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rosion control work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6초

사방시공지 식물사회의 생태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V) - 사방시공 후 9~26년 간의 변화 - (Studies on the Ecological Change of the Plant Community in the Erosion-Controlled and Rehabilitated Areas - During 9~26 Years After Erosion Control Works -)

  • 이현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6권5호
    • /
    • pp.59-69
    • /
    • 2003
  • Most denuded mountain areas in Korea were completely stabilized by the successful work of the 1st and 2nd 10-year Forest Development Plans which targeted the reforestation of denuded forest land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1) to estimate the depth of organic horizon in the soil profile, (2)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vegetation structure, (3) to estimate the change of biomass in the erosion controlled and rehabilitated mountain areas with the passage of time. This study was carried out as the 5th times. The first study began in the year of 1985, the second study was in the year of 1988, the third study was in the year of 1992, 4th was in the year of 1998 and 5th was in the year of 2002. The first study started in the study sites which elapsed 9 years after erosion control work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The increase rate of soil thickness was estimated to $Y_{(cm)}=2.906log_{(yr)}-3.2476(r^2=0.917)$ during 26 years after erosion control works. The important value of pines decreased to 14.7% on upper layer. But, the important value of alders. which did not plant on erosion control work increased to 27.1%. The decrease of whole crown projection indicates that pines. and alders were heavily injured by pine leaf gall midge in the year of 1993, 1995 years and Agelastica coerulea Baly in the year of 1986, 1987 years at Yoju-gun. The young growth of pines and alders not appeared on the soil surface which elapsed 26 years after erosion control works. On the lower layer, oaks occupied over 50% in I.V, RD, RC, RF. In process of years, the increase of biomass estimated to be $Y_{(t/ha)}={0.7505X_{(yr)}}^{1.6335}\;(r^2=0.9712)$ for 26 years after erosion control works.

일본(日本)에 있어서의 사방공학연구(砂防工學硏究)의 동향(動向) (The Trend and Achievements of Erosion Control Research in Japan)

  • 우보명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51-60
    • /
    • 1973
  • The trend and achievments of soil erosion control research in Japan were investigated through observation tours and reference work and following facts were found to be important aspec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oil erosion control research program in Korea. Experiments on forest and water relations, and ground water phenomena at the water source zone in Tokyo University. Studies on land-slides and erosion control dam in Kyoto University. Studies on mud-flow and snow avalanches in Hokkaido University. Studies on sanddune fixation and disaster damage prevention forests in Kyushu University. Studies on forest denudations in Nagoya University. Studies on Greening-works and soil erosion prevention chemicals in Tokyo Agriculture University. Training on planning of erosion control works and prevention of disaster damages in Forest Research Institute. Experiments on soil erosion phenomena and infiltration in Tohoku Branch, FRI. Experiments on erosion and surface stratum failure of steep slopes and their prevention methods in Railway Technical Research Institute.

  • PDF

경남지역 야계사방사업지의 산림환경특성 분석 - 사방댐 및 계류보전사업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Forest Environmental Factors on Torrent Erosion control work area in Gyeongsangnam-do - Focus on Erosion Control Dam and Stream Conservation -)

  • 강민정;김기대;오강산;박진원;박재현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0권5호
    • /
    • pp.111-120
    • /
    • 2016
  • 본 연구는 경남지역 야계사방사업지의 적지적소를 판정하기 위해 사방댐 총 526개소와 계류보전시설 총 230개소의 기시공지 및 시공예정지를 대상으로 입지 및 임상, 수문조건을 분석하였다. 사방댐 시공지과 계류보전시설은 입지환경인자 중 퇴적암, 표고 201~400m, 경사 21~30°, 산사태위험등급 2등급인 곳에 가장 많이 시공되었고, 임상환경인자인 임상, 경급, 영급, 밀도 중 소경급, III영급 임분에서만 시공빈도가 유사하였다. 또한 사방댐의 크기 및 개소수를 결정하는 수문환경인자 중 유역면적의 경우 50ha 이하, 수계밀도 2.1~4.0km/㎢, 종장형 수계, 1시간당 최대강수량 61~90mm, 1일 최대강수량 201~300mm인 곳에서 가장 많이 시공되었다. 따라서 사방댐 시공지와 계류보전시설지 간의 입지 및 수문조건이 다소 유사한 것으로 추후 야계사방사업을 실시할 경우 산각붕괴 및 침식 발생위험이 높은 지역에 한해서는 사방댐과 계류보전시설의 병행이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동해안 대형 산불피해지의 사방사업 실태진단 (The investigation of erosion control works' condition in East sea fire area)

