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mbankment on soft ground

검색결과 148건 처리시간 0.038초

제방성토에 따른 연약지반의 측방변위와 연직변위의 상관관계 분석 (Correlation between Lateral and Vertical Deformation of Soft Ground under Embankment)

  • 정하익;진현식;김경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57-364
    • /
    • 2000
  • This paper starts with reviewing general patterns of deformation of the soft ground with by embankment. Correlation between lateral and vertical deformation of soft ground under embankment are analyzed and discussed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Yangsan test embankment on treated soft ground with vertical drains.

  • PDF

성토하부 개량된 연약지반의 측방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teral Movement of Improved Soft Ground under Embankment)

  • 홍원표;한중근;박재석;김영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5년도 춘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094-1101
    • /
    • 2005
  • The stability of embankment on the soft ground has included problems on stabilities of embanked body and soft soil, which related with vertical displacement and lateral movement of the soft ground especially. The judge methods for the potentialities of lateral movement have been used in order to stabilization assessment during and after construction of the embankment. In this study, the judge methods on the improved soft ground suggested, which compared with exist judge methods on lateral movement. It is due to recent trend using embanked structures on the soft ground most of improved.

  • PDF

침하 억제를 위하여 초연약지반에 설치된 섬유보강 성토지지말뚝의 내진성능 평가 (Evaluations of a Seismic Performance of Geosynthetic-Reinforced Embankment Supporting Piles for a Ultra Soft Ground)

  • 이일화;강태호;이수형;이성진;방의석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8-927
    • /
    • 2008
  •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constructing high-speed concrete track embankments over soft compressible soil has lead to the development and/or extensive use of many of the ground improvement techniques used today. Drains, surcharge loading, and geosynthetic reinforcement, have all been used to solve the settlement and embankment stability issues associated with construction on soft soils. Geosynthetic-reinforced embankment supporting piles method consist of vertical columns that are designed to transfer the load of the embankment through the soft compressible soil layer to a firm foundation and one or more layers of geosynthetic reinforcement placed between the top of the columns and the bottom of the embankment. In the paper, the evaluations of a seismic performance of geosynthetic-reinforced embankment piles for a ultra soft ground during earthquake were studied. the equivalent linear analysis was performed by SHAKE for soft ground. A seismic performance analysis of Piles was performed by GROUP PILE and PLAXIS for geosynthetic-reinforced embankment piles. Guidelines is required for pile displacement during earthquake. Conclusions of the studies come up with a idea for soil stiffness, conditions of pile cap, pile length and span.

  • PDF

계측관리를 통한 연약지반상 성토의 안정성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bility of Embankment on Soft Ground through Measure Control)

  • 박성재;조경태;정경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5년도 연약지반 안정처리 시공.관리 세미나
    • /
    • pp.15-34
    • /
    • 1995
  • 연약지반상 성토에 따른 지반의 변형은 성토제체의 안정성에 큰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지반의 여러가지 특성에 따른 거동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이는 복합적인 요인을 가진 성토제체 안정상 분석의 기초자료로 삼을 수 있으리라 본다. 그리고, 이러한 영향에 대해 국내의 현장 계측결과와 외국사례의 경우를 비교하였다. 한편, 기존의 안정성 분석 방법에 대하여 국내의 현장 적용에 있어 몇가지 문제점들을 국내의 사레와 비교.검토하였다.

  • PDF

전기비저항탐사를 이용한 성토하부 연약지반의 변형 해석 (Interpretation of Soft Ground Deformation under Embankment using the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

  • 김재홍;홍원표;김규범
    • 지질공학
    • /
    • 제21권2호
    • /
    • pp.117-124
    • /
    • 2011
  • 해안 매립 연약지반상에 도로나 제방을 성토한 경우 연약지반 속에서는 침하, 융기, 측방유동 등의 지반변형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연약지반의 지반변형 거동을 지상에서 원지반을 훼손하지 않고 조사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탐사법을 적용하여 보았다. 본 연구에서 해안지역의 점토질 퇴적층이 주로 분포하는 서해안 시화지구의 매립지역에서 실험성토를 실시하였다. 실험성토후, 성토하중에 의한 연약지반의 변형 영향범위를 확인하기 위하여 전기비저항탐사법을 실시한 결과, 수평방향으로는 성토 지역에서 남측으로 약 5 m 범위, 수직 방향으로는 지표해 약 5~6m로서 성토 높이의 약 1.0~1.2배 심도까지 높은 전기비저항으로 성토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성토에 의한 연약지반의 변형을 해석하는데 전기비저항탐사 방법을 적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연약지반상의 현장계측관리 실태와 개선방향 고찰(도로를 중심으로) (The reviews and Proposals for field instrumentation and management in embankment construction on soft ground)

