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ash fire

검색결과 198건 처리시간 0.09초

전투 시스템의 순간 화재 예측 프로그램 개발 (A Development of Flash Fire Prediction Program for Combat System)

  • 황훈규;이장세;이승철;박영주;이해평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255-261
    • /
    • 2013
  • 이 논문에서는 화재와 관련된 전투 시스템의 취약성 및 생존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투 시스템의 순간 화재를 예측하고 관련 정보를 시각화해주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험에 관한 내용을 다룬다. 화재의 특성에 관한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FTA 기법을 적용하여 치명 부품의 순간 화재 확률 트리를 도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에서는 도출된 순간 화재 확률 트리를 이용하여 전투 시스템의 순간 화재 발생 확률을 계산한다. 또한 개발한 프로그램은 전투 시스템 모델에서의 치명 부품 위치, 관통 유/무, 순간 화재 확률 트리, 온도 분포를 비롯하여 외부 위협, 내장재, 연료의 물성 테이블과 같은 관련 정보를 표시해 주는 기능을 가진다.

가연성 액체의 인화점 추정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flash point determination for Alcohols & Aromatic Compounds.)

  • 최세환;김광일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24-28
    • /
    • 1993
  • The flash point for flammable liquids (alcohol, aromatic compounds) were measured by Penskt-Martens's measuring apparatus with closed cup. As a result, it was observed that the flash points had the regular tendency according to the carbon number and the molecular structure. Consequently, the flash point for the alcohols were increased in proportion to the increase of the carbon number and branch number.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iterature and experimental data are 14.6% for the relative error and 3.46$^{\circ}C$ in average for the measuring temperature.

  • PDF

운동에너지 탄과 적재포탄에 따른 전투시스템 내부에서의 순간화재발생에 대한 전산해석 (A Numerical Study on the Flash Fire in the Combat System by the Kinetic Energy Ammunition and the Loaded Shells)

  • 이승철;전우철;이해평;이헌주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6권6호
    • /
    • pp.828-832
    • /
    • 2013
  • In this paper, numerical analysis was performed about whether the flash fire of loaded shells breaks out in the virtual combat vehicle according to sorts of the kinetic energy ammunition as the preceding research for vulnerability analysis inside the combat system by an external threaty ammunition. In this simulation, Autodyn program was used and the Lee-Tarver ignition and growth model was used to determine the flash fire outbreak. In this study, the kinetic energy ammunition was set of type A and type B in two kinds and the loaded shells was set of COMPB, TNT, PBX9404 and ANB. As a result, TNT and PBX9404 have much higher flash fire probability than COMPB in high explosive, ANB has very low flash fire probability.

Seta Flash 밀폐식 장치를 이용한 Water-Methanol과 Water-Ethanol계의 인화점 측정 (The Measurement of Flash Point of Water-Methanol and Water-Ethanol Systems Using Seta Flash Closed Cup Tester)

  • 하동명;박상훈;이성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9권2호
    • /
    • pp.39-43
    • /
    • 2015
  • 인화점은 액체 혼합물의 화재와 폭발의 위험성을 특징짓는 주된 성질이다. 인화점은 가연성 액체에 불꽃이 가해졌을 때 점화가 발생하는 가장 낮은 온도로 정의된다. Seta flash 밀폐식 장치를 이용하여 이성분계 수용성 혼합물인 water-methanol계와 water-ethanol계의 인화점을 측정하였다. Wilson 식과 UNIQUAC 식과 같은 활동도 모델식을 활용한 방법을 이용하여 인화점을 계산하였다. 이 계산치와 라울의 법칙에 의한 계산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활동도 계수 모델식에 의한 계산치가 라울의 법칙에 의한 계산치 보다 측정값에 보다 근접하였다.

개방식 장치를 이용한 가연성 2 성분계 혼합물의 인화점 및 연소점 측정 및 예측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the Flash Points and the Fire Points for the Flammable Binary Mixtures Using Open-cup Apparatus)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47-52
    • /
    • 2007
  • The flash points and the fire points for the m-xylene+n-propionic acid and n-butanol+n-pentanol systems were measured by using Tag open-cup apparatus(AS1M D 1310-86). The experimental flash points of two binary systems were compared with the values calculated by the Raoult's law, Van Laar equation and Wilson equation. The calculated values based on the Raoult's law on m-xylene+n-propionic acid system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those based on Van Laar and Wilson equations. The calculated values based on Van Laar equation on n-butanol+n-pentanol system were found to be better than those based on the Raoult's law and Wilson equation. The the fire points for the m-xylene+n-propionic acid system were about $7{\sim}8^{\circ}C$ above the flash points. In the case of n-butanol+n-pentanol system, the flash points and the fire points had been found to be identical.

