts to infer limits and problems through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the existing studies for electronic government and to clear up the relations between electronic government and archival management. Based on this, I'll seek to progress the study through reviewing the present condition of archival management in the process of promoting electronic government and suggesting the policies for enhancing the successful electronic government and the construction of scientific archival management system. Since early 1990, many countries in the world have been making every effort to concrete 'Electronic Government'. Using the examples in other nations, it is not difficult to recognize that the embodiment of electronic governmen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archival management policies. Korea have completed legal and institutional equipments including the new establishment of "Electronic Government Law" to realize electronic government. Also, Korea has been promoting electronic government with th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Government Computer Center as a leaders. Though managing records, especially the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is essential in electronic government system, we haven't yet discussed this section in Korea. This is disapproved by the fact the Government Archives and Records Service has played little role in promoting electronic government project. There are two problems relating this environment. First, present system can't meet the consistent 'Life Cycle' ranging from the creation to the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Second, the 'Life Cycle' of electronic records is divided into two parts and managed separately by GCC and GARS. The life of records is not end with the process raged from creation to distribution. On the other hand, the records are approved their value only whole procedures. Therefore, GARS should play a deading role in designing and establishing the archival management system. The answer to these problems, is as follows. First, we have to complete the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through introducing ERMS not EDMS. This means that we should not change and develop towards ERMS simply with supplementing the current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system. I confirm that it is important and proper to establish ERMS system from the very beginning of the process of promoting electronic government. Second, I suggest the developmental integration of GARS and GCC. At present, the divided operations of GCC and GARS, the former is in charge of the management center for electronic business and the latter is the hub institution of managing nation's records and archives result in many obstacles in establishing electronic government system and accomplishing the duties of systematic archival management. Therefore, I conclude that the expansive movement towards 'National Archives' through the integration among the related agencies will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realization of electronic government and the establishment of archival management system. In addition to this, it will be of much help to constitute and operate the 'Task Force' regarding the management of electronic records with the two institution as the central figures.

손상된 전자기록물 구분과 복원 방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lassification and Recovery Method of Damaged Electronic Records)

  • 김지훈;최원혁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29권1호
    • /
    • pp.139-147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손상된 전자기록물을 구분할 수 있는 방법과 손상 형태별 전자 기록물 복원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되는 구분 엔진과 복원 엔진은 전자기록물의 형태 및 구조를 기반으로 손상 전자 기록물을 분류하고, 손상된 형태에 따라 복원 확률을 높인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멸실되는 전자기록물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하고, 이를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전자문서의 영구보존을 위한 표준화 연구 동향 (Understanding the Ongoing Archival Research on the Permanent Preservation of Electronic Records)

  • 박은경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7-117
    • /
    • 2002
  • 전자형태를 띄고 있는 문서와 데이터가 널리 보급됨에 따라 전자문서의 유약성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을 보완하고 이를 영구보존하여 전자문서의 이용을 극대화하려는 다각도의 연구들이 1990년대 이래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 글은 북미를 중심으로 서구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전자문서 보존과 이용에 관한 최근 연구동향을 국내에 소개하고 이해하는데 기여하며, 그 중에서 세계적 규모로 진행중인 InterPARES Project의 성과와 특징을 살펴봄으로 전자문서의 영구보존을 위한 개념의 정립과 그 보존에 대한 이해를 돕고, 아울러 한국적 모색을 마련하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자기록관리정책의 재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designing Electronic Records Management Policies)

  • 이승억;설문원
    • 기록학연구
    • /
    • 제52호
    • /
    • pp.5-37
    • /
    • 2017
  • 이 연구는 기록관리의 내외적 환경변화에 대응하여 전자기록관리정책이 전면 재설계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재설계 영역과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첫째, 그간의 전자기록관리정책조사를 통해 전자기록관리대상의 포괄성, 프로세스의 기술 친화성, 전자기록의 증거력 보장, 전자기록의 장기보존이 주요 추진목표임을 확인하였다. 둘째, 그러한 정책목표 추구과정에서 새롭게 조성되고 있는 환경 변화를 검토하였다. 셋째, 앞에서 정리한 정책목표와 기록관리 환경의 변화를 고려하여 현행 전자기록관리 정책의 현황과 문제점을 국가기록원의 관련 문서와 보고서, 데이터를 토대로 검토하였다. 넷째, 정책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토대로 재설계되어야할 정책 영역과 방향을 제안하였다. 특히 '데이터형 전자기록'이라는 새로운 유형의 전자기록을 핵심 관리대상으로 설정할 것을 강조하면서 정책 재설계 영역을 관리 패러다임의 전환, 절차적 관점에서의 신뢰 보장, 지속가능한 관리체계의 조성으로 잡고 정책방향을 제시하였다.

종이의무기록과 전자의무기록의 기재 충실도 및 일치도 비교 연구 : 의사의 입원.퇴원기록지와 간호사의 입원.퇴원간호정보기록지를 중심으로 (A Study of Comparing the Paper-Based Medical Record with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 on the Level of Medical Record Completeness and the Accordance)

  • 신아미;정선주;이인희;손창식;박희준;김윤년;윤경일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12
    • /
    • 2010
  • This study was tried to evaluate the level of completeness and the accordance in electronic medical records by comparing paper-based medical record in doctor's admission records, discharge summary, and nursing information records. Medical records of inpatients of neurology department that the 100 paper-based medical records in 2004 and 100 electronic medical records in 2006 were targeted. Existence of record items and doctor-nurse record accordance were evaluated in doctor's admission record, discharge summary, admission nursing information record, and discharge nursing information record. There were not any differences between electronic medical records and paper-based medical records in doctor's admission record and discharge summary. Electronic medical records had less missing records than paper-based medical records in admission and discharge nursing information records. Electronic medical records showed higher accordance than the paper-based medical record in doctor-nurse record generally, but there were statistically differences in only medication, allergy, smoking, and drinking (p<0.05). In this study, it was verified that the quality of electronic medical records are better than paper-based records in nursing information record and doctor-nurse record agreement.

  • PDF

복합전자기록물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에 관한 연구 - 이러닝 콘텐츠의 디지털 컴포넌트를 중심으로 - (A Study of Metadata for Composite Electronic Records Archiving: With a Focus on Digital Components of E-Learning Contents)

  • 이인혁;박희진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15-138
    • /
    • 2017
  • 전자기록물의 유형은 다양해지고 있으며, 기능성이나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을 포함하며 여러 종류의 전자기록으로 구성된 기록물인 복합전자기록물들이 증가하고 있다. 복합전자기록물의 지속적인 접근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아카이빙을 지원할 수 있는 메타데이터 구축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이러닝 콘텐츠인 복합전자기록물의 아카이빙을 위한 메타데이터 요소를 설계하여 제안하였다. 국내외의 장기보존을 위해 설계된 포맷 레지스트리의 구성요소를 비교 분석하여 디지털 아카이빙에 필수적인 공통 메타데이터 요소를 도출하고, 간호 분야 이러닝 콘텐츠의 보존 속성을 조사, 분석하여 이를 반영할 수 있도록 메타데이터 요소를 확장, 추가하였다. 분석결과를 통해 복합전자기록물 아카이빙을 지원하는 메타데이터 상위요소 25개와 138개의 하위요소가 제안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