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od-borne poisoning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5초

2019년 충남지역에서 발생한 식중독 현황과 원인분석 (Analysi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Occurred in Chungnam Korea, 2019)

  • 이현아;남해성;최지혜;박성민;박종진;김현민;천영희;박준혁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184-191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case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reporte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in 2019 and report it as effective data for preventing food poisoning in the future. Methods: Food poisoning outbreaks were analyzed to detect virus, bacteria, and protozoa according to the Manual for Detection of Foodborne Pathogens in Outbreaks to clarify the causes of food poisoning that occurred in Chungcheongnam-do Province in 2019. Results: Among the 79 cases of food poisoning outbreaks, 59 cases (74.7%) were in general restaurants, 15 cases (19.0%) in food service institutions, three cases at banquets, and two cases in take-out food. The 42 cases at general seafood restaurants made up the majority of food poisoning in Chungcheongnam-do. Food poisoning pathogens were shown in 13 cases (86.7%) out of the 15 cases at food service institutions, and 10 cases were related to Norovirus. Among the 79 cases, food-borne pathogens were identified in 35 cases of outbreaks, accounting for 44.3%. The confirmed pathogens were as follows: bacteria (24 cases), Norovirus (12 cases) and Kudoa septempunctata. (five cases). The food-borne bacteria were pathogenic E. coli (12 cases), Staphylococcus aureus (six cases), Salmonella spp. (two cases), Campylobacter jejuni, Bacillus cereus, Clostridium perfringen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one case). Conclusions: To prevent food poisoning, it is necessary to analyz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s and to hold a campaign for the prevention of food poisoning based on that analysis. In addition, when food poisoning occurs, the results of analyzing its cause and spread based on accurate epidemiological survey need to be shared.

비단풀 추출물의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활성 (Antibacterial Activity of Euphorbia humifusa Extracts on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 최무영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3-18
    • /
    • 2010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effects of Euphorbia humifusa ethanol-extrac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The growth inhibitory effects of the extract at a concentration of 250, 500, 1,000 or 2,000 mg/L on food poisoning microorganism were determined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 Yersinia enterocolitica,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taphylococcus aureus. The microorganisms growth was not affected by the extract at the concentration up to 250 mg/L, but was significantly (p<0.05) inhibited by the extract at a concentration higher than 1,000 mg/L. The extract of Euphorbia humifusa had strong antimicrobial activity against all test strains at a concentration of 2,000 mg/L. The results in the present study demonstrate antimicrobial effects of Euphorbia humifusa ethanol-extract against food-borne pathogens, suggesting that Euphorbia humifusa could be an effective natural antibacterial agent in food.

식중독의 사회경제적 비용추정: 삶의 질 개념을 적용한 질병비용추정법을 이용하여 (Socioeconomic Costs of Food-Borne Disease Using the Cost-of-Illness Model: Applying the QALY Method)

  • 신호성;이수형;김종수;김진숙;한규홍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3권4호
    • /
    • pp.352-361
    • /
    • 2010
  • Objectives: This study estimated the annual socioeconomic costs of food-borne disease in 2008 from a societal perspective and using a cost-of-illness method. Methods: Our model employed a comprehensive set of diagnostic disease codes to define food-borne diseases with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Insurance (KNHI) reimbursement data. This study classified the food borne illness as three types of symptoms according to the severity of the illness: mild, moderate, severe. In addition to the traditional method of assessing the cost-of-illness, the study included measures to account for the lost quality of life. We estimated the cost of the lost quality of life using quality-adjusted life years and a visual analog scale. The direct cost included medical and medication costs, and the non-medical costs included transportation costs, caregiver's cost and administration costs. The lost productivity costs included lost workdays due to illness and lost earnings due to premature death. Results: The study found the estimated annual socioeconomic costs of food-borne disease in 2008 were 954.9 billion won (735.3 billion won-996.9 billion won). The medical cost was 73.4 -76.8% of the cost, the lost productivity cost was 22.6% and the cost of the lost quality of life was 26.0%. Conclusions: Most of the cost-of-illness studies are known to have underestimated the actual socioeconomic costs of the subjects, and these studies excluded many important social costs, such as the value of pain, suffering and functional disability. The study addressed the uncertainty related to estimating the socioeconomic costs of food-borne disease as well as the updated cost estimates. Our estimates could contribute to develop and evaluate policies for food-borne disease.

자몽종자추출물과 폴리리신혼합물의 식품부패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Seed Extracts and Polylysine Mixture Against Food-borne Pathogens)

  • 최원균;노용철;황성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9-15
    • /
    • 2000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grapefruit extracts and polylysine mixture against food-borne pathogens. The mixture was showed a potent and quick antibacterial activity for 5 major bacteria causing food poisoning i.e. Escherichia coli, Escherichia coli O-157, Salmonella typhi, Staphylococcus aureus, Vibrio cholerae. The antibacterial effect of the mixture on the ordinary bacteria inhibiting on the surface of lettuce was lasted even 6 hrs after the treatment, however the mixture was non-effective on the color, smell and taste of lettuce. The treatment with 10% mixture solution of the foods such as fish, meat, rice and bread suppressed the growth of the bacteria and kept the foods more freshly than the untreated foods.

