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bril form matrix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2초

목재세포벽(木材細胞壁)의 MICRO FIBRIL 경사각(傾斜角)에 관(關)한 연구(硏究)(1) - 수간내(樹幹內) MICRO FIBRIL 경사각(傾斜角)의 변이(變異) - (Studils on Micro Fibril Angle of Woody Plant Cell Wall(1) - Variation of Micro Fibril Angle on Tree Stem -)

  • 전수경;이원용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5-11
    • /
    • 1983
  • This paper aims at gaining the informations atout the fibril angle at secondary walls of tracheids. The test specimens were taken from disks on stem wood of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The method of measuring the fibirl angle was selected so-called "iodine method" that crystalline aggregates of iodine may be induced to form within the elongated interstices of the cellulose matrix of the secondary wall and that these elongated crystals are oriented parallel to the long axies of the fibrills of cellulose. The following conclusions may be drawn from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1) Gross average fibril angle was about $17.6^{\circ}$ on stem wood. 2) Its values seem to be greater for earlywood (avg.$19.8^{\circ}$) than for latewood tracheids (avg.$15.3^{\circ}$) in normal wood. 3)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annual ring from pith to barks the orientation of fibril angle seems to be decrease gradually in normal wood. 4) In the case of height variation in trees the sample trees have a tendency to increase the orientation fibril angle to the increase of tree height in stem.

  • PDF

잣나무 Fibril 경사각(傾斜角)의 변이(變異)에 관한 연구(硏究) (Trends of Fibril Angle Variation in Pinus koraiensis Sieb. et Zucc.)

  • 이원용;권진헌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44-52
    • /
    • 1980
  • 이 연구(硏究)의 목적(目的)은 우리나라의 주요(主要)한 수종(樹種)인 잣나무에 대(對)하여 fibril 경사각(傾斜角)의 변이(變異)을 알아 보기 위한 것이다. 1937년(年)에 I. W. Bailey 씨(氏)는 옥도(沃度)의 침상결정(針狀結晶)을 통하여 가도관이차막중층(假導管二次膜中層)이 fibril 경각측정(傾角測定)의 가능성(可能性)을 발표(發表)하였다. 그래서 필자(筆者)는 일본(日本)의 소림미일씨(小林彌一氏)의 간편법(簡便法)을 이용(利用)하여 이 연구(硏究)를 시도(試圖)하였는데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Fibril 각도(角度)는 추재(秋材)보다는 춘재(春材)에서 더 크게 나타나 있다. 2. Fibril 경각(傾角)은 수피(樹皮)쪽 보다는 수(髓)쪽이 더 크게 나타나 있다. 3. 수(髓)에서 수피(樹皮)쪽으로 이행(移行)함에 따라 춘(春) 추재(秋材)의 차이(差異)는 수(髓)에 가까운 쪽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 있다.

  • PDF

Application of Biofilter Using Fibril-form Matrix for Odor Gas Removal

  • Lee, Gwang-Yeon;Jeong, Gwi-Taek;Lee, Kyoung-Min;Snuwoo, Chang-Shin;Lee, Woo-Tae;Cha, Jin-Myoung;Jang, Young-Seon;Park, Don-Hee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5년도 생물공학의 동향(XVI)
    • /
    • pp.247-251
    • /
    • 2005
  • This research was performed for developing of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of odor gas such as MEK, $H_{2}S$, and toluene, which is generated from the food waste recycling process. To establish the operational conditions of odor gas removal by small-scale biofiltration equipment, it was continuously operated by using toluene as a treating odor object. When the odor treating microorganisms were adhered to fibril form biofilter, high removal efficiency over 93% was obtained by biofilm formation. At 400 ppm of inlet odor gas concentration and 10 sec of retention time, the removal efficiency was 76% and 93% in 1st stage reactor and 2nd stage reactor, respectively. However, the removal efficiency remained over 97% at the operational conditions above 15 sec of retention time.

  • PDF

악취가스 제거를 위안 섬유상 담체를 적용한 바이오필터 운전조건에 관한 연구 (Study of Operation Condition of Biofilter Using Fibril-form Matrix for Odor Gas Removal)

  • 정귀택;이광연;변기영;이경민;선우창신;이우태;박찬영;김도형;차진명;장영선;박돈희
    • KSBB Journal
    • /
    • 제20권5호
    • /
    • pp.341-344
    • /
    • 2005
  • 섬유상 담체를 이용한 2단 소형 바이오필터를 이용한 악취가스 처리공정의 운전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BTX를 처리대상 물질로 바이오필터를 연속적으로 운전하여 섬유상 바이오필터 담체에 악취가스 처리용 미생물을 부착시킨 결과 우수한 부착된 생물막을 형성하여 높은 처리효율 $93\%$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악취 유입 농도 400 ppm 미만에서 체류시간 10 sec일 때 1단 반응기에서 $76\%$ 정도 제거율을 보이다가 2단 반응기에서 약 $93\%$의 제거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체류시간이 15 sec 이상인 경우에는 제거효율이 $97\%$ 이상 유지되었다.

MEK 제거를 위한 바이오필터용 담체의 선택 (Selection of Biofilter Support for Removing MEK)

  • 정귀택;이광연;이경민;선우창신;이우태;정승호;차진명;장영선;박돈희
    • KSBB Journal
    • /
    • 제21권1호
    • /
    • pp.34-41
    • /
    • 2006
  • 본 악취제거용 바이오필터에 필요한 담체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합성악취가스의 조성이 MEK 250 ppm을 바이오필터에 통과시켰을 때, 폴리프로필렌 섬유상은 $586.6g-MEK/m^3\;hr$로 실험담체 중에서 최고 제거량을 나타내었다. 폴리우레탄 담체는 $359.7g-MEK/m^3\;hr$을 제거용량을 나타내었다. 화산석 담체의 제거량은 $56.2g-MEK/m^3\;hr$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담체 중에서 MEK 제거에 사용될 수 있는 최적의 담체로는 폴리플로필렌 섬유상 담체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