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ergy-aware

검색결과 364건 처리시간 0.04초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Energy-Aware Sleep Scheduling (EASS) in Energy Harvesting WSN (EH-WSN)

  • Encarnacion, Nico N.;Yang, Hyun-Ho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0권3호
    • /
    • pp.264-268
    • /
    • 2012
  • Tree-based structures offer assured optimal paths from the data source to the sink. Shortest routes are disregarded since these do not consider the remaining energy level of the nodes. This shortens the lifetime of the whole network. Most tree-based routing protocols, although aware of the nodes' energy, do not consider an energy aware sleep scheduling scheme. We propose an energy-aware sleep scheduling (EASS) scheme that will improve the sleep scheduling scheme of an existing tree-based routing protocol. An energy harvesting structure will be implemented on the wireless sensor network. The depth of sleep of every node will be based on the harvested energy.

IP Network에서 Energy-aware QoS Routing에 의한 에너지 감소 방법 및 특성 (Energy Reduction Methods using Energy-aware QoS Routing Scheme and Its Characteristics in IP Networks)

  • 한치문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9호
    • /
    • pp.27-34
    • /
    • 2012
  • 오늘날 ICT 네트워크에서 에너지 소모는 전체 에너지 소모의 10% 내외로 가까운 미래에 에너지가 현저하게 증가 할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ICT 네트워크에서 에너지를 절약하려는 연구가 상당히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 네트워크 레벨에서 네트워크 품질을 보장하면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방법을 검토한다.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와 링크는 에너지 프로파일에 따라 에너지가 소모된다고 가정하였다. 특히 IP 네트워크에서, 다양한 에너지 프로파일 모델을 기본으로 하여 네트워크가 소모하는 에너지 모델을 정식화하고, IP 네트워크 품질을 만족하면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energy-aware QoS 라우팅 방안을 제시하고 검토한다. 본 논문에서 시뮬레이션을 이용하여, 에너지 프로파일에 따라 IP 네트워크가 소모하는 에너지의 차이가 크며, 적절한 에너지 프로파일 모델을 개발한다면 에너지 절약이 가능함을 보여 준다. 또 IP 네트워크의 품질을 유지하면서 에너지 절약이 가능한 energy-aware QoS 라우팅 중 min_used_path(MP) heuristic을 이용한 방법이 네트워크의 노드 및 링크의 감소율이 다른 방법에 비해 우수하고, 에너지 절약 효과가 다른 방법에 비해 우수함을 분명히 한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본 논문에서는 energy-aware QoS 라우팅의 한 방법인 min_used_path(MP) heuristic을 적용하여 네트워크 품질 유지하면서 에너지를 절약 할 수 있음을 확인 하였다.

무선 Ad-hoc 네트워크환경에서 전송지연과 에너지소비를 고려한 라우팅 알고리즘 (Delay and Energy-Aware Routing Algorithm For Energy-Constrained Wireless Networks)

  • 레이젤 카사끼테;황원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1799-1805
    • /
    • 2007
  • 무선 Ad-hoc 네트워크에서의 배터리 고갈에 의해 발생하는 노드 실패는 네트워크 전체의 성능에도 큰 영향을 미치므로 에너지소비를 고려한 라우팅 알고리즘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는 전송 시 노드에 의한 에너지 소비뿐만 아니라 노드의 잔여 에너지와 경로 재설정 시 소요되는 지연까지도 고려한 라우팅 (DEAR; Delay and Energy-Aware Routing)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성능분석 결과 DEAR알고리즘은 충분한 잔여 에너지를 보유한 노드로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에너지 비율에 따라 균형 있게 에너지를 소비할 수 있었다.

