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1초

산업체에서의 식품 알레르기 관리 (Food Allergen Management in Industry)

  • 성동은;곽호석
    • 산업식품공학
    • /
    • 제22권4호
    • /
    • pp.283-294
    • /
    • 2018
  • Food allergy is a chronic disease that is increasing all over the world, and it can even lead to a loss of life. To prevent any incidents resulting from food allergies, most countries keep strengthening their food allergen labeling requirements domestically and internationally, with a constant monitoring system against undeclared allergens and recall of offending products. In order to avoid economic losses to industry and damages to international relations from undeclared allergens, it is necessary to confirm each country's regulatory policy on food allergen labeling prior to exportation. Another required action is to try for a reduction of the cross-contamination risk of the allergens during manufacturing and storage, which should be verified by using an accurate and reliable analysis of food allergens. This paper is intended to provide an introduction to the regulation of food allergen labeling by country, allergen management methods to avoid cross-contamination, and allergen detection methods using ELISA, PCR, and LC/MS. Changes of allergenicity during thermal or nonthermal processing also will be investigated in our review. This review will be helpful for the food industry to better understand patients suffering from food allergies and to manage food allergens in food manufacturing.

식품알레르기 발생실태 및 학교급식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제에 대한 학부모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Food Allergy Occurrence and Parental Perceptions of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in School Food Service)

  • 이은주;류호경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521-531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among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perceptions of the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in school food service (FALSSFS). The surveys were conducted by the parents of children in Yangsan-si, Gyeongsangnam-do, Korea.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among the children was 21.9% (current group 8.1% and experienced group 13.8%). The features of the food allergy of the children were as follows : The onset time of allergy was at 1-2 years for 59 children (40.7%), at 3-4 years for 41 children (28.3%), and the main symptoms of allergy were 'rash and skin hives' (47.1%) and 'itching' (30.2%). In terms of the family history, the prevalence of allergies among the mothers was the highest with a value of 31.9%. The allergenic foods were egg (14.7%), pork (11.6%), and milk (8.9%) in the order. Most of the parents had a low perception of the FALSSFS. 26.2% of the parents requested preventive education related to food allergies at school, making this the most requested item, followed by "helping students understand students with food allergies" with a value of 20.2%. The benefit of the FALSSFS was to increase the safety of school food and promote the emotional health of children with allergies.

Perception and practice regarding allergen labeling: focus on food-related employees

  • Park, Si-Eun;Kwon, Yong-Seok;Paik, Jin-Kyoung;Kwak, Tong-Kyung;Hong, Wan-So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0권4호
    • /
    • pp.424-432
    • /
    • 2016
  • BACKGROUND/OBJECTIVES: Most consumers are able to recognize allergenic foods. However, the frequency of checking such foods is reportedly low, resulting in higher prevalence of food-related allergic reactions in Korea compared to other countries. Thu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overall perception of allergenic food labeling and its practice level in food manufacturing company employees. SUBJECTS/METHODS: The survey was administered to food safety employees and food development teams at food companies located in metropolitan areas. A total of 399 (93.8%) valid samples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Statistical analyses, includ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ova, PCA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using SPSS ver. 21.0, were performed. RESULTS: The correct answer rate in the analysis of allergy-related knowledge level ranged from 15.0% to 89.7%. Analysis of differences in allergy-related perception by knowledge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roduction of a food recall system, strengthening of relevant laws and regulations, content labeling, description of substitutional food, and differentiated package by age. CONCLUSIONS: It can be concluded that labeling of allergenic foods should be made easier and more convenient for checking by employees, developers, and consumers, and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ents through the development of publicity, guidelines, or APP along with labeling.

Attitudes and preferences of consumers toward food allergy labeling practices by diagnosis of food allergies