이성분계 용액의 최대인화점 현상의 측정과 예측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Maximum Flash Point Behavior for Binary Solution)

  • 하동명;이성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7권5호
    • /
    • pp.70-74
    • /
    • 2013
  • 인화점은 액체 용액의 폭발과 화재의 위험성을 특징짓는 가장 중요한 물성치 중 하나이다. 액체 혼합물의 최대인화점은 용액을 구성하는 개별 성분들의 인화점보다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2-pentanol+acetic acid 계의 인화점을 Seta flash 밀폐식 장치를 통해 측정하였다. 이 계는 최대인화점 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인화점은 Raoult의 법칙을 이용하여 예측하였고, van Laar 식과 Wilson 식을 활용한 최적화 기법에 의해서도 예측하였다. 최적화 기법에 의한 예측 방법이 Rauolt의 법칙에 의한 예측 방법 보다 측정치를 잘 모사하였다.

노말펜타데칸의 화재 및 폭발 특성치의 측정 (The Measurement of Fire and Explosion Properties of n-Pentadecane)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53-57
    • /
    • 2013
  • For the safe handling of n-pentadecane, the lower flash points and the upper flash point, fire point, AITs(auto-ignition temperatures) by ignition delay time were experimented. Also lower and upper explosion limits by using measured the lower and upper flash points for n-pentadecane were calculated. The lower flash points of n-pentadecane by using closed-cup tester were measured $118^{\circ}C$ and $122^{\circ}C$. The lower flash points and fire point of n-pentadecane by using open cup tester were measured $126^{\circ}C$ and $127^{\circ}C$, respectively. This study measured relationship between the AITs and the ignition delay times by using ASTM E659 apparatus for n-pentadecane. The experimental AIT of n-pentadecane was $195^{\circ}C$. The calculated lower and upper explosion limit by using measured lower $118^{\circ}C$ and upper flash point $174^{\circ}C$ for n-pentadecane were 0.54 Vol.% and 6.40 Vol.%.

Methanol, Ethanol, 1-propanol 그리고 Toluene 이성분 혼합계에 대한 인화점 측정 (Measurement of Flash Point for Binary Mixtures of Methanol, Ethanol, 1-propanol and Toluene)

  • 황인찬;김선우;인세진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2권1호
    • /
    • pp.1-6
    • /
    • 2018
  • 인화점은 산업현장에서 액체의 화재 및 폭발 위험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가장 중요한 변수 중 하나로써 가연성 물질의 화재 위험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안정성 평가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양한 산업에서 용매로 사용되는 이성분계 혼합물 중 {methanol+toluene}, {ethanol+toluene} 그리고 {1-propanol+toluene}에 대한 인화점을 SETA 밀폐식 인화점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각 이성분계 혼합물에 대한 인화점을 예측하기 위해 Raoult's의 법칙, Wilson, NRTL 및 UNIQUAC 파라미터를 이용하였고 실험 결과와 비교하였다. Raoult's의 법칙을 제외한 비교 결과, 모든 예측값과 실험값은 유사한 값을 보였고 편차가 1.69 K이내의 결과를 보였다.

노말헥사데칸의 화재 및 폭발 특성치의 측정 (The Measurement of Fire and Explosion Properties of n-Hexadecane)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9-45
    • /
    • 2014
  • For the safe handling of n-hexadecane, the lower flash points and the upper flash point, fire point, AITs(auto-ignition temperatures) by ignition delay time were experimented. Also lower and upper explosion limits by using measured the lower and upper flash points for n-hexadecane were calculated. The lower flash points of n-hexadecane by using the Setaflash and the Pensky-Martens closed testers were measured $128^{\circ}C$ and $126^{\circ}C$, respectively. The lower flash points of the Tag and the Cleveland open cup testers were measured $136^{\circ}C$ and $132^{\circ}C$, respectively. The fire points of the Tag and the Cleveland open cup testers were measured $144^{\circ}C$. respectively. This study measured relationship between the AITs and the ignition delay times by using ASTM E659 apparatus for n-hexadecane. The experimental AIT of n-hexadecane was $200^{\circ}C$. The calculated lower and upper explosion limit by using measured lower $128^{\circ}C$ and upper flash point $180^{\circ}C$ for n-hexadecane were 0.42 Vol.% and 4.70 Vol.%.

방향족탄화수소의 인화점과 연소점 측정 및 예측 (Prediction and Measurement of Flash Point and Fire Point of Aromatic Hydrocarbons)

  • 하동명;한종근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21-26
    • /
    • 2005
  • 인화점과 연소점은 가연성 물질의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연소 특성치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방향족탄화수소에 대해 Pensky-Martens 밀폐식 장치(ASTM-D93) Tag 개방식장치(ASTM D1310-86)를 이용하여 인화점을 측정하였고, Tag 개방식 장치를 이용하여 연소점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인화점은 문헌값들과 일치하였으며, 연소점은 화학양론계수의 1.23배를 근거로 예측 값과 비교한 결과, 제시된 식은 실험값과 잘 일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