애드혹 네트워크에서 최대 네트워크 유지 시간을 위한 다중경로 에너지 고려 라우팅 기법 (The Multi-path Power-aware Source Routing(MPSR) for the Maximum Network Lifetime in Ad-Hoc Networks)

  • 황호영;서효중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1-29
    • /
    • 2010
  • 애드혹 네트워크는 에너지 측면에서는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원이 노드에 연결 될 수 없기 때문에 모든 노드들이 제한된 에너지로만 동작해야하는 제약이 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 제한된 에너지로부터 가능한 긴 네트워크 유지 시간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PSR (Power-aware Source Routing), HPSR (Hirachical Power-aware Source Routing) 등의 에너지를 고려한 네트워크 라우팅 기법들이 나타나게 되었다. 이들 기법은 패킷 전달시 마다 에너지 소비 면에서 최적 또는 그와 유사한 경로 하나를 설정하여 사용함으로써 개별 경로 규모면에서는 매우 효과적이나 트래픽 부하가 한 경로에만 집중됨으로써 다수 노드의 고른 에너지 소모가 바람직한 네트워크 규모면에서는 특정 노드의 빠른 에너지 고갈을 유도해 효율성이 떨어진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MPSR(Multi-path Power-aware Source Routing)은 동시간 다중 경로 사용의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최대네트워크 유지 시간을 위한 에너지 고려 라우팅 기법을 제안한다.

IEEE 802.11e U-APSD 환경에서 에너지 효율 향상을 위한 적응적인 스트리밍 시스템 (Adaptive Streaming System for Improving Energy Efficiency over IEEE 802.11e U-APSD)

  • 이성희;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 /
    • 제16권11호
    • /
    • pp.1066-1070
    • /
    • 2010
  • 무선 네트워크 환경에서 단말기의 에너지 효율은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의 연속적인 이용을 위한 중요한 고려사항이다. 본 논문에서는 멀티미디어 스트리밍 서비스를 이용하는 무선 단말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IEEE 802.11e의 U-APSD(Unscheduled Automatic Power Save Delivery) 환경에서 동작하는 스트리밍 시스템인 BACASS(Buffer-Aware and Content-Aware Streaming System)를 제안하였다. BACASS는 SVC로 인코딩된 영상을 이용하는 네트워크 인지형 스트리밍 시스템을 기반으로, PSNR(Peak Signal to Noise Ratio)과 클라이언트 버퍼 정보를 이용해서 U-APSD의 DP(Doze Period)를 유도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향상 시킨다.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서 제안하는 BACASS가 단말기의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킴을 보였다.

유비쿼터스 지능 공간에서의 지수 기반 상황인지 에너지경영 시스템 (An Index-Based Context-Aware Energy Management System in Ubiquitous Smart Space)

  • 권오병;이연님
    • 지식경영연구
    • /
    • 제9권4호
    • /
    • pp.51-63
    • /
    • 2008
  • Effective energy consumption now becomes one of the area of knowledge management which potentially gives global impact. It is considerable for the energy management to optimize the usage of energy, rather than decreasing energy consumption at any cases. To resolve these challenges, an intelligent and personalized system which helps the individuals control their own behaviors in an optimal and timely manner is needed. So far, however, since the legacy energy management systems are nation-wide or organizational, individual-level energy management is nearly impossible. Moreover, most estimating methods of energy consumption are based on forecasting techniques which tend to risky or analysis models which may not be provided in a timely manner. He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novel individual-level energy management system which aims to realize timely and personalized energy management based on context-aware computing approach. To do so, an index model for energy consumption is proposed with a corresponding service framework.

  • PDF

에너지 인지 Surge 라우팅 프로토콜 구현 (Implementation of the Energy-aware Surge Routing Protocol)

  • 이선헌;최웅철;이승형;정광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6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3 No.1 (D)
    • /
    • pp.1-3
    • /
    • 2006
  • 최근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유비쿼터스 컴퓨팅이라는 새로운 정보통신 혁명을 야기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빛, 온도, 습도와 같은 물리적인 정보 수집을 목적으로 가지는 센서 네트워크에서의 라우팅 프로토콜은 기존의 라우팅 프로토콜과는 다른 제약 사항 및 요구 사항을 갖는다.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 네트워크 환경을 고려한 새로운 라우팅 프로토콜로 Energy-aware Surge 라우팅 프로토콜을 제안 및 구현하였다. Energy-aware Surge 프로토콜은 배터리 리소스에 제약을 갖는 센서 네트워크의 환경을 고려하여, 기존 라우팅 프로토콜과 다르게 센서 노드의 잔여 에너지를 기반으로 계층적인 경로를 설정하게 된다. 성능 검증을 위해 기존 Surge 라우팅 프로토콜을 수정하여 Energy-aware Surge 프로토콜을 구현하였으며, 상용 센서 플랫폼인 MICAz를 이용하여 성능실험을 수행하였다. 성능 실험 및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Energy-aware Surge 라우팅 프로토콜이 무선 센서 노드의 잔여 에너지를 고려하여 패킷의 전달 경로를 적절하게 선택하며, 이를 통해 무선 센서 네트워크의 전체 라이프타임을 효과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Energy-aware Multi-dimensional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in Cloud Data Center

