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irm-activity network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초

기업규모, 네트워크, 그리고 기술혁신: 우리나라 제조업에 대한 실증 분석 (Firm Size, Networks, and Innovation: Evidence from the Korean Manufacturing Firms)

  • 성태경
    • 기술혁신연구
    • /
    • 제13권3호
    • /
    • pp.77-100
    • /
    • 2005
  • This paper analyzes the determinants of firm's innovative activity, using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dataset. Especially, we focused on the role of external networks by partners(other firms or research institutions) in performing innovative activities. The product innovation, product improvement, and process innovation are used as proxies for innovative activity. The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market concentration ratio, lagged profitability, foreign ownership, export ratio, firm's age, formal R&D activity, and industrial R&D intensity are also considered. With data from 1,124 firms for the two years (2000-2001), we estimated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finding is that the determinants of firm's innovative activities differ by type of innovations. We also found that the innovative behavior of SMEs differs from that of large firms. The result confirms that external networks have a strong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activity. However, the network effects by partners vary across both firm size and type of innovations.

  • PDF

외부 네트워크와 기업성과 : 미국 바이오산업을 중심으로 (Analysis of Social Network Activity and Firm Performance in the U.S Biotechnology Industry)

  • 노영진;김진웅;이상규
    • 기술혁신연구
    • /
    • 제18권1호
    • /
    • pp.1-20
    • /
    • 2010
  • 본 연구는 바이오기업의 외부 네트워크 전략을 공동연구 협력, 제조/마케팅/판매 제휴, 자금지원, M&A 등 4가지로 구분하고, 이와 같은 바이오기업의 외부네트워크 전략이 기업의 성과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기 위하여 미국 바이오기업 패널자료를 사용하여 분석한다. 첫째, 기술개발 이후의 제조/판매/마케팅 제휴는 단기간에도 모든 기업성과를 증진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둘째, 기술개발단계에서의 연구개발협력 중 제약회사와의 협력은1~2년 이후의 기업성과에, 그리고 타 바이오기업과의 연구개발협력은 2년 이후의 기업성과에 정의효과를 가져왔다. 셋째, 가장 장기적이며 기초연구에 주목적을 두고 있는 공공기관 및 대학과의 공동연구 협력은 단기적인 기업성과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향후 2~3년이 아닌 보다 장기적인 관점에서 재조명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분석결과는 국내 바이오산업의 발전을 위하여 외부 네트워크전략을 통하여 기술혁신을 경주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또한 주로 기초기술에 집중된 공공기관과 대학과의 공동연구를 지원하는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

기업의 표준화활동 결정요인 : 우리나라 서비스기업에 대한 실증연구 (Determinants of Firms' Standardization Activity: Evidence from the Korean Service Firms)

  • 성태경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8권2호
    • /
    • pp.95-11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서비스기업에 있어서 표준화활동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표준화활동을 유형(혹은 범주)에 따라 기업의 전사적 표준경영, 국내표준화활동, 국제표준화활동 등으로 구분하였고, 그 결정요인으로 기술혁신활동(R&D와 특허출원), 기업규모, 수출, 네트워크(산업특성), 기업조직특성 등을 고려하였다. 분석된 표본은 서비스업에 속한 102개 기업으로 정성적 분석방법인 로지스틱 회귀모형(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D집약도는 전사적 차원에서의 표준경영과 국내표준화활동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지만, 국제표준화활동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우리나라 서비스기업들이 국제적 표준화과정에의 참여를 기술이전의 수단으로 활용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하였다. 둘째, 특허출원은 전사적 차원에서의 표준경영에 부(-)의 유의한 효과를 보여 주었다. 즉 특허활동이 활발한 서비스기업일수록 표준화를 기술혁신의 관점에서 중시하지 않고, 자사 기술정보의 유출이나 특허침해의 요인으로 간주하는 현상을 발견하였다. 셋째, 기업규모변수는 서비스기업의 경우 표준화 활동과 연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표준화에 대한 경영진의 관심은 표준화활동의 유형에 관계없이 표준화활동의 중요한 결정요인으로 분석되었다.

