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antastic

검색결과 172건 처리시간 0.021초

ON FUZZY FANTASTIC FILTERS OF LATTICE IMPLICATION ALGEBRAS

  • Jun, Young-Bae;Song, Seok-Zun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4권1_2호
    • /
    • pp.137-155
    • /
    • 2004
  • Fuzzification of a fantastic filter in a lattice implication algebra is considered. Relations among a fuzzy filter, a fuzzy fantastic filter, and fuzzy positive implicative filter are stated. Conditions for a fuzzy filter to be a fuzzy fantastic filter are given. Using the notion of level set, a characterization of a fuzzy fantastic filter is considered. Extension property for fuzzy fantastic filters is established. The notion of normal/maximal fuzzy fantastic filters and complete fuzzy fantastic filters is introduced, and some related properties are investigated.

현대패션에 반영된 판타스틱(The Fantastic)의 표현특성 (The Expression Characteristics of the Fantastic Reflected on the Contemporary Fashion)

  • 긴동욱;최정화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96-407
    • /
    • 2011
  • Various media are expanding the fantastic expression methods and sphere wider than now. As an intermediate for expressing fully self-desires, fashion of the day has surfacing an important concept called fantastic that does not exist and surpasses reality in expressing the ideal body of a desiring body. Goth and cospre are personal expressions of movie costumes that visualize virtual reality as representative of fantastic fashions. The fantastic is a modem concept putting together SF, fantasy, magical realism, fable, and surrealism. Studies in fashion fields related to fantastic have treated fantastic illiberally and peripherally owing to the centering on the SF genre or fantasy. The thesis that dealt with an important fashion as an external favorite as well as the socio-cultural contents of the expressed body in genre expression remains inadequate. In research methods, this study carried out theoretical reviews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 of the fantastic through literature data that includes local and international theoretical books, monographs, and dissertations that are related to the fantastic. The experimental analysis was executed by collecting fashion works shown after 2000 and included in special fashion editions, collection magazines, Internet materials, and monographs. The results show that the categorization of expression characteristic (according to fantastic spheres) appeared as 5 kinds such as uncanny borderline, cyborg grotesque, heroic superman, myth allegory, and unconscious meaninglessness.

FOLDING THEORY OF IMPLICATIVE/FANTASTIC FILTERS IN LATTICE IMPLICATION ALGEBRAS

  • Jun, Young-Bae;Song, Seok-Zun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11-21
    • /
    • 2004
  • We discuss the n-fold implicative/fantastic filters in lattice implication algebras, which are extended notions of implicative/fantastic filters. Characterizations of n-fold implicative/fantastic filters are given. Conditions for a filter to be n-fold implicative are provided. Extension property for an n-fold fantastic filter is established.

현대 실내공간의 환상적 표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ntastic Expression of the Contemporary Interior Space)

  • 안은희;이정욱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79-87
    • /
    • 2006
  • 'Fantasy' in this study is Not something fantastic in the used to be-way we can Imagine easily. This study is to figure out 'fantasy' and 'the fantastic' as a significant measure to interpret the contemporary space-time. In particular, it analyzed that fantasy have influenced on some kind of specific trend what is expressed a tendency to contemporary interior designs of informal, indeterminacy and unpredictability. Fantasy is represented as 'the fantastic space' through spatial revealing, concealing, distorting, and connoting. Representation becomes a major issue in almost many kinds of knowledge-system that start from the mind to go out to the world in a realistic or idealistic way. Therefore, the fantastic space reconstructs the reality while making itself through to representational creation-process. It is Important for fantasy and the fantastic space to help detect behind beneath the reality more than what we know.

