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ating hologram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35초

Real-time Implementation of Character Movement by Floating Hologram based on Depth Video

  • Oh, Kyoo-jin;Kwon, Soon-kak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4권4호
    • /
    • pp.289-294
    • /
    • 2017
  • In this paper, we implement to make the character content with the floating hologram. The floating hologram is the one of hologram techniques for projecting the 2D image to represent the 3D image in the air using the glass panel. The floating hologram technique is easy to apply and is used in exhibitions, corporate events, and advertising events. This paper uses both the depth information and the unreal engine for the floating hologram.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is method can make the character content to follow the movement of the user in the real time by capturing the depth video.

플로팅 홀로그램을 통한 융복합 영상시스템 연구 (A Study on convergence video system trough Floating Hologram)

  • 오승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10호
    • /
    • pp.397-402
    • /
    • 2020
  • 홀로그램은 아날로그 홀로그램과 디지털 홀로그램으로 구분되지만 일반인이 구현하기에는 고가의 장비나 콘텐츠 구현의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정해진 동영상을 통해 무한 반복되는 콘텐츠나 수동적인 관람 등 기존의 정적인 형태에서 벗어나 인터랙션이 가미된 홀로그램 콘텐츠를 연구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따라서 유사 홀로그램 중 플로팅 홀로그램을 중심으로 융복합형 영상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홀로그램 인터랙션 요소는 3차원 공간에서 카메라 높이, 3D 모델간의 간격, 모델의 중복, 스케일, 애니메이션, 포지션, 칼라, 3D 모델체인지 등 8가지이며, 관람자가 실시간으로 직접 컨트롤하는 플로팅 홀로그램은 값비싼 홀로그램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플로팅 홀로그램을 쉽게 제작, 융복합 영상시스템을 활용함으로서 보다 대중적이면서도 능동적인 홀로그램 콘텐츠 제작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연구한계점으로는 실제 전시를 통해 개발된 영상시스템과 피드백을 통하지 못한 점이며, 이를 지속적으로 보완하여 보다 완성된 홀로그램 영상시스템이 개발되기를 기대해 본다.

Non-glasses Stereoscopic 3D Floating Hologram System using Polarization Technique

  • Choi, Pyeongho;Choi, Yoonhee;Park, Misoo;Kwon, Soonchul;Lee, Seung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8권1호
    • /
    • pp.18-23
    • /
    • 2019
  • The image projected onto the screen of the floating hologram is no more than a two-dimensional image. Although it creates an illusion that an object appears to float in space as it moves around while showing its different parts. This paper has proposed a novel method of floating 3D hologram display to view stereoscopic three-dimensional images without putting on glasses. The system is comprised of a sharkstooth scrim screen, projector, polarizing filter for the projector, and a polarizing film to block the image projected from the sham screen. As part of the polarization characteristics, the background image and the front object have completely been separated from each other with the stereoscopic 3D effect successfully implemented by the binocular disparity caused by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screens.

플로팅 홀로그램 캐릭터 조작을 위한 사용자 제스처 인식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User Gesture Recognition System for manipulating a Floating Hologram Character)

  • 장명수;이우범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43-149
    • /
    • 2019
  • 플로팅 홀로그램은 광고나 콘서트와 같이 넓은 공간에서 현장감과 실존감이 뛰어난 3D 입체영상을 제공하면서, 3D 안경의 불편함, 시각적 피로, 공간 왜곡 현상 발생을 감소할 수 있는 기술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가능한 플로팅 홀로그램 환경에서 캐릭터 조작을 위한 사용자 제스처 인식 시스템을 구현한다. 제안된 방법은 하르 특징기반의 캐시케이드((Harr feature-based cascade classifier) 분류기를 이용하여 얼굴 영역을 검출하고, 검출된 얼굴 영역을 기준으로 실시간으로 체스쳐 차영상으로부터 사용자 제스쳐의 발생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제스쳐를 인식한다. 그리고 각각 인식된 제스쳐 정보는 플로팅 홀로그램 환경에서 생성된 캐릭터 움직임을 조작하기 위하여 상응하는 행위에 맵핑된다. 제안된 플로팅 홀로그램 캐릭터 조작을 위한 사용자 제스처 인식 시스템의 성능평가를 위해서는 플로팅 홀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작하고, 몸 흔들기, 걷기, 손 흔들기, 점프 등의 각 제스처에 따른 인식률을 반복 측정한 결과 평균 88%의 인식률을 보였다.

깊이영상을 이용한 나이와 성별인식을 통해 캐릭터 플로팅 홀로그램 구현 (Implementation of Character Floating Hologram by Age and Gender Recognitions using Depth Images)

  • 오규진;권순각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2권2호
    • /
    • pp.146-156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 a character floating hologram system using the user's gender and age. The proposed system recognizes the gender and age of the user through depth images and color images. The depth images are used to find and normalize facial position. Next, by using facial color images, the age and gender are estimated through an verified database-based model of CNN. Finally, the estimated age and gender are expressed to a character for the floating hologram. The proposed system can be used in a variety of areas, including marketing, advertising, and exhibition events using gender or age.