  • PDF

벤처기업의 성장단계별 네트워크 성과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twork Performance Factor of the Ventures by Growth Stages)

  • 정민하;최문기
    • 경영과학
    • /
    • 제19권1호
    • /
    • pp.179-188
    • /
    • 2002
  • Ventures through technological innovation are increasingly suggested as one of the main engines for economic growth that can help control inflation and black trade bal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tract the network performance factors for ventures according to ventures life cycle. For the Purpose, the existing studies were examined into start-up company, entrepreneurial firm, smell firms with competitive advantage against large firms, and ventures network activity. And 63 samples from ventures in Korea were taken and analyzed empirically. The analyses and results are (1) the actual conditions of network activity on ventures; (2) the investig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network activity and performance of ventures by venture's life cycle through the observations of Korean ventures. From the results, It Is also found that factors such as external environment and a ventures life cycle have been considered as the main influences on the performance of ventures. In additi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noted.

지역자원기반산업의 가치사슬 상의 기업활동 네트워크 -순창 장류산업을 사례로- (Firm-activity Networks in the Context of the Value Chain of Regional Resource-based Industries: A Case Study of Fermented Soy Product Industry in Sunchang)

  • 이경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351-365
    • /
    • 2011
  • 본 연구는 지역자원기반산업의 지역경제공간의 형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기업 네트워크 분석방법과 가치사슬의 개념을 통합하는 연구틀을 고안하였다. 주활동으로 원료구매에서 생산, 판매에 이르는 기업활동 네트워크를 살펴보았으며, 지원활동으로 연구개발과 기업지원서비스 네트워크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틀을 기반으로 지역자원기반산업을 유형화하고 이 유형들을 종합하여 살펴봄으로써, 지역자원기반산업의 공간적 특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연구틀을 소개하고 한국 대표적인 지역자원기반산업인 장류제조업에 적용하여, 장류산업의 기업활동 네트워크를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지역자원기반산업의 역동성을 살펴보았다.

Networks and Innovative Performance of the Korean Manufacturing Firms

  • 성태경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2005년도 통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5-28
    • /
    • 2005
  • This paper estimates the effect of networks on innovative performance at the firm level , using Korean Innovation Survey (KIS) dataset Product innovation, product improvement , and process innovation are used as proxies for innovative activity. The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firm size, market concentration ratio, lagged profitability, foreign ownership, export ratio, firm's age, formal R&D activity, and industrial R&D intensity are yet other considerations. With two year-long (2000 and 2001) data from 1,124 Korean manufacturing firms, we estimated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The research finding indicates that the external networks have a strong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output regardless of type of innovation. However, the network effects by partner (other firms or research institutions) vary across the type of innovation. Especially, we found that the user-supplier linkage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duct ion innovation, product improvement, and process innovation.

  • PDF

국내 제조업 기업의 기술혁신 요인 및 기술파급효과 분석: 가산자료 모형을 이용하여 (Determinants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Spillover Effects: Using Count Data Model)

  • 장정인;유승훈;곽승준
    • 기술혁신연구
    • /
    • 제14권3호
    • /
    • pp.23-42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terminants of output of a manufacturing firm's innovative activity (the number of patent applications) and spillover effects using a count data model. This paper attempted a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In order to take into account unobserved heterogeneity.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ed that Firm size, R&D intensity, technical network activity, and online business performance have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in the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Moreover, there are significantly positive spillover effects in the same industry sector.

  • PDF

특허 인용 관계가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소셜네트워크분석 관점 (The Effect of Patent Citation Relationship on Business Performance : A Social Network Analysis Perspective)