  • Ju, Se-young;Park, Jong-Hwan;Kwak, Tong-Kyoung;Kim, Kyu-ear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9권5호
    • /
    • pp.517-522
    • /
    • 2015
  • BACKGROUND/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ood allergens and prevalence rates of food allergies, followed by comparison of consumer attitudes and preferences regarding food allergy labeling by diagnosis of food allergies. SUBJECTS/METHODS: A total of 543 individual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area participated in the survey from October 15 to 22 in 2013. RESULTS: The results show that the prevalence of doctor-diagnosed food allergies was 17.5%, whereas 6.4% of respondents self-reported food allergies. The most common allergens of doctor-diagnosed and self-reported food allergy respondents were peaches (30.3%) and eggs (33.3%), respectively, followed by peanuts, cow's milk, and crab. Regarding consumer attitudes toward food labeling, checking food allergens as an item was only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allergic and non-allergic respondents among all five items (P < 0.001). All respondents reported that all six items (bold font, font color, box frame, warning statement, front label, and addition of potential allergens) were necessary for an improved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PLSR analysis determined that the doctor-diagnosed group and checking of food allergen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hereas the non-allergy group was more concerned with checking product brands. CONCLUSIONS: An effective food labeling system is very important for health protection of allergic consumers. Additionally, government agencies must develop policies regarding prevalence of food allergies in Korea. Based on this information, the food industry and government agencies should provide clear and accurate food labeling practices for consumers.

알레르기 유발물질 미표시 제품 실태 조사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of Products not Labeled with Allergens)

  • 김경선;송성민;권성희;장승은;이보민;김명희;한영선;허명제;권문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7-263
    • /
    • 2021
  • 식품별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사항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돼지고기, 우유 등 14개의 종 특이 프라이머를 이용한 유전자 검출법(PCR)을 실시하였다. 초등학교 근처 문구점과 수입과자판매점을 대상으로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대한 표시사항이 없는 과자, 캔디류, 초콜릿류 등 60건에 대한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그 중 30건에서 우유, 밀, 달걀, 토마토, 아몬드, 땅콩이 검출되었다. 특히 수입제품에서는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표시하지 않았거나 한글 표시가 없는 경우도 확인되었으며, 표시 항목 이외의 물질이 검출되는 등 표시 사항이 미흡한 제품들이 다수 확인되었다.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제품을 구매할 수 있도록 알레르기 유발물질 표시 사항에 대해 국내 제조가공업체와 수입관련 업체의 계도 및 감시 등 관련 기관 간의 긴밀한 협조 체계가 유지되어야 할 것이다.

알레르기 유발식품 표시의 이해도와 중요도-수행도 분석 -서울·경기지역의 식품업체 종사자를 대상으로- (Understanding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Food Allergen Labeling System)

  • 곽동경;정명섭;박시은;백진경;홍완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5-332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food allergy labelling for the arrangement of improvement plans. Survey was done as a quantitative research targeting food industry employees with 399 random workers in Seoul and Gyonggi a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windows (ver. 12.0) for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factor analysis.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he food allergen labelling were divided by 15 items. Only 43.1% of the workers understood the operation allergic food labels. The first improvement on allergic food labels was "using boldface for food allergen labes". The importance of all of these facto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erformance. The selection attributes with relatively low the performance but high importance(2 quadrant) were "consumer education for allergic food labels"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counselors on food allergy". Therefore, the factors to be improved through the IPA were consumer education and training of professional counselors. With this research and extended efforts for revision of laws, reliability of food industry and accuracy of food labelling would improve, thereby boosting the productive commercial activities in labelling code.

청소년과 성인의 식품 알레르기 예방을 위한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실태 및 개선안 연구 (Study on Incidence and Improvement of Food Allergies for Prevention of Damage in Adolescents and Adults)