<판의 미로>에 나타난 환상성과 미궁의 모티프 (The Fantastic and Labyrinth Motif in Pan's Labyrinth)

  • 노시훈
    • 대중서사연구
    • /
    • 제25권4호
    • /
    • pp.135-158
    • /
    • 2019
  • 본고의 목적은 기예르모 델 토로의 <판의 미로>(2006)를 환상영화로 평가하게 해주는 특성과 그것에 밀접하게 결부되어 나타나는 미궁의 모티프의 의미와 기능을 고찰하는 데 있다. 츠베탕 토도로프는 '환상적인 것'을 현실에 침입한 초자연적인 사건에 직면하여 자연적 해석과 초자연적 해석 사이에서 겪는 망설임이라고 정의하였는데, <판의 미로>는 그 망설임이 사라져 환상적인 것이 '기이'장르나 '경이'장르로 들어가도록 하지 않고 그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기 때문에 이 영화에서는 환상성이 계속해서 잘 드러난다. 이때 미궁은 환상계로 들어가는 통로이자 그것을 대표하는 공간으로서 예술을 상징한다. 로즈메리 잭슨은 환상이 "문화적 속박으로부터 비롯된 결핍을 보상하려고 하는 욕망의 문학"이어서 무의식적 제재들을 반복적으로 다룬다고 보았는데, 델 토로의 영화는 환상 세계에서 가족 로맨스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욕망의 표현으로서의 환상의 특성을 잘 보여준다. 이때 미궁은 욕망의 장소로서 마음을 상징한다. 캐스린 흄은 환상이 미메시스와 같이 현실에 대한 반응이자 '일치된 현실로부터의 이탈'이라고 정의하였는데, 이 영화는 '비전'장르로서 '대조'의 방법을 통해 환상계가 현실계를 비추도록 함으로써 그 정의를 충족시키고 그것이 가진 환상성을 돋보이게 한다. 이때 미궁은 현실계의 거울로서 세계를 상징한다. 이처럼 <판의 미로>는 환상적인 것이 매우 효과적으로 기능한다는 점에서 환상영화를 대표할 만하며, 이 영화에 나타난 미궁은 예술, 세계, 마음의 세 가지를 모두 상징하여 의미가 충만한 모티프라고 평가할 수 있다. 본고의 의의는 위와 같은 고찰을 통해 한 모티프가 특정 장르에서 작용하는 방식을 조명한 데 있다.

아돌포 비오이 까사레스 작품의 등장인물 연구 - 주인공과 반주인공, 주인공 화자와 편집자 화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 in Adolfo Bioy Casares' Literature Works - Focusing on protagonist/antagonist, protagonist narrator/editor narrator)

  • 전용갑
    • 비교문화연구
    • /
    • 제25권
    • /
    • pp.453-482
    • /
    • 2011
  • Until now and in the studying of fantastic literature, there has been likely to regard the character as secondary element, compared to their actions. However, it has to be recognized that the characters is a barometer to divide the boundary among the marvellous literature, or fantasy, magic realism, etc., in particular it is an important narrative element to understand an epistemological vision of fantastic literature. This thesis analyzes the characters, focusing on two dimensions divided such as between protagonist/antagonist and protagonist narrator/editor narrator. The characters in fantastic literature are usually set-up as people like ourselves, because it is necessary for the readers to consider the supernatural phenomenon as real world situation. The reason why many characters in fantastic literature usually meet a tragic end is that the structure of fantastic literature embedded unresolved supernatural confusion into ordinary order in the end, while antagonists are viewed as holders of extraordinariness and they are far from vero-similarity. Together with usual characters who represent the world of logic and reason, antagonists who seek to understand more about the universe totally and thus regarded as symbols of intuition and imagination and ultimately are the elements of fantastic literature. On the other hand, the "first person narrator" is divided between "protagonist narrator" who narrates the supernatural things through his/her own experience to readers and "editor narrator" who narrates the other's experiences. Particularly in the case of "editor narrator", he/she may narrates the stories with different explication and angle, which lead to hesitation and confusion for readers to identify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or natural logic and supernatural one. Even though there are various categories in fantastic literature, this thesis exclude 'neo fantastic', 'metaphysical fantastic' ones, characterized as a possibility of convergence with the secondary interpretation and symbolic implication. Beyond these materials, the literatures which involved with this thesis and analysis are normally related with traditional fantastic literary works which supernatural events intervene in real world and bring out collision between real and unreal, or natural and supernatural logics. Based on this criteria, this thesis chooses literary works such as "De los Reyes Futuros", "El Perjurio de la Nieve" written by Adolfo Bioy Casares who is a representative author in Latin American fantastic literature.