  • 박준형;곽기영
    • 지능정보연구
    • /
    • 제19권3호
    • /
    • pp.127-139
    • /
    • 2013
  • 최근 지식기반 사회의 진입과 더불어 지식재산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하이테크산업을 이끌고 있는 ICT기업들은 지식재산의 체계적 관리를 위하여 끊임없이 노력하고 있다. 기업의 지적 자본을 대표하는 특허정보가 지속적으로 축적됨에 따라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해졌다. 특허정보를 통하여 특허수준부터 기업수준, 산업수준, 국가 수준에 이르기 까지 다양한 수준에서의 분석이 가능하다. 특허정보는 기술 현황을 파악하거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특허 인용 정보를 활용한 분석은 크게 두 가지로, 인용 횟수를 활용하는 인용지표 분석과 인용관계를 바탕으로 한 네트워크분석으로 나뉜다. 네트워크를 통한 분석은 지식 영향의 흐름을 나타내며, 이를 통하여 기술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연구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네트워크를 활용한 분석 분야에서는 기업이 차지하는 네트워크상에서의 위치가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다각도에서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소셜네트워크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특허 인용을 기반으로 한 기업 간의 네트워크를 도출하고 특허 인용 네트워크에서 차지하는 기업의 위치적 특성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S&P500에 등록된 IT 및 통신서비스 기업 가운데 74개 기업을 표본으로 선정하였다. 소셜네트워크분석을 통하여 개별 기업들의 아웃디그리 중심성, 매개 중심성, 효율성(구조적 공백)을 측정하여 네트워크 상에서의 위치적 우위를 나타내는 독립변수로서 이용하였으며, 기업성과 변수로는 순이익을 사용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각각의 네트워크 지표는 기업성과인 순이익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가지 중심성 지표는 기업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친 반면, 구조적 공백으로 인한 위치적 우위를 나타내는 효율성은 기업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가지 네트워크 지표를 동시에 고려할 경우에는 매개 중심성만이 기업성과에 대해 통계적 유의성을 보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연구의 발견점을 토의하고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시스템반도체산업의 기술혁신패턴의 진화에 대한 연구 (Study on the Evolution of Technological Innovative Pattern in System Semiconductor Industry)

  • 문주현;박규호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320-342
    • /
    • 2011
  • 본 연구는 시스템반도체의 기술혁신패턴의 진화를 지식의 생성방식의 진화와 이에 따른 기업간 관계의 진화라는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특히 설계도구인 EDA의 등장 이후에 지식의 생성방식이 변화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기업유형의 진화, 기업간 관계의 진화 풍 기술혁신패턴이 진화하였음을 문헌자료에 대한 검토와 주요 기업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스템반도체의 혁신활동은 과거 지식의 축적을 통한 설계활동 중심의 기술개발에서 지식 및 기술활용을 위한 탐색활동 중심의 혁신활동으로 진화하고 있다. 즉, 특정 기능의 구현을 통한 제품개발이 아니라 IP를 활용한 시스템 구축으로 제품개발이 이루어지는 설계활동의 분업화로 지식과 기술의 탐색활동이 중요해지고 있다. 둘째, 지식의 가치가 높아짐에 따라서 지식을 통한 신시장의 창출과 기업간 관계를 통한 신산업, 신기술의 개발이 일어나고 있다. 동시에 기존의 설계활동보다 설계비용 절감과 설계기간이 단축되면서 시장과 기술의 진화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업유형으로 전문적 분업화가 일어나고 있다. 셋째, 지식의 활용측면이 점차적으로 강조됨에 따라 기업간 네트워크는 다른 기업과의 상호보완적인 기술개발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다양하게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논의는 국내외 기업간 네트워크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시장창출과 지식활용 등 탐색활동을 위한 제반 전략이 강구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PDF

개방형 혁신과 조직학습 특성이 벤처기업의 기술경쟁우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Open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on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 in Venture Business)

  • 서리빈;윤현덕
    • 지식경영연구
    • /
    • 제13권2호
    • /
    • pp.73-93
    • /
    • 2012
  • Although a wide range of theoretical researches have emphasized on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in cooperative R&D network, the empirical researches to synthetically examine the role of organizational learning and open innovation which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are not enough to meet academic and practical demand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pen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in venture business on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 and establish the mediating role of organizational learning. For the purpose, the questionnaires, made based on the reviewing previous researches, were collected from 274 Korean venture businesses whose managerial focus is on developing technological innovation. As a result of analysis, the relational dimensions of open innovation - network, intensity and trust shared by a firm with external R&D partners - as well as the internal organizational learning system and competence have positive influence on building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 whose sub-variables are technological excellence, market growth potential and business feasibility. In addition, it is identified that organizational learning has the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pen innovation and technological competitive advantage. These results imply that open innovation complements and expend the range of limited resources and the scope of innovation in technology-intensive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Besides, organizational learning activity reinforces the use of knowledge and resources, obtained from external R&D partner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detailed issues and discussion were made in the conclus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