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extra-large egg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Production performance and egg quality parameters in Hy-line brown laying hen in response to extra feed supplementation

  • Md Mortuza Hossain;Jae Hong Park;In Ho Kim
    • 농업과학연구
    • /
    • 제50권2호
    • /
    • pp.249-256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providing laying hens with extra feed on egg production and egg quality parameters. A total of 480 laying hens (38-weeks old), were divided into five treatment groups (eight replicate cages/treatment and 12 layer/replicate) according to their starting body weight (1.98 ± 0.05 kg) in this four-week feeding trial. Five different feed allowances of the same diet (105, 110, 115, 120, and 125 g·day-1·bird-1) were assigned to layers. Daily inspections of remaining feed (around 0.1g) and layer mortality (0%) showed no harmful impact of supplying extra feed to layers. Providing 120 and 125 g of feed per day to layers resulted in the highest final body weight, large-egg ratio, and improved yolk color among all treatment groups. Layers receiving 125 g of feed daily had the highest egg weight, but the highest egg production ratio was observed in layers receiving 110 g of feed/day. The additional supply of feed did not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productive performance or egg quality of the layers. The provision of 125 g feed per day led to an improvement of large-egg ratio, egg weight, and yolk color, but likely led to obesity of the layers, which manifested as an increase in body weight and a decline in the egg production ratio. We concluded that 110 grams of feed was the proper quantity aft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ignificance of the health of the laying hen to the overall production performance.

산란계 사육농장 특란 생산에 미치는 외부 요인 분석을 위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Exogenous Factors affecting Extra-large Egg Production in a Layer Farm in Korea)

  • 이현창;장우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99-104
    • /
    • 2014
  • 산란계 농가를 둘러싼 사료 값 폭등과 유가 상승 등 각종 생산 비용의 증가는 예측하기 어렵고, 통제하기 힘든 대외적 환경의 변화이다. 산란계 농가는 종계, 사료, 약품, 시설 등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급격한 외적인 환경변화는 산란계 농가 입장에서 예측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이를 인지하더라도 대응하기 어렵다. 결국 사료 가격과 에너지 비용의 상승은 농가 차원에서는 통제가 사실상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외적인 여건 변화에 취약한 산란계 농가의 입장에서는 품질 향상, 생산비 절감 등을 통해 내부 경영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 할 수 있다. 산란계 농가가 계란 생산에 필요한 외부 요인들을 적절하게 통제할 수 있는 사양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경우, 특란 생산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이는 산란계 농가의 소득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흥생양계 의성농장이 경영 장부에 기록된 기초 통계량 중에서 급이량, 내부 최고 온도, 내부 최저 온도, 시산일령의 외부 요인들이 산란계 농가의 특란 생산에 영향을 주고 있었다. 둘째, 회귀모형의 추정에서 표준화 계수로부터 살펴본 결과, 산란계 농가의 특란 생산량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외부요인은 급이량이며, 다음이 시산일령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산란계 농가의 특란 생산량 증대를 위해서는 농장의 한생산주기 동안 산란계의 시산일령에 따라서 효과적인 급이량의 배분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외부 요인별 탄력성을 이용하여 산란계 농가의 특란 생산량의 변동성을 알아본 결과, 외부 요인인 독립변수 중에서 변동성이 가장 큰 것은 급이량이며, 다음으로 시산일령인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계 농가의 사양 관리에서 1회 생산주기 동안 특란 생산량 증가를 통하여 소득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산란계의 시산일령 변화에 따른 급이량의 조절 등 효율적인 사양 관리 시스템 구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산란계 계사(鷄舍)의 내부 최고 온도와 내부 최저온도의 변화가 특란 생산량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계절에 따른 계사 내부의 적정 온도 유지에 유의해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산란계 농가의 특란 생산량에는 급이량, 시산일령, 내부 온도 변화 등 외부 요인들이 정도는 다르지만 개별적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으므로, 산란계 농가에서는 이를 고려한 계절별 성장 단계별 사양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계란의 유통에 대한 조사연구 (Studies on the Marketing of Eggs)

  • 정선부;오봉국;오세정;정일정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5-50
    • /
    • 1985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계란 유통현황을 조사하기 위하여 서울근교, 대전근교, 광주근교, 부산근교에 소재하고 있는 수집상 8개소, 도배상 16개소, 소매상 12개소 및 슈퍼마켓 6개소를 대상으로 설문서를 작성하여 설문조사하였고 그 결과를 계란의 유통규격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1. 계란의 중량별 구분은 생산자가 주로 실시하며 이 계란의 유통가격은 유통단계별로 2-3원 차가 있었으며 왕란 및 특란은 가정소비가 많았고 대란은 음식점과 가정집에서 그리고 중란과 소란은 음식점에서 주로 소비하고 있다. 2. 소비자 측면에서 볼 때 갈색란을 개당 1.5원씩 더 주고 구입하는 경향이 있었고 중량별 구분은 대체로 믿고 있었다. 3. 소비자의 계란 1회구입량은 30개 주였으며 포장할 경우 10개 단위의 포장을 희망하고 있으며 10개의 포장비용은 10-20원이었고 포장판매를 원하고 있는 비율이 55-64% 정도나 되었다. 4. 유통상인이 구입한 계란은 7일이내에 대부분 판매하고 있으며 계란이 가장 많이 판매되는 계절은 가을이며 G. P센타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비율이 36.4%나 되었다.