  • 김미정;심기현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514-528
    • /
    • 2014
  • 본 연구는 식품 알레르기의 발생 실태를 조사하여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고, 국민의 식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서 10대 이상의 청소년과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실태와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개선안에 대해 알아보았다. 첫째,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으로 성별은 남자가 32.9%, 여자는 67.1%인 것으로 나타났고, 연령은 40~50세 미만이 31.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학력을 보면 대학교 재학 졸업이 56.4%로 가장 높았고, 직업은 사무관리직과 주부가 21.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월 평균 소득에서는 100~200만 원 미만과 300~400만 원 미만이 18.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월 평균 식비에서는 30~50만 원 미만이 23.5%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실태에 대해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체의 41.1%가 식품으로 인한 알레르기를 한번이라도 경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시 증상 부위로는 피부가 80.3%로 가장 높았는데, 연령에 따라서는 피부에서 13세 이상 20세 미만이 88.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호흡기는 40~50세가 1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화기(20.0%)와 전신(6.7%)은 50세 이상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식품 알레르기 발생 횟수로는 연 2~3회가 42.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시 대처 방법으로 병원치료를 한다는 응답이 전체의 53.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약물치료 20.6%, 별다른 대처하지 않음 16.0%, 기타 6.1%, 알레르기 원인 식품 제한 3.8% 순으로 나타났다. 50세 이상을 제외하고 모든 연령에서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시 병원치료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서, 연령에 따라서 식품 알레르기 발생 시 대처하는 방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식품 알레르기의 유발 식품으로는 총 44종의 식품 중에 인스턴트 식품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패스트푸드, 계란, 생선, 우유, 돼지고기, 새우, 갑각류, 견과류 등에 의한 알레르기 발생 비율이 높고, 과일에 의한 알레르기는 복숭아를 제외하고는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되는 항목에 대해서는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의 개선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소비자의 관심과 노력, 식품 제조업자의 교육과 관리,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의 홍보, 정부의 관리 감독 강화, 전문가에 의한 진단과 관리, 소비자 대상 예방교육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식품 알레르기를 경험한 사람이 비교적 많은 것에 비해서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증상이 발생되었을 때에 적절한 진단과 체계적인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식품 첨가물의 섭취 증가로 인해 인스턴트 식품과 패스트푸드에 의한 알레르기 발생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유럽연합이나 미국 등지에서는 알레르기 식품 표시 대상 품목을 포괄적인 통칭명으로 규정하고 있으므로, 이들 국가와 FTA로 식품의 수입과 수출이 증대되는 상황에서 국제적인 교역증대를 위해서 뿐만이 아니라, 국내 수입식품의 관리를 위해서라도 13개 품목으로 한정되어 있는 알레르기 식품 표시를 포괄적인 통칭명으로 규정하도록 하고, 가공식품에 대해서만 표시를 의무화하던 기존 정책을 비포장식품에 대해서도 표시를 의무화하도록 알레르기 식품 표시제를 개선할 필요가 있다. 서구화된 식생활과 가공식품의 섭취 증가로 식품 알레르기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이므로 알레르기 식품의 표시제의 개선과 적극적인 홍보, 그리고 대체식품 안내를 위한 소비자 교육 등도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전문가의 진료와 진단을 통하지 않고 소비자들의 판단으로만 설문 조사를 수행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지만, 향후 국가적인 차원에서 식품 알레르기에 대해 정책과 관리가 동행된다면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위해를 미연에 방지하여 국민 보건을 증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최근에는 해외로 수출된 국내 식품들이 해당 국가에서 표시위반으로 리콜되는 사례도 빈번한 만큼, 식품 알레르기 표시제가 국제적인 기준에 적합하도록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 결과에서 보듯이 식품 알레르기 표시제의 전반적인 개선을 통해 식품 알레르기로 인한 소비자의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고, 국민의 식생활 안정을 도모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종합적인 식품 안전 관리 시스템을 구축할 것으로 기대해 본다.

PCR을 이용한 식품 중 알레르기 유발물질 검출법 개발 (Development of PCR Method for Rapid Detection of Allergic Materials in Foods)

  • 박용춘;김미라;신준호;김규헌;이재황;조태용;이화정;이상재;한상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24-12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분자생물학적 방법을 통한 알레르기 유발 원재료 확인을 위해 PCR방법의 최적 조건을 구축하였다. 가공식품에서 알레르기 원료성분 확인을 위하여 200bp 내외의 PCR 산물을 생성할 수 있는 종특이 프라이머를 설계하거나 선행연구사업 결과를 활용하였다. 대상 원료로는 국내 식품알레르기 표시대상인 난류, 우유, 메밀, 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새우, 돼지고기, 복숭아 및 토마토와 제외국에서 알레르기 유발 성분으로 규정하고있는 아몬드, 참깨를 포함하여 총 14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특이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PCR 한 결과 난류, 우유, 메밀, 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새우,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아몬드 및 참깨로부터 각각 281, 131, 138, 120, 118, 127, 211, 174, 231, 138, 174, 132, 103 및 220bp의 특이 밴드를 확인하였으며 상호간의 비 특이적 밴드는 검출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알레르기 유발 원재료 검출법은 식품의 부정확한 표시나 가공식품의 제조과정 중 알레르기 유발물질의 비의도적 혼입 등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하고 향후 수출 제품에 있어서 정확한 알레르기 유발원재료 표기에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