플로팅 홀로그램을 활용한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콘텐츠 제작 연구 (Study on the Production of Interactive Multimedia Content using Floating Holograms)

  • 최준환;김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25-1630
    • /
    • 2018
  • 최근 영상 표현 방식은 빠르고 다양하게 성장하고 있으며, 차세대 영상 방식 중 하나인 홀로그램은 많은 연구를 통해 발전하고 있으나 실제 구현 방법이 어렵다는 점이 있어 홀로그램의 효과를 비슷하게 나타내는 유사 홀로그램방식을 사용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활용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유사 홀로그램 방식 중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을 사용하여 인터랙티브 멀티미디어 콘텐츠에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고자 하며, 플로팅 홀로그램 방식을 사용하는 박스 형태의 콘텐츠에 모션 센서를 적용하여 작품을 제작하고, 관객의 참여에 의한 사운드와 영상의 실시간 상호작용에 대하여 연구함으로서 홀로그램 활용과 기술의 장단점에 대한 연구 및 보완 방법을 제시한다.

깊이 영상으로 사용자 키 검출 및 동작감지를 사용한 캐릭터 플로팅 홀로그램 (Character Floating Hologram using Detection of User's Height and Motion by Depth Image)

  • 오규진;한대현;권순각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4호
    • /
    • pp.33-40
    • /
    • 2018
  • 컴퓨터와 영상기술의 발달로 디지털 미디어의 제공방법이 다양해지고 이에 관한 관심이 커짐에 따라 많은 콘텐츠가 제작되고 있다. 이 콘텐츠들은 카메라나 컨트롤러를 통해 인체의 움직임과 사용자 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한 콘텐츠는 공공장소에서 다양한 사람들에게 노출되어 광고로 사용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사용자의 키 정보와 움직임 정보를 사용하여 구현되는 캐릭터 플로팅 홀로그램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은 깊이 영상에서 사용자의 키와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 정보를 토대로 캐릭터를 생성한다. 생성된 캐릭터는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표현된다. 이 시스템은 사용자 정보를 이용한 마케팅, 광고 및 전시에서 사용될 수 있다.

사운드 반응 기반 상향식,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 디바이스 개발 (Developed sound reaction based and top-down floating hologram device)

  • 박장원;하종수;황상현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97-100
    • /
    • 2018
  • 최근 플로팅 홀로그램이 새로운 콘텐츠로써 상용화되어지고 있다. 주로 한 방향에서 관람할 수 있는 단반향 플로팅 홀로그램으로 공연과 전시관에 활용되고 있으며 구현 방식은 하나의 발현 매체를 통해 $45^{\circ}$로 기울어진 반사 유리에 영상 콘텐츠가 반사되어 공중에 떠 보이는 방식이다. 이는 $45^{\circ}$로 기울어진 반사 유리의 남는 공간만큼 비효율적인 공간이 생기게 되는데 영상 콘텐츠를 더욱 크게 표현할 경우 이러한 비효율적인 공간도 더욱 커지게 된다. 따라서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의 설치 공간의 제약을 받게 된다. 본 논문은 현재 상용화되어있는 단방향 플로팅 홀로그램의 효율적인 설치 공간을 고려하여 개발한 상, 하향식 플로팅 홀로그램을 이용해 사운드 출력 시스템을 융합하고 기존에 없던 새로운 형식의 스피커 제품을 제작 함으로써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이고자 한다.

  • PDF

데스크톱 3D 홀로그램 피라미드에서 피라미드 단면 사이 사용자 이동에 따른 끊김 없는(seamless viewing control) 뷰 생성 (Seamless Viewing Control by User Movement Between Pyramid Sections in Desktop 3D Hologram Pyramid)

  • 황선주;남양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1-9
    • /
    • 2021
  • 홀로그램 피라미드는 플로팅 홀로그램의 응용으로, 착용형 장비 없이 다각도에서 3D 홀로그램을 감상할 수 있게 하는 장치이다. 저렴하고 제작이 간단하다는 장점으로 교육, 프로토타이핑, 쇼케이스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데스크톱형 홀로그램은 기존의 홀로그램 피라미드의 크기를 키워 더욱 선명하고 크게 홀로그램을 감상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다각도에서 홀로그램 피라미드를 감상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피라미드의 각각의 면이 이어지는 곳에서 홀로그램을 감상할 경우, 홀로그램이 끊기거나 왜곡되는 현상이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홀로그램 피라미드에 투사되는 영상은 단순히 각각의 면에 홀로그램을 90도씩 회전시킨 4개의 뷰를 투사하도록 제작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에서 홀로그램을 감상하더라도 4개의 각도에서 바라본 뷰 밖에 보지 못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의 위치를 추적하여 사용자의 시선 각도에 해당하는 홀로그램 영상을 생성 후, 역으로 왜곡하여 투영된 홀로그램이 왜곡되지 않는 방법을 제안하고, 기존의 홀로그램 피라미드 영상을 사용한 결과와 새롭게 제안한 방법을 적용한 결과를 비교 하였다.

플로팅 홀로그램을 이용한 인터랙티브 사이니지 개발 (Development of Interactive Signage using Floating Hologram)

  • 김동진;정동효;김태용
    • 융합신호처리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180-185
    • /
    • 2018
  • 홀로그램 기술과 ICT 기술의 접목을 통해 우수한 제품과 서비스가 가능한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플로팅 홀로그램 기반 인터랙티브 사이니지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인터랙티브 사이니지 시스템은 소상공인의 홍보와 마케팅에 저비용으로 활용 가능하며 3D 홀로그램 영상으로 메뉴를 소개하고 사용자의 손동작에 반응하는 다양한 콘텐츠 제공도 가능하다. 개발된 시스템은 립모션 인식 범위가 좌우 60cm, 150도 내 반경에서 10개의 손가락 움직임을 초당 290프레임 속도로 감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립 모션 오브젝트의 물리적 접촉 실험을 통해 립모션 기기 가까이서 사용자의 동작 인식을 호버 존과 터치 존으로 기능 영역을 구분하여 가상 터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