  • PDF

Lactobacillus reuteri의 급여가 산란계의 생산성, 영양소 이용율 및 장내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Lactobacillus reuteri to Laying Hens on Laying Performance, Availability and Intestinal Microflora)

  • 김상호;박수영;이상진;류경선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265-271
    • /
    • 2004
  • 본 연구는 산란계에 대한 유산균 배양물의 첨가가 생산성, 계란 품질 및 소화기관내 미생물 변화 및 영양소 이용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산란계 480수를 공시하여 8주간 사양시험을 실시하였다. 첨가된 유산균 배양물은 육계 맹장에서 채취한 L. reuteri avlbro2 배양물이었으며 첨가수준은 0.1, 0.2, $0.4\%$였다. 산란율은 $0.2\%$ 첨가구가 무첨가구에 비하여 유의적인 증가를 보였으며(P<0.05), 난중은 모든 유산균 배양물 첨가구가 무거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1일 산란량 역시 유산균 배양물 첨가구가 무첨가보다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사료섭취량은 유산균 배양물 첨가구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사료요구율은 모든 첨가구가 유의하게 개선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계란의 중량등급별 분포에서 유산균 배양물 급여구가 무첨가에 비하여 왕란과 특란의 비율이 향상되고 대란의 비율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양소 이용율에서 LR $0.4\%$첨가구가 건물 및 조단백질 이용율이 무첨가 대비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며(P<0.05), 조지방 및 조회분 소화율은 처리간 유의성은 인정되지 않았다. 난각 강도와 난각 두께 및 Haugh unit, 난황색은 처리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장과 맹장 내용물의 미생물 변화에서 유산균 배양물 급여구에서 유산균의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E. coli와 Salmonella는 처 리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서 산란계에 대한 유산균 배양물의 첨가 급여는 산란율과 난중, 산란량이 증가하고 사료효을이 개선되었으며 영양소 소화율의 증진 및 장내 유익균의 수가 증가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1.0\%$의 EG를 첨가한 처리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EPA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EGBD를 첨가한 구들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DHA는 $2.0\%$의 EGBB를 첨가한 구에서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대조구를 포함한 다른 처리구들에 비해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높았다. 실험 2에서도 증체량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사료요구율은 시험 전 기간동안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좋았다. 가슴살의 지방산 조성의 결과를 보면 linoleic acid는 대조구가 유의하게 높았다. EP4 DHA와 lignoceric acid는 모두 $1.0\%$의 EGBD를 첨가한 구가 유의적으로 가장 높았고, Euglena를 첨가한 구들 모두가 대조구보다 높았으며, 그중 EGBD를 첨가한 구들이 유의적으로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Euglena의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에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시험 2에선 EGBD의 첨가가 사료효율을 개선시키는 경향.이 있었다. DHA를 강화시킨 Euglena인 EGD나 EGBD의 첨가는 계육 내의 DHA를 비롯한 $\omega$-3 계열의 지방산의 수준을 높이는데, 특히 EGBD는 DHA 강화 효과가 높았다.학적 성질에 있어 일반 종이포장재보다 우수한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다. 그러나 숯포장재 제조 시 숯의 기능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요인 및 제조 방법 등을 개선함으로써 숯의 기능성과 친환경적 특성을 최대한 살린 포장재의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것으로 생각한다.예측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있을 것으로 판단된다.%$의 무기물질(Zeolite)이 첨가되어진 Modified California putting green system이

지렁이, 분변토 및 백강균 첨가에 의한 산란계의 생산성 및 계란의 영양적 조성 향상 (Effect of the supplement of the earthworm cast, earthworm and B. bassiana on the improvement of both the productivity of hens and nutritional constituents of eggs)

  • 이은영;박장우
    • 유기물자원화
    • /
    • 제14권2호
    • /
    • pp.91-100
    • /
    • 2006
  • 기능성 계란의 생산을 위하여 유기성 폐기물인 분변토와 지렁이를 산란계의 사료에 첨가하여 생산성 및 영양학적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분변토는 산란수와 선별률, 사료 잔량 등을 비교해 볼 때 대조구보다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렁이를 사료로 공급시킨 경우 계란 선별율에서 왕란의 숫자가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사료의 잔량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영양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분변토는 전체사료에 10% 첨가된 실험구가 대조구보다 평균산란수 96.8개로 5% 높게, 계란의 선별율은 왕란이 5%, 특란이 1.1% 저하되었지만, 대란은 5% 상승하였으며, 평균 사료 잔량은 662.5g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유용미생물로서 Beauveria bassiana (백강균)을 접종하여 병원성균의 증식을 막고 필수아미노산의 공급을 기대하였다. B. bassiana KACC 40039를 접종한 실험구는 마리당 평균산란수 0.82개이며 B. bassiana HYB를 접종한 실험구는 0.77개로 대조구와 3%~8% 높은 산란율을 나타냈으며, 파란율은 0%를 나타낸 B. bassiana KACC 40039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분분석을 통한 계란의 영양적 검토에서도 단백질의 증가와 콜레스테롤의 저하로 대조구보다 우수한 결과가 나왔고, 결과값에 따라 생산농가에 큰 소득증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