  • 염규진;전근우;차두송;이시영;이현규;이명욱;김윤진;이진호;김석우;강기차부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509-512
    • /
    • 2007
  • The fire area need management to prevent enlargement of collapes and sinkage. and it need that repair Vegetation sack work, Soil arresting structure, Terrace-sodding works, Direct seeding works in greening works and Water cushion in erosion control dam. The whole of the Concrete stream grade stabilization structures were broken, it need to be repair. As pass the time, a lot of structures were abandoned. Therefore, it need to reorganize erosion control structures and the method of construction in the fire area

  • PDF

현장관측에 의한 친환경 해안조성을 위한 침식방지 호안공 개발에 관한 기초적 연구 (Basic Research on Revetments Development of Erosion Protection for Coastline Creation of Hydrophilic Environment by Field Observation)

  • 이종석;한재명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1권10호
    • /
    • pp.983-993
    • /
    • 2008
  • 근래에 이상기상과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해사채취, 난개발에 의해 국내외 연안역에 여러 형태의 침식피해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대한 침식방지 및 보호대책 공법이 적용되고 있으나 큰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 연안보호 구조물로 PC 콘크리트 호안블럭이 국내외 연안에 시공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기존 구조물들은 사람의 접근성이 어려운 구조물로 시공되어 있어 친수성이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런 점들을 보완하여 사람들의 접근성이 좋으면서 연안침식 방지 보호 능력이 우수한 친수성 호안공을 개발하고자 한다. 개발한 호안공의 성능과 기능의 확보를 위해 모형실험이 반사율, 파량, 월파고에 대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는 일반 계단형 보다 훨씬 좋은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호안공의 실용화를 위해 현장실험은 노출부 일단면의 식생실험과 해안역의 침식구간에 시공실험을 실시하였다. 후자의 경우는 실험구간에서 많은 양의 모래가 짧은 시간에 퇴적되어 연안침식 방지 및 보호용 친수 호안공으로서의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문헌 및 위성영상에 기초한 북한의 산지토사재해 발생경향 및 복구사례 분석 (Analyzing the Occurrence Trend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and Post-Disaster Recovery Cases in Mountain Regions in N orth Korea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Satellite Image Observations)

  • 김기대;강민정;김석우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10권3호
    • /
    • pp.419-430
    • /
    • 2021
  • 이 연구는 1960년부터 2019년까지 북한에서 발생한 산지토사재해의 시공간적 발생경향과 일부 발생 및 복구 사례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북한의 산지토사재해 발생이력은 1995년(김정일 집권시기)부터 대외적으로 보고되기 시작하였고, 여름철 호우가 주된 유발요인으로 나타났다. 산림황폐율은 인구밀도와 밀접한 관련성(R2 = 0.4347, p = 0.02)을 보이며, 산림황폐율이 높은 서해안에서 산지토사재해 발생 보고건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인위적 산림훼손이 산림황폐화의 주된 원인이며, 나아가 산지토사재해 발생에도 현저한 영향을 끼쳤음을 시사한다. 위성영상을 통해 표층붕괴, 토석류 및 땅밀림 발생이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산지토사재해는 일반산지뿐만 아니라 다락밭, 채석장, 임도, 산불피해지 등 산림훼손지에서도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피해지역은 복구사업의 시행 없이 존치되었지만, 일부 지역에서 산복 녹화공 등의 산지사방사업 또는 사방댐, 유도둑 등의 야계사방사업을 시행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림복구 및 사방사업 분야의 남북 교류협력 확대에 필요한 기초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Management Strategy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Chun, Kun-Woo;Kim, Suk-Woo;Lee, Youn-Ta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192-195
    • /
    • 2018
  • To establish a management strategy of sediment-related disaster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to 1) understand the specific details and problems about the present status, 2) systematize related technologies by using exact numerical values obtained from physically-based analysis, and 3) ensure the basic guidelines are applied to field elastically. To achieve these successfully, detailed guidelines are required by scientifically considering the utilization and impact of related technology on the field. Here, detailed guidelines should include 1) the development of a basic plan, 2) enhancement of relevant technical instructions, 3) establishment of survey and inspection methods, 4) procedure of erosion control works in urban living sphere, and 5) proa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sediment-related disaster caused by earthquakes.

