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nvironmental dynamism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5초

Dynamic Capabilities, Environmental Dynamism and Small and Medium Enterprises' Internationalization Level

  • ALI, Hazem;HAO, Yunhong;AIJUAN, Che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9호
    • /
    • pp.527-536
    • /
    • 2020
  • International business research presents a broad consensus on the importance of dynamic capabilities i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M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assessing the impact of dynamic capabilities and the level of SMEs' internationalization operating in a turbulent and dynamic business environment.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environmental dynamism and three sets of dynamic capabilities, namely, sensing, seizing, and reconfiguring capabilities on internationalized SMEs' geographic scope. In addition, this research examines the association between internationalized SMEs' characteristics: SME's age, size, and SME owner/manager's international experience and SMEs' geographic scope. This study used a quantitative research and employed survey questionnaires to collect data from 305 internationalized Malaysian manufacturing SMEs. Anova tests and Chi Square tests were employed to analyze data collected from respondents using SPSS. Research findings revealed that environmental dynamism and dynamic capabilit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internationalized SMEs' geographic scope, however, none of the internationalized SMEs'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ir geographic scope.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uggest internationalized SMEs owner/managers need to possess sensing, seizing and reconfiguring capabilities, and monitor business environmental dynamism to increase their geographic scope. This paper ends with drawing a set of concluding remarks and recommendations.

첨단산업의 환경동태성이 공급체인의 결속에 미치는 영향: 유연성과 의존성의 역할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Dynamism on Supply Chain Commitment in the High-tech Industry: The Roles of Flexibility and Dependence)

  • 김상덕;지성구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7권2호
    • /
    • pp.31-54
    • /
    • 2007
  • 첨단산업의 기업들은 환경의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을 기업 성패에 중요한 요인으로 여기고 있다. 하지만 첨단산업의 환경 동태성이 공급체인 구성원 간 관계 결속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가 부족하여, 환경 변화에 효과적인 대응을 어렵게 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첨단산업에서 환경 동태성이 공급체인의 결속에 영향을 미치는 메커니즘에 대해 규명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면, 첫째, 첨단산업의 고객, 경쟁, 기술 동태성이 공급체인의 결속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둘째, 공급체인의 유연성과 의존성이 이러한 영향에 어떠한 조절효과를 가지는 지 실증하고 있다. 구조방정식 모형에 의한 가설검정 결과 첨단산업의 고객 동태성은 공급체인의 결속을 약화시켰지만 경쟁 동태성은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한편 유연성과 의존성은 고객과 경쟁 동태성에 유의적인 조절 효과를 가졌다.

  • PDF

동적역량, 운영역량, 혁신성과 간의 관계: 환경역동성을 조절변수로 하여 (Relationship between Dynamic Capabilities, Operational Capabilities and Innovation Performance : Considering Moderating Effect of Environmental Dynamism)

  • 박상운;조근태
    • 기술혁신연구
    • /
    • 제28권4호
    • /
    • pp.27-62
    • /
    • 2020
  • 본 연구는 환경역동성이 기업의 동적역량과 운영역량의 변화와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업역량을 동적역량과 운영역량의 계층적 구조로 정의하고 계량화를 위하여 각 역량의 개념과 정의를 정리하였다. 동적역량, 운영역량, 혁신성과 및 환경역동성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5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고, 우리나라 제조기업 300개 기업의 표본을 대상으로 가설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동적역량은 운영역량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운영역량도 혁신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역동성이 높은 기업군은 운영역량이 급진적 혁신에 정(+)의 영향을 주며, 반대로 환경역동성이 낮은 기업군은 운영역량이 점진적 혁신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환경역동성은 동적역량이 운영역량에 미치는 영향에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적역량과 운영역량을 프로세스로 구체화하여 기업의 동적역량 특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 환경변화가 기업역량과 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한 것에 의의가 있다. 또한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기업이 경쟁우위를 지속하기 위해서 어떻게 역량을 변화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한 것에도 의의가 있다.

환경의 동태성이 관계해지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Dynamism on the Dissolution Intention)

  • 강보현;오세조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0권1호
    • /
    • pp.85-106
    • /
    • 2005
  • 본 연구는 할인점 업체(구매자)와 공급업체(판매자)의 거래관계를 대상으로 하여 환경의 동태성이 관계해지의도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의존, 목표불일치, 그리고 갈등이 매개변수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한 것이다. 총 180개의 공급업체들을 대상으로 하여 가설을 검증한 결과, 환경의 동태성이 의존, 목표불일치, 그리고 갈등에 정의 영향들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목표불일치는 강등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표불일치와 갈등이 관계해지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의존이 관계해지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은 가설과 방향성은 일치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공헌점들 및 관리적 시사점들이 논의되었고, 연구의 한계점들 및 향후의 연구방향들이 제시되었다.

  • PDF

The Impact of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n Electronic Commerce Performance

  • Cho, Se-Hyung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기술응용학회 2005년도 6th 2005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mputers, Communications and System
    • /
    • pp.357-360
    • /
    • 2005
  • Domestic enterprises are surveyed and analyzed to find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electronic commerce(EC) performance. Dynamism, hostility and heterogeneity are selected as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EC performance is articulated as EC utilization, EC satisfaction and EC usefulness. Empirical test presents that dynamism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C performance except EC usefulness, but hostility and heterogeneity hav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EC performance. The impact of industry type on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EC performance is also tested.