  • 정종홍;김홍종;김성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봄 학술세미나 논문집
    • /
    • pp.70-77
    • /
    • 2000
  • Field instrumentation has been important part of construction management in embankment on soft ground. Most of all, well organized plan, instrumentation, maintenance, analysis and feed-back to the construction procedure are the key to the successful construction. In this paper, We review problems of field instrumentation has been performed at road construction on soft ground. And then, several proposals to improve field instrumentation and management are suggested

  • PDF

성토로 인한 연약지반의 측방유동 거동에 관한 실내모형실험 (Experimental Study on Lateral Flow Behavior of Soft Ground due to Embankment)

  • 유승경;김재홍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43-51
    • /
    • 2011
  • 연약 점성토 지반에 성토를 할 경우 과도한 침하와 측방유동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토목섬유/성토지지말뚝공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본 공법은 연약지반 층을 관통하여 지지층에 관입시킴으로써 상재하중을 지지하게 하여 상재하중으로 인한 침하와 측방유동 발생을 최소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연약 점성토 지반에 설치된 토목섬유/성토지지말뚝공법의 보강효과를 정량적으로 검토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내모형실험을 통하여 무보강 및 성토지지말뚝 보강의 경우에 대한 지반 거동을 재현하고 성토지지말뚝에 의한 측방유동 억지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때 성토지지말뚝을 설치한 경우에 대해서는 상재하중의 크기를 다르게 설정하여 완속 재하와 급속 재하의 경우에 대한 측방유동의 억지효과를 분석하였다.

한계평형해석에 의한 연약지반 위의 철도노반 고성토를 위한 직포 보강 효과 (The Reinforcement Effect of Woven Geotextiles for Railway Roadbed High-Embankment on Soft Ground by the Limit Equilibrium Analysis)

  • 김유성;최재선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27-37
    • /
    • 2010
  • 직포 보강재는 연약지반 성토시 장비주행성, 지지력 및 활동안정성 개선 등을 목적으로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연약지반 위에 고강도의 직포를 2층 보강하여 철도제방을 성공적으로 구축한 사례를 소개하였다. 한계평형해석에 근거한 비탈면 활동안정분석결과 연약지반 위에 고강도의 직포를 2층 보강하고 흙쌓기를 수행하였을 때 제체의 활동에 대한 안전율은 0.91에서 1.14로 약 25%증가하고, 2개월 이상의 공기단축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기가 촉박하거나, 안전율이 다소 부족한 현장의 경우 고강도 직포보강에 의한 연약지반처리공법은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성토하부 연약지반의 변형거동에 관한 모형실험 (Model Tests on Deformation Behavior of Soft Ground Under Embankment)

  • 이광우;조삼덕;홍원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5호
    • /
    • pp.17-28
    • /
    • 2009
  • 연약지반상 성토시, 성토하중은 연약지반에 편재하중으로 작용하게 되어 기초 연약지반의 과도한 침하와 측방유동을 야기할 수 있다. 연약지반의 과도한 변형은 결국 성토체 자체와 인접 지반 및 구조물의 안전을 위협하게 된다. 연약지반의 변형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크게 성토하중 조건과 지반조건으로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들 조건을 달리한 5회의 모형실험을 수행하여, 성토하중 재하가 기초 연약지반의 변형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모형실험 결과, 성토하중 재하가 지중 측방변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거리는 성토체 선단부로부터 재하폭의 2배까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모형실험 결과를 근거로, 성토속도(v, kPa/day)와 일평균 침하량(${\Delta}s$, mm/day) 사이의 관계식과 성토속도와 일평균 지중 최대수평변위(${\Delta}y_m$, mm/day) 사이의 상관관계식을 제안하였다.

측방이동 대책공법(SCP)의 영향범위 산정에 관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the Influence length of SCP Method)

  • 이영근;박춘식;김종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10년도 추계 학술발표회 2차
    • /
    • pp.152-160
    • /
    • 2010
  • In this study, cohesion of soft ground, soft ground depth and embankment height varying conditions, such as the impact of each condition after the calculation of the range, SCP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applicability of the method. Reinforcing effects of scope, and permit lateral movement of SCP 2D and 3D analysis of the program were calculated by the displacement ratio, the result follows. The height and depth of soft soil embankment with increasing and decreasing the cohesion tends to be affected were long range, SCP method applied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Cu = 1.0tf/$m^2$, embankment height is 3.0m depth of soft soil can be applied in a less than 5.0m, and Cu = 3.0tf/$m^2$, embankment height, the soft soil depth is 3.0m 12.0m, Cu = 3.0tf/$m^2$, embankment height is 5.0m less than 7.0m depth of soft soil can be applied in was. And Cu = 5.0tf/$m^2$, embankment height is 3.0m below 15.0m depth rouge anti Floor, Cu = 3.0tf/$m^2$, embankment height of 5.0m 12.0m depth below the soft soil, Cu = 5.0tf/$m^2$, If the depth of soft soil embankment height of 7.0m and below 5.0m was applicabl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