노인영화의 환몽구조 연구-<수상한 그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tructure of Fantastic Dream of the Elderly Movie -Focused on )

  • 임정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95-502
    • /
    • 2018
  • 이 글은 2000년대에 접어들어 제작이 활발해진 노인영화의 핵심적인 특징을 환몽구조로 파악한다. 그리고 <수상한 그녀>를 중심으로 '현실-꿈(비현실)-현실'의 환몽구조가 작품에 구현된 양상과 의미를 고전소설 "금오신화"와 비교해 살펴본다. <수상한 그녀>에서 환몽구조가 구현되는 양상은 1)인물과 공간의 이중성, 2)현실과 비현실의 경계 넘나들기로 요약된다. 이 영화에서 며느리와의 불화, 요양원 입원 등으로 괴로워하던 70대 할머니 오말순은 20대 오두리로 변신했다가 오말순으로 돌아온다. 오말순은 20대 처녀라는 꿈(비현실)의 세계를 경험한 후 내면의 변화를 겪고, 새로운 인물로 거듭난다. 이때 꿈의 세계가 현실 세계안에서 펼쳐지는 점이 일반적인 판타지영화의 환몽구조와 다르다. <수상한 그녀>는 환몽구조를 통해 인물의 갈등 해소와 소망 실현, 정신적 재탄생의 과정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특징은 치매 노인이 등장하는 <장수상회>에서도 유사하게 나타난다. 노인영화는 환몽구조의 보편성과 고령화 사회의 시대적 특수성을 동시에 수용하고 있는 것이다.

90년대 말 한국영화의 환상성 경향 연구 - 김기덕의 <나쁜 남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ntastic Trend of Korean Movies in the late 90s : Focused on Kim Giduk's Bad Guy)

  • 이지현
    • 트랜스-
    • /
    • 제4권
    • /
    • pp.87-109
    • /
    • 2018
  • 90년대에 만들어진 환상적 한국영화 계열의 장르는 다양하다. 이들 작품의 환상성은 굳이 '귀신' 소재 영화들만 한정되어 발현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작가 이상(Lee sang)의 미스테리를 바탕으로 완성된 영화 <건축무한 육면각체의 비밀>이 구조주의적 환상의 이야기를 지녔다고 한다면, <텔미썸딩> 같은 작품은 심리주의적으로 관습적인 환상을 지니고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다. 본고는 당대 한국영화의 환상성을 '사실주의에 기반한 알레고리의 완성'을 통해 들여다본다. 그를 위해서 에티엔 수리오(Etienne Souriau)의 환상성 개념을 빌린다. 일부 영화에서 환상성은 현상하는 자연에서 직접 발견될 수 있으며, 이때 자연을 객관화시키는 주체로 자신들의 위치를 격상시키고, 자연에 대한 지배를 정당화한 인간 존재는 그 대가로 '소외'를 맞이하게 된다. 영화의 내러티브에서 이러한 소외의 개념은 알레고리를 통해 자주 드러나는데, 특히 에티엔 수리오가 이른 '개인의 경험'에 따른 환상성의 발현에서 이 점은 더욱 극명해진다. 그런 면에서 김기덕의 영화는 개인의 경험을 통해 사회의 요소들을 알레고리화 하는 대표적 예라 할 수 있다. 김기덕의 <나쁜 남자>를 중심으로, 본고는 90년대 한국의 환상적인 영화들이 사회의 모방을 통해 심미적인 환상성을 구축하는 과정을 분석한다.