Thematic Map Construction of Erosion and Deposition in Rivers Using GIS-based DEM Comparison Technique

  • Han, Seung Hee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3-159
    • /
    • 2016
  • Rivers refer to either natural or artificial structures whose primary functions are flood control and water conservation. Due to recent localized torrential downpours led by climate change, large amounts of eroded soil have been carried away, forming deposits downstream, which in turn degrades the capacity to fulfill these functions. To manage rivers more effectively, we need data on riverbed erosion and deposition. However, environmental factors make it challenging to take measurements in rivers, and data errors tend to prevent researchers from grasping the current state of erosions and deposits. In this contex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required for river management. To this end, the author made annual measurements with a Real-time Kinematic-Global Positioning System (RTK-GPS) and a total station in Pats Cabin Canyon, Oregon, United States, and also prepared thematic maps of erosion and deposition thickness as well as water depth profiles based on a GIS spatial analysis. Furthermore, the author statistically analyzed the accuracy of three dimensional (3D) measurement points and only used the data that falls within two standard deviations (i.e. ±2σ). In addition, the author determined a threshold for a DEM of Difference (DoD) by installing measurement points in the rivers and taking measurements, and then estimated erosion and deposition thickness within a confidence interval of ±0.1m. Based on the results, the author established reliable data on river depth profiles and thematic maps of erosion and deposition thickness using pre-determined work flows. It is anticipated that the riverbed data can be utilized for effective river management.

황폐계류의 사방공작물 시공에 따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의 변화 - 시공 직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 (The Varia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Caused by Erosion Control Works in a Torrential Stream - Focused on Varia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alyzed immediately after Construction Works -)

  • 이도형;이기환;이헌호;마호섭;배관호;김종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53-364
    • /
    • 2009
  • 본 연구는 산지황폐계류에 시공한 사방공작물이 계곡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시공 전후를 기준으로 조사지점별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출현종의 변화분석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공 전 출현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총 수는 4문 6강 11목 22과 25종 3,086개체였으나 시공 후 조사에서는 4문 6강 10목 17과 19종 1,208개체로 감소하였다. 특히, 직접적인 사방공작물의 시공이 이루어진 조사지점에서는 시공 후 생물종이 전혀 출현하지 않거나, 극소량만이 채집되어 서식종의 현존량을 기초로 하는 다양도 지수, 풍부도 지수, 균등도 지수가 감소 또는 산출되지 않았다. 저서생물의 군집분석 결과 및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생태점수(ESB)는 모든 조사지점에서 시공전보다 시공 후에 오수생물계열, 환경상태, 수질등급과 같은 계곡환경질이 저하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시공전 상류는 양호 및 다소 양호, 중류는 다소 불량, 하류는 불량 및 매우 불량으로 분석되었으나, 시공 후 상류 일부 지역을 제외한 나머지 수역은 매우 불량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상 계류의 수질등급의 경우 시공 전에는 $I{\sim}III$등급 사이로 분류되었으나, 시공 후 대조군을 제외하고는 모두 $IV{\sim}V$등급으로 악화되었다 이와 같이 사방공작물의 시공후 모든 조사지점에서 발생한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의 서식 환경 파괴는 개체수의 감소와 수질악화로 이어졌다. 이 결과는 사방공작물의 시공 직후에 조사 분석한 것이므로, 향후 장기간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시공한 사방공작물의 재해방지 효과와 함께 계류 생태계의 회복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2차원 수리해석에 의한 하천 제방 위험도 평가분석 (Hazard Evaluation of Levee by Two-Dimensional Hydraulic Analysis)

  • 박준형;김태형;한건연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5-57
    • /
    • 2016
  • 실무에서 사용되고 있는 제방의 안전도 평가는 여러 가지 붕괴원인 중 하나의 요인에 대해서만 평가를 하거나 주로 제방의 물리적인 특성을 이용한 1차원 수리분석을 통한 평가에 국한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평가기법들은 제방의 다양한 붕괴원인을 동시에 고려할 수 없으며, 정확한 지형정보를 필요로 하는 곳에서 신뢰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정확한 지형정보를 반영한 2차원 수리해석을 결과를 이용하여 제방의 다양한 붕괴원인인 월류, 침투, 침식위험도를 동시에 고려한 제방 위험도 지수를 제안하였다. 낙동강 유역의 주요 합류부에 대해 하천준설사업 전 후의 지형 변화를 고려하여 2차원 수리모형을 이용한 수리해석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통해 제방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본 연구는 정확한 하천의 형상을 반영한 수리해석 결과를 이용한 객관적이고 신뢰도 높은 제방위험도 평가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