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pipharynx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초

말매미충 (Cicadella viridis L.) 구기내의 미각감각기 (The Gustatory Sense Organs in the Mouthparts of the Adult Green Leafhopper (Cicadella viridis L.))

  • 이비파;한성식;이문홍;최귀문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01-208
    • /
    • 1990
  • 말매미충(Cicadella viridis L.)의 구기에 있는 미각감각기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관찰에서 전구강에 위치한 상인두의 D-sensilla는 10개이며, 상인두 함입부의 양쪽변에서 P-sensilla 8 개가, 하인두의 식도 중간부위에서 H -sensilla가 2개 관찰되었다. D- 및 P-sensilla는 형태적 으로 2군으로 분리되었다. 그리고 D- 및 P-sensilla로부터 유래된 신경다발 1쌍씩은 상인두 뒷면의 큐티클 안에서, H -sensilla로부터의 신경다발 1쌍은 하인두 뒷면의 큐티클 안에서 관찰되었다.

  • PDF

New record of three monogononts(Rotifera: Monogononta) from islands of Korea

  • Hee-Min Yang;Gi-Sik Min
    • Journal of Species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74-179
    • /
    • 2023
  • Three newly recorded rotifers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of several islands in Korea: Lecane perplexa (Ahlstrom, 1938); Lindia torulosa Dujardin, 1841; and Monommata maculata Harring & Myers, 1930. These species represent 24th, second, and third records of each genus discovered in Korea, respectively. Lecane perplexa and Monommata maculata, were collected from reservoirs using plankton nets, whereas Lindia torulosa was collected from a soil sampl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discovered species are as follows: Lecane perplexa is characterized by a straight or slightly concave anterior margin of the lorica, an incomplete transverse fold on the ventral lorica, and a single toe with pseudoclaws and accessory claws; Lindia torulosa has an illoricated and vermiform body, a head with rostrum, a pair of auricles, cardate type trophi, and distinctively shaped epipharynx components; and Monommata maculata is characterized by long toes, an inner margin of rami with 10-12 serrated teeth, 3-4 large teeth, and interlocking teeth. Here,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ree Korean monogonont rotifers, which include trophi photographs, are presented. In addition, partial sequences of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COI) of each species are presented.

담배나방의 유충의 촉각 및 구기 감각기의 구조 (Structure of sensilla on the Antenna and Mouthparts of the Oriental Tobacco Budworm(Heliothis assulta Guenee) Larvae)

  • 박순식;부경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94-102
    • /
    • 1988
  • 주사전자현미경 및 광학현미경을 이용하여 밝혀낸 담배나방(Heliothis assulta Guenee) 유충의 촉각 및 구기의 감각기 구조는 다음과 같다. 촉각은 세마디로 되어있지만 마지막 두마디에만 감각기가 분포하고, 기절은 단순히 촉각을 머리에 부착시킨다. 병절은 2개의 털 감각기와 3개의 방망이형 가각기를 가며, 편절은 3개의 방망이형 감각기와 2개의 2마디로된 방망이형 감각기를 갖는다. 큰 턱은 측면에 2개의 털 감각기를 가지며, 작은턱의 외엽에는 2개의 털, 3개의 방망이형 및 2 개의 종상형 감각기가 있다. 작은 턱 수염의 2마디중 첫째마디는 1개의 digitiform 감각기만을 갖는다. 그러나 둘째마디는 11개의 감각기를 갖는데. 1개의 digitiform 과 2개의 종상형 감각기는 측면에, 8개의 방망이형 감각기는 마디 끝에 위치한다. 윗입술은 외표면에 12개의 털, 내표면에 6개의 털, 2쌍의 함몰형과 1쌍의종상형 감각기를 갖는다. 퇴화된 아랫입술은 작은턱과 융합되어서, 하인두, spinneret, 수염을 지지하며, 이들중 아랫입술염에만 2개의 방망이형 감각기가 있다. 구조적 측면에서 감각기의 기능을 추정해보았으며 구기 전체 감각기의 70%를 차지하는 작은턱 감각기가 먹이 선택 행동에 중요한기능을 할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