  • PDF

패션 일러스트레이션에 나타난 판타스틱 신체의 표현 분석 (The Expression of Fantastic Body in Fashion Illustration)

  • 최정화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867-877
    • /
    • 2009
  • These days, the fantastic in opposition to classic beauty becomes a genre of creative body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ressive characteristics of body types and meanings in recent fantastic fashion illustration. The method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cent documentaries, fashion books, internet web site and so for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In literatures, pictures and movies, the category of the fantastic body's expressive types were classified as dominant mutant based on SF, multi body or fragment body by disruption, heterogeneous compound based on myth, personified humanoid and non substance in supernatural boundary. The dominant mutant based on SF was expressed image morphing, composition of machine image with body and modern metamorphosis of classic SF body. It means propensity to post-feminism and reservation of meaning analysis based on human unconsciousness. The multi body or fragment body by disruption in fashion illustration was expressed distorted composition of same body pictures, replacement of different bodies, deconstruction and partial omission of body and composition of meaning or non meaning images. It means permanence of self and basic narcissism. The heterogeneous compound based on myth was expressed general composition or optical illusion of various and aggressive animal motive. It means reinterpretation of original myth, metaphor of basic femme fatale, pursuit of permanence and sign of primitive mind in unconsciousness. The personified humanoid was expressed real human body description of mannequin or ball joint doll and anthropomorphism of robot image. It means representative satisfaction and nostalgia of childhood. The non substance in supernatural boundary was expressed grotesque description of ghost, zombie, vampire, angel, fairy, using of symbolic red, black color and non body. It means human's basic desire about immortality and taboo. Through the result of these study, the expression of fantastic body in fashion illustration will expend expressive method and we will understand human and cultural codes of today.

<죽은 시간들(Les Temps Morts), 르네 랄루(René Laloux) 작, 1964>의 환상성 (The 'Fantastic' in the René Laloux's movie )

  • 한상정;박상천
    •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 /
    • 통권27호
    • /
    • pp.31-49
    • /
    • 2012
  • 르네 랄루가 1964년에 발표한 <죽은 시간들>은 실사필름, 사진, 그림, 애니메이션, 이렇게 네 가지의 표현형식이 결합되어 있다. 이 작품은 그의 다른 어떤 작품들보다도 기묘하며, 전체적인 테마는 감지할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불명확한, 불확실한 어떤 것을 제공한다. 그리고 이런 감정은 이 작품이 '환상적'이라고 판단하게 만든다. 이 논문은 '환상성'이란 무엇이며, 이 작품에서는 무엇을 통해 환상성이 산출되고 있는가를 분석하려고 한다. 우리가 환상성을 토도로프의 정의에 따라 '현실성과 비현실성사이의 망설임'이라고 규정한다면 이 작품만큼 적절한 예를 찾기가 쉽지 않다. 전체적으로 <죽은 시간들>이 이러한 인상을 남긴다면, 이 인상들은 작품의 텍스트적 특징과 상관적일 것이며, 텍스트의 자세한 분석이 필요하다. 우선, 롤랑토퍼의 두 가지 그림체 중 한 가지 그림체가 시선을 끈다. 이 그림체만으로 환상성을 일부 제공할 수 있지만, 랄루가 이 하나의 그림체로 작품 전체를 덮고 있는 것은 아니다. 그는 비현실성과는 거리가 있는, 현실성, 핍진성에 기반하고 있는 실사필름과 사진형식 역시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 작품을 진행순서대로 시각적 표현형식과 청각적 표현형식에 따라 분해하면서 전체적인 구성과 구조를 파악해야만 한다. 이 분해를 통해 우리는 네 가지 표현형식들이 청각적 표현형식(음악과 내레이션)에 의해서 하나의 통일체로 통합되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이 통일체로 완벽하게 통합되지 않는 부분들을 남겨두고 있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랄루는 작품의 뒷부분으로 갈수록 관객을 현실로 끌고 가지만, 마지막 순간에 또 다시 비현실성이 강한, 해석이 정확하지 않은 시퀀스들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관객은 또다시 현실과 비현실사이에서 망설이게 되고, 결과적으로 작품의 환상성이 강화된다. 결국 이 작품은, 시각적인 차원에서의 환상성, 작품의 구성과 구조적인 차원에서의 환상성, 또 총괄적으로 이들을 통한 전체 이야기 해석의 불가해성을 남김으로써 관객에게 풍부한 환상성을 제공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