  • Nie, Jiawei;Luo, Juan;Yin, Luxiu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1권9호
    • /
    • pp.4320-4333
    • /
    • 2017
  • Energy-efficient virtual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has become a hot research topic in cloud computing.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allocation schemes cannot ensure each type of resource be fully utilized. To solve the problem, this paper proposes a virtual machine (VM) allocation algorithm on the basis of multi-dimensional resource, considering the diversity of user's requests. First, we analyze the usage of each dimension resource of physical machines (PMs) and build a D-dimensional resource state model. Second, we introduce an energy-resource state metric (PAR) and then propose an energy-aware multi-dimensional resource allocation algorithm called MRBEA to allocate resources according to the resource state and energy consumption of PMs. Third, we valid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algorithm by real-world datasets.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MRBEA has a better performance in terms of energy consumption, SLA violations and the number of VM migrations.

무선 센서네트워크에서 다중 경로 선정에 기반한 에너지 인식 소스 라우팅 프로토콜 (An Energy Aware Source Routing with Disjoint Multipath Selection for Wireless Sensor Networks)

  • 황도연;임재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1권1A호
    • /
    • pp.23-29
    • /
    • 2006
  • 무선 센서네트워크(Sensor Network)에서는 많은 수의 센서 노드를 영구적으로 사용하기 보다는 일회성의 목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센서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수명을 장시간 유지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무선 센서네트워크의 연결 유지 시간(network lifetime)을 연장시키기 위한 EASR(Energy Aware Source Routing)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EASR 기법은 기존의 EAR(Energy Aware Routing)처럼 다중 경로 중에 확률에 의해 결정되는 단일 경로로만 데이터 트래픽을 전송하여 에너지 소비를 분산시키는 방법을 사용한다. 하지만 제안하는 EASR 기법에서는 기존의 SMR(Split Multipath Routing)에서 사용되는 다중 경로 선정 기법을 개선한 방법으로서 센서 노드들의 에너지 소비를 최소화 하기 위하여 다중 경로간의 overhearing 지수를 정의하고 이를 근거로 overhearing 현상에 의한 에너지 소비를 최소로 하는 다중 경로를 설정하는 기법이다. 제안하는 EASR기법이 무선 센서네트워크 환경에서 노드의 수명을 장시간 유지시키고 합리적인 데이터 전송 지연시간을 갖는다는 것을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무선 Ad Hoc 네트워크를 위한 개선된 위치정보 기반의 에너지를 고려한 라우팅 프로토콜 (An Improved Energy Aware Greedy Perimeter Stateless Routing Protocol for Wireless Ad Hoc Network)

  • 김학제;윤원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6권11호
    • /
    • pp.25-31
    • /
    • 2009
  • 기존 GPSR(Greedy Perimeter Stateless Routing) 프로토콜의 Greedy Forwarding에서는 항상 목적지에 가까운 노드만을 Next-Hop으로 설정하는 방식으로, 어느 특정 노드의 에너지 소모가 커지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존의 Greedy Forwarding 방식에 목적지에 가까운 노드를 선택하면서 각 노드의 에너지 잔량을 고려하여 전체 네트워크의 수명(Network lifetime)을 연장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무선 ad hoc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노드들의 한정된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네트워크의 수명에 초점을 맞추어 각 노드들의 에너지 잔량을 고려하면서 최단 거리 역시 고려할 수 있는 라우팅 기법인 개선된 EAGPSR(Energy Aware Greedy Perimeter Stateless Routing)을 제안한다. 제한된 프로토콜의 성능 평가를 위하여 ns-2를 사용하였으며, 성능 평가를 통하여 GPSR과 기존의 EAGPSR와 비교하여 네트워크 수명이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