  • PDF

대.중.소규모 기업 간 정보기술 활용수준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 (The Effect of IT Utilization Level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Differences among Large, Medium and Small-sized Enterprises)

  • 조세형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183-197
    • /
    • 2009
  • 단순히 정보기술에 대한 투자만으로는 조직성과의 성공적 달성을 기대할 수 없으며,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정보기술지식과 기업의 제반 활동에서 정보기술이 활용되고 있는 수준이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연구를 시작하였다. 한편, 조직상황에 따라 정보기술 활용수준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기 위하여 내부 환경특성으로 조직규모와 외부 환경특성으로 환경역동성을 선택하여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조직규모는 대기업, 중기업 및 소기업으로 구분하여 차이를 살펴보았다. 85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규모가 커질수록 정보기술 활용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으로는 정보기술 활용수준이 조직성과에 유의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중기업 및 소기업과는 달궈 대기업의 경우는 유의적 영향을 나타내지 못하여 조직규모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전체적으로 환경역동성이 정보기술 활용수준과 조직성과의 관계에 미치는 조절효과는 유의적이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소기업과 대기업에서 환경역동성이 높은 경우에는 유의적인 조절효과를 보여주었다.

블루오션 신제품개발 전략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Blue Ocean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 김지대
    • 기술혁신연구
    • /
    • 제15권1호
    • /
    • pp.27-63
    • /
    • 2007
  • Recently, Kim and Mauborgne (2005a) has introduced the concept of blue ocean strategy that provides quantum leap in value innovation, thus creating new market space. This study, based on the blue ocean strategy concept, suggests blue ocean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and attempts to examine how much impact this blue ocean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has on new product performance, compared to existing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perspectives based on competitive strategy-based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and resource-based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n an empirical way.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the blue ocean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new product performance.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such contingency variables as firm size and environmental dynamism have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lue ocean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and new product performance. The blue ocean new product development strategy is more effective in the small-sized firms than the large-sized ones, and its effect on new product performance is different according to environmental dynamism.

  • PDF

게임산업의 사회적 자본유형과 경영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Taxonomy of Social Capital and Firm's Performance in the Game Industry)

  • 서태건;정동섭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253-1262
    • /
    • 2014
  • Social capital is a sociological concept, which refers to connections within and between social networks. Social capital explains the importance of using social connections and social relations in achieving goals. Social capital such connections and relations, is critical along with environmental dynamism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in achieving goals for firm's performance. This paper draw the taxonomy of social capital and then analyzed the relationship of firm's performance, environmental dynamism and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innovative culture. The empirical results using 134 game corporations in Korea showed that the configuration between taxonomy of social capital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innovative culture. And second, the taxonomy of social capital is significantly related to firm's performance.

무엇이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을 결정하는가? 전략-문화 혼합유형과 환경 역동성을 고려한 실증연구 (What Determines Open Innovation in SMEs? An Empirical Study Considering the Strategy-Culture Mixed Typology and Environmental Dynamism)

  • 권세인;양종곤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2권4호
    • /
    • pp.345-353
    • /
    • 2022
  • 본 연구는 전략-문화 혼합유형과 환경 역동성을 고려하여 중소기업의 개방형 혁신에 적합한 상황 및 유형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4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4개 집단으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략-문화가 일치하는 PD형은 내·외향형 혁신 모두 혁신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동적 기술환경에서 내향형 혁신을 통해 성과를 향상시켰다. 반대로 DH형은 내·외향형 혁신 모두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둘째, 전략-문화가 불일치하는 PH형과 DD형은 외향형과 내향형 중 단일 혁신만 성과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PH, DD, DH형은 환경 역동성에 따른 조절효과는 확인되지 않았다. 개방형 혁신을 지향하는 중소기업은 변화·혁신 지향형 전략과 창의·도전적 문화를 일치시킴으로써 혁신성과를 향상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환경의 동태성이 통제 메커니즘과 관료적 구조화를 매개로 기회주의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nvironmental Dynamism on Opportunism in Terms of Control Mechanism and Bureaucratic Structuring)

  • 설도원;오세조;성민
    • 한국유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유통학회 2007년도 하계통합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
    • pp.159-186
    • /
    • 2007
  •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유통경로 구성원 간 동반자적 관계의 성공을 위해 기업이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시급하다. 유통경로 관리에서 유통 환경을 명확히 이해하고, 그것이 유통경로 시스템에 주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점을 인지하면서도 환경의 영향에 대한 이론적 ${\cdot}$ 실증적 연구는 그다지 활발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특히 기존의 유통경로 연구들은 환경이 유통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메커니즘을 다루지 않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환경차원 중 환경의 동태성이 중요한 관계특성인 기회주의에 직 ${\cdot}$ 간접적으로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규명하는 데에 있다. 간접적인 경로로는 환경의 동태성이 지배전략(통제 메커니즘)과 지배구조(관료적 구조화)를 통해 기회주의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다. 이를 위하여 국내 대형할인점과 거래하는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 분석한 결과, 환경의 동태성은 협력업체의 기회주의와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감시나 인센티브와 같은 지배전략을 통해서도 기회주의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감시는 기회주의에 정(+)의 상관관계, 참여화는 기회주의에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 연구는 요즘과 같이 환경의 동태성 수준이 높은 국내 유통시장, 특히 할인점에게 협력업체의 기회주의를 관리 ${\cdot}$ 통제하는 측면에서 어떠한 관리적 측면의 노력이 필요한지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