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luorine-containing acrylate copolymer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5초

불소함유 아크릴계공중합체에서 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함량에 따른 물리적 특성 변화 (The Effects of the Content of Hydroxyethyl Methacrylate in Fluorine-containing Acrylate Copolymers on Physical Properties)

  • 김기상;심상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502-508
    • /
    • 2018
  • 코팅, 발수 및 접착특성이 우수한 불소함유 아크릴계 공중합체를 설계, 제조하였다. 공중합체용 모노머로 methyl methacrylate(MMA), 2,2,2-trifluoroethyl acrylate(FMA) 그리고 2-hydroxyethyl methacrylate(HEMA)를 사용하여 괴상 중합 및 유화 중합으로 반응하여 > 95 %이상 고수율로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1H-NMR$로 화학구조를 확인하였고 DSC와 DMA로 물성분석을 한 결과, FMA의 함량이 5 %에서 10 %로 증가함에 따라 유리전이온도는 $3^{\circ}C$ 감소하였으며 HEMA의 경우에는 감소폭이 $2{\sim}8^{\circ}C$로 나타났다. Instron 및 TGA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FMA 혹은 HEMA 함량이 10 % 증가함에 따라 괴상 및 유화 중합체 모두에서 인장강도는 29 MPa에서 22 MPa로 감소하였고 Td는 $200^{\circ}C$에서 $180^{\circ}C$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접촉각은 친수성인 HEM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감소하였다.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Hydrogels containing Silicone or Fluorine

  • Kim, Eui Seok;Shim, Sang-Yeon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50-656
    • /
    • 2017
  • The water-swollen hydrogels containing silicone or fluorine were prepared by copolymerization of 2-hydroxy ethyl methacylate (HEMA) with 3-(trimethoxysilyl)propyl methacrylate(SM) or 2,2,2-trifluoroethyl acrylate(FA). When the content of SM or FA increased in copolymers, there was tendency of water absorbance to decrease, whereas contact angles to increase. The hydrogels containing FA showed 2 ~ 4% higher water content and 4 ~ 5% lower contact angles compared to that of SM. Tensile strengths decreased as the content of SM increased. However, FA exhibited strength of $2.2Mpa/cm^2$ which is similar to $2.3Mpa/cm^2$ of B. FA, which implies comparatively low adherence, hence, showed better protein resistance properties than SM-based hydrogel. The photo-polymerization was also applied instead of thermal polymerization to enhance the energy efficiency. As a result, the reaction yield reached over 95% within 1 minute.

스티렌과 불소함유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 및 공중합체의 특성 (Copolymerization and Characteristics of Styrene and Fluorine-Containing Acrylate)

  • 김상신;이상원;허정림;허완수
    • 폴리머
    • /
    • 제26권1호
    • /
    • pp.9-17
    • /
    • 2002
  • 탄화수소의 수소 부분이 불소로 치환된 과불소알킬기(perfluoro group : $CF_3(CF_2)_nCH_2CH_2$-; n=5, 7, 9, 11)를 함유하고 있는 perfluoroalkylethyl acrylate(FA)와 styrene을 bulk 상태에서 $60^{\circ}C$를 유지하며 $\alpha$, $\alpha$'-azobisisobutyronitrile(AIBN)을 개시제로 하여 각각의 단량체의 반응 몰비를 변화시키며 전환율을 10% 이내로 제한하여 공중합체를 합성하였다. 또한 반응 몰비의 변화에 따른 중합된 공중합체내의 반복단위의 함량사이의 관계와 Helen-Tudos법을 이용하여 단량체 반응성비 $r_1$, $r_2$를 구하였다. FT-IR과 $^1H-NMR$을 통해 두 단량체의 공중합 여부와 구조를 정성적으로 확인하였고 공중합체의 조성은 $^1H-NMR$분석을 통해 구하였다. 단량체의 비율에 따른 열적 특성은 DSC와 TGA를 통하여 분석하였으며 공중합체와 소량의 공중합체가 첨가된 PMMA의 접촉각을 측정하여 공중합체의 표면특성을 나타내는 표면자유에너지를 계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