  • PDF

부산지역 중·고등학생 휴대전화에서 분리한 식중독균의 특성 연구 -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바실러스 세레우스를 중심으로 -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od-borne Pathogens Isolated from Students' Mobile Phones in Busan)

  • 박선희;박연경;황인영;박혜영;성경혜;조현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55-265
    • /
    • 2016
  • Objectives: Mobile phones have become one of the most essential accessories in daily life. However, they may act as reservoir of infectious pathogens if they are used without hygienic practices in their handl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isolate food-borne pathogens from mobile phones and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oxin genes and antibiotic susceptibility patterns. Methods: A total of 146 mobile phones were collected from 83 middle- and 63 high-school students in Busan. The surfaces of the mobile phones were aseptically swabbed. Results: Among the food-borne pathogens,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cereus and Escherichia coli were detected in 26 (17.8%), 20 (13.7%) and four (2.7%) samples, respectivel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school level, gender or phone type. None of four E. coli strains had pathogenic toxic genes. All of the B. cereus strains carried at least three different toxin genes among the nine enterotoxin and emetic toxin genes. Three out of 20 B. cereus strains (15%) possessed emetic toxin genes, which are rarely detected in food-poisoning cases in Korea. Among the 26 strains of S. aureus, the detection rate of staphylococcal enterotoxin genes, toxic shock syndrome toxin (tsst) and factors essential for methicillin resistance (femA) were 84.6%, 7.7% and 100%, respectively. In the antibiotic susceptibility test, there was no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MRSA) or vancomycin-resistant S. aureus (VRSA). Conclusion: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mobile phones in Busan were contaminated by food-borne pathogens which carried various toxic genes. Therefore, regular phone disinfection and hand hygiene is important in order to reduce cross-contamination.

일본의 식중독 현황 통계 분석으로 살펴본 1인 식중독과 집단 식중독 비교 (A Comparative Study Between Food-Borne Outbreaks Two or More Persons and Individual Cases by Using Statistics of Japan)

  • 이종경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48-253
    • /
    • 2011
  • 우리나라는 2인 이상의 집단 식중독에 대해서 식중독 발생건수와 환자수에 대해서 통계집계를 실시하고 있지만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1인 식중독에 대해서는 집계 되고 있지 않다. 실제 발생하는 식중독을 식중독 통계에 근접하게 집계하는 방안의 하나로써 l인 식중독의 비중 및 패턴을 파악하고자 한국과 식이 패턴이 유사한 일본의 통계 (2002-2003)를 이용하여 1인 식중독과 2인 이상 집단식중독을 비교분석 하였다. 아울러 한국의 인구수 대비 식중독 발생 및 보고 비율을 일본과 비교하였다. 일본의 1인 식중독이 전체 식중독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발생 건수에서 43.5%이며 발생장소는 장소불명 (90-92.3%)과 가정집 (6.2-8.5%)이 대부분이었다. 일본의 l인 식중독에서 C. jejuni (51.9%), Salmonella spp. (35.3%), V parahaemolyticus (9.5%)가 원인균의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한편 2인 이상 집단 식중독의 원인균은 norovirus (3l.3%), Salmonella spp. (20.8%), C. jejuni (15.5%)로 나타났다. 특히, 집단 식중독이 자주 발생한 장소는 음식점 (46.6-50.1%)과 여관(9.2-9.8%)이었고 1인 식중독보다 주로 집단 식중독에서만 발생한 식중독 원인균은 norovirus, S. aureus, Cl. perfringens, unknown였다. 한국과 일본의 식중독 발생 및 보고 비율은 2002-2009년 통계를 비교한 결과 2인 이상의 집단 식중독을 기준으로 1:1.5 수준이었다.

새롭게 출현한 Arcobacter butzleri의 유기산과 trisodium phosphate 처리에 의한 생육저해효과 (Growth Inhibition of Newly Emerging Arcobacter butzlrei by Organic Acids and Trisodium Phosphate)

  • 장정순;이영덕;박종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1169-1173
    • /
    • 2003
  • 새롭게 출현한 식중독 세균으로 국내 유통 계육 등에 많이 오염이 되어 있는 Arcobacter butzleri를 제어하기 위해 여러 위생제 처리에 따른 생육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들 균체에 1%농도의 유기산과 trisodium phosphate를 5, 10분간 처리한 결과 대부분이 10분 이내에 사멸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젖산의 경우는 5분 이내에 모든 균주가 사멸하였다. 배양할 때의 유기산의 농도별 생육영향은 1%의 농도로는 1시간 이내에, 0.1%의 농도에서 72시간 이내에 A. butzleri가 사멸한 것을 볼 수 있었으며, trisodium phosphate의 경우 2% 농도에서는 1 시간이내에 사멸하였다. 유기산 중에는 젖산의 생육저해효과가 가장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hydrogen peroxide, sodium hypochlorite와 ethanol에 대한 사멸효과를 보았으나, 이 처리제는 효과가 나쁘거나 풍미에 영향을 주어 좋은 처리제라 할 수 없었다. 그리고 마늘과 양파즙에 대한 항미생물 작용에서 마늘에만 생육저해작용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젖산균이 생산하는 유기산에 의한 낮은 pH에 의한 저해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계육 등의 육가공 및 취급 시에 유기산 및 TSP 등을 이용하여 주요 Arcobacter에 의한 식중독저해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법미생물 검사를 위한 식중독 세균(Bacillus cereus)의 동정 및 독소 유전자 검사법: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사례보고 (Identification of Food-Poisoning Bacteria (Bacillus cereus) and the Bