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oristic target plants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3초

Floristic Study and Conservation Plan on Abandoned Paddy Field Type of Forest Wetlands in Korea

  • Jong-Won Lee;Ho-Geun Yun;Jong-Bin An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720-761
    • /
    • 2022
  • This study surveyed the vascular flora present in abandoned paddy field type of 237 forest wetlands in Korea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conservation, management, and monitoring and to support preparation for damage and climate change. The study period was from April 2015 to November 2021. The vascular flora of 237 forest wetlands by abandoned paddy field type were identified to consist of 128 families, 510 genera, 1,022 species, 27 subspecies, 87 varieties, 10 forma, and 1,146 taxa. 4 taxa were identified as grade II endangered wild plants, 185 taxa were identified as northern lineage plants of the Korean Peninsula, 43 taxa were endemic to the Korean Peninsula, and 58 taxa were rare plants as designated by the Korea Forest Service. Further, 296 taxa were floristic target plants and there were 86 taxa of invasive alien plants. According to wetland preference, 79 taxa (6.9%) were obligate wetland plants, 103 taxa (9.0%) were facultative wetland plants, and 61 (5.3%) taxa were facultative plants. Additionally, 66 taxa (5.8%) were facultative upland plants, and 837 taxa (73.0%) were obligate upland plants.

전남 보성군 일림산 일원 관속식물상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Mt. Ilimsan and Its Adjacent Areas (in Boseong-gun, Jeonnam-do, Korea))

  • 신순호;오찬진;유한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77-302
    • /
    • 2022
  • 본 연구는 전남 보성군 일림산(664m)의 관속식물상 조사를 통해 자생식물의 분포와 유용 산림자원을 발굴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장조사는 2020년 3월 31일부터 2021년 9월 22일까지 총 27차례가 수행되어, 101과 304속 444종 11아종 42변종 3품종으로 총 500분류군, 853점의 식물표본이 수집되었다. 조사된 식물을 동정한 결과, 산림청 지정 한국특산식물 16분류군, 희귀식물 7분류군, 환경부 지정 적색식물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총 69분류군으로 I등급 49분류군, II 등급 7분류군, III 등급 11분류군, IV 등급 2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환경부 지정 국외반출 승인대상 생물자원 159 분류군이 목록에 포함되어 있으며, 외래식물은 총 49분류군으로 귀화율이 5.6%, 도시화지수는 7.9%이다. 외국으로부터 인위적으로 또는 자연적으로 유입되어 생태계 균형을 교란시킬 우려가 있는 생태계교란식물은 6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대구광역시 금호강 주변의 3개 습지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 가남지, 안심습지, 점새늪을 중심으로 -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Three Wetlands around Geumho River, Daegu Metropolitan City - Ganam Reservoir, Anshim Wetland and Jeomsae Swamp -)

  • 유주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67-90
    • /
    • 202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ecological data for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ree wetlands by surveying the vascular plants in Ganam reservoir, Ahnshim wetland and Jeomsae swamp. The whole taxa of vascular plants were 376 taxa including 90 families, 252 genera, 341 species, 7 subspecies, 24 varieties, 2 forms, 1 hybrid and 1 cultivar, and the planted species were 66 taxa including Ginkgo biloba and so on. The rare plants were 7 taxa including Euryale ferox(VU), Aristolochia contorta(LC), Koelreuteria paniculata(VU), Sagittaria trifolia(DD), Hydrocharis dubia(LC), Ottelia alismoides(LC) and Sparganium stoloniferum(VU). The Korean endemic plant was 1 taxon of Lespedeza maritima. In total, there were 21 taxa of floristic target species including 1 taxon of garde V, 2 taxa of grade IV, 6 taxa of grade III, 5 taxa of grade II and 7 taxa of grade I . The hydrophytes were 51 taxa including 36 taxa of emergent species, each 6 taxa of floating-leaved and submerged species and 3 taxa of free-floating species.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79 taxa including 75 taxa of naturalized plants and 4 taxa of casual alien plant. The ecosystem disturbing species 6 taxa including Sicyos angulatus, Ambrosia artemisiifolia, Lactuca seriola, Symphyotrichum pilosum, Paspalum distichum and Humulus scandens.

제주도 왕이메오름의 식물상 (Wang-ime Oreum Flora on Jeju Island)

  • 박지현;서민희;문성필;송관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2권12호
    • /
    • pp.861-881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lora of the Wang-ime oreum located on Seogwipo-si, Jeju-do, to basic data for the Jeju Island plant distribution. A total of 366 taxa were found with 94 families, 240 genera, 358 species, 1 subspecies, 6 varieties, and 1 forma. The floristic target species in Korea appeared as 2 taxa of grade V, 13 taxa of grade IV, 46 taxa of grade III, 5 taxa of grade II, and 49 taxa of grade I. There were 14 taxa for naturalized plants. The different plant life forms that appeared were large ground plants (M)(54 taxa), small land plants (N) (52 taxa), epiphyte (E) (6 taxa), indicator plants (Ch) (4 taxa), and semi-aquatic plants (H) (168 taxa), There were 34 and 48 taxa of plants(G) and annuals (Th) respectively. From these results, Wang-ime oreum, which is adjacent to ranches and grasslands, has little artificial interference, as more plants are distributed, and fewer naturalized plants are found than in Suwolbong and Dangsanbong. Accordingly, each oreu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lora of Jeju-do, thus a management plan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lcano is necessary.

창원시 정병산 용추계곡의 관속식물상 (Vascular Plants in Yongchu Valley of Jeongbyeongsan in Changwon-si, Gyeongsangnam-do)

  • 이기숙;이재순;문현식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19-133
    • /
    • 202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ic information for rational management plans for sustainabl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by comprehensive analyzing the flora distributed in Yongchu valley, Changwon-si. The flora of Yongchu valley were summarized as 319 taxa including 93 families, 212 genera, 285 species, 3 subspecies, 6 forms and 25 varieties. The endemic plants were 5 taxa such as Chrysosplenium pilosum var. fulvum, Impatiens koreana, Lespedeza maritima, Thalictrum acteifolium and Weigela subsessilis. The rare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I. koreana, Prunus yedoensis and Magnolia kobus.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38 taxa including I. koreana, Jeffersonia dubia., M. kobus and P. yedoensis which are class 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11 taxa including Solanum americanum, Aster pilosus, Crassocephalum crepidioides and Cerastium glomeratum and so forth and invasive alien plants among these plants was 1 taxa of A. pilosus. The target plants adaptable to climate change were 8 taxa including Corydalis turtschaninovii of northern plant, I. koreana of endemic plant, and Meliosma myriantha of southern plant.

남한산성(경기도 광주시)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Namhansanseong (Gwangju-si, Gyeonggi-do) in Korea)

  • 권석우;김중현;김태성;박성애;윤창영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541-563
    • /
    • 2022
  • 본 연구는 남한산성의 관속식물상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파악하였다. 2019년 6월부터 2020년 6월까지 총 30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7과 335속 513종 10아종 40변종 3품종 2교잡종으로 총 56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식물은 17분류군, 멸종위기식물은 백부자 1분류군, 지역적색목록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63분류군으로 V등급에 1분류군, IV등급에 7분류군, III등급에 12분류군, II등급에 14분류군, I등급에 29분류군이 포함되었다. 북방계 식물은 66분류군, 외래식물은 총 61분류군으로 귀화율은 10.7%, 도시화지수는 9.8%로 산출되었다. 기존 선행연구와 비교를 통해 66과 161속 187종3아종19변종1품종2교잡종의 총 213분류군이 본 조사에서 처음으로 확인되었다.

성덕산(강화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Seongdeok (Ganghwa-gun) in Korea)

  • 김중현;박성애
    • 환경생물
    • /
    • 제40권4호
    • /
    • pp.615-630
    • /
    • 2022
  • 본 연구는 성덕산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20년 3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3과 273속 397종 9아종 35변종 2품종 2교잡종의 총 44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성덕산은 온대 중부지역에 속하고 침엽수와 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소나무류-참나무류가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멸종위기식물은 1분류군, 지역적색목록은 2분류군이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5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27분류군으로 V등급에 1분류군, III등급에 4분류군, II등급에 7분류군, I등급에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북방계 식물은 43분류군, 외래식물은 46분류군이며, 귀화율 10.3%, 도시화지수 11.7%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식물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관속식물의 분포 자료로써 식물다양성 및 분포변화의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분류에 관한 고찰 - 식물구계의 역리 - (Discussion on the Classification of Floristic Target Species - An Ecological Paradox of Floristic Regions -)

  • 김종원;엄병철;박정석;김윤하;최병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318-326
    • /
    • 2023
  •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은 식물상 정보를 이용한 지역환경을 평가하는 주요 수단이며, 종의 선정과 평가는 식물구계 정보에 의거해서 이루어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식물구계에 대해 학술적 진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식물구계 관련 핵심문헌 7편을 검토하였으며, 식물구계 적용 근거를 비교 검증하였다. 1919년의 Nakai 울릉도 식물상 조사보고서는 식물구계에 관련한 일반적인 지리구분(지방)을 처음으로 기재했다. Oh는 1977년에 한국의 유관속식물에 대한 식물지리구계도를 처음으로 제시하였다. 1978년에는 Lee & Yim이 중부와 남부를 가르는 구계도를 제시했고, 그 밖에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식물구계 경계는 조정되고 개정되었다. 마침내 2018년에는 Lee & Yim (1978)에서 변형된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의 식물구계도가 채택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식물구계들은 연구자 간에 차이가 있었고, 구계 지표 식물의 불일치성도 확인되었다. 그럼에도 그런 상이성에 대한 근거는 찾을 수 없었다. 결론적으로 도식화된 모든 식물구계도는 선험적으로 그은 임의 선에 의존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식물구계학적 특정종이 환경영향평가 및 국가 식물상 평가를 위한 과학적 수단으로서 그 실효성과 실체성을 확보하기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생태학적 전략을 제안했다 : 종분포 고유성(nativeness) 정보를 바탕으로 하는 식물상 및 식물구계의 성취와 서식처 기반(habitat-based) 식물상 장기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축.

고려산(강화군)의 관속식물상 (Floristic Study of Mt. Goryeo (Ganghwa-gun) in Korea)

  • 김중현;박성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72-395
    • /
    • 2020
  • 본 연구는 강화군 고려산(436 m)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식물들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18년 3월부터 2019년 8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12과 371속 568종 10아종 45변종 2품종 4교잡종으로 총 629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고려산은 한반도의 온대 중부지역에 속하고 낙엽활엽수와 침엽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참나무류-소나무류가 우점하며, 2차림으로 구성된다. 본 지역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식물은 314분류군, 한반도 특산식물은 6분류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색목록은 4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6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침입외래식물은 58분류군이며, 귀화율 9.2%, 도시화지수 15.5%로 나타났다. 본 지역은 식물 다양성이 풍부하고, 희귀식물 및 식물지리학적 중요 식물들이 관찰된다. 고려산의 효과적인 관리와 생물 다양성 보전을 위해 체계적인 사항들이 논의되었다. 본 결과는 생물 다양성의 보전과 관리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백석산(강원도 평창군) 식물자원의 분포 (Distribution of Plant Resources in Mt. Baekseok (Pyeongchang-gun, Gangwon-do))

  • 정준희;유기억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41-368
    • /
    • 2023
  • 백석산(1,365m) 식물자원의 분포를 밝히기 위해 2021년 4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총 17회에 걸쳐 조사하였다. 그 결과, 백석산의 관속식물은 99과 346속 552종 20아종 49변종 6품종 1잡종으로 총 628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이 중 특산식물은 21분류군, 환경부 지정 적색목록 식물은 총 12분류군, 산림청 지정 적색목록 식물은 56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총 164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등급별로는 V등급1분류군, IV등급20분류군, III등급52분류군, II등급53분류군, 그리고 I등급38분류군이었다. 또한, 기후변화 적응 대상식물은 34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식물은 생태계교란 야생식물 3분류군을 포함하여 총 42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의 유용도는 식용 246분류군(39.2%), 목초용 215분류군(34.2%), 약용 187분류군(29.8%), 관상용 75분류군(11.9%), 목재용 22분류군(3.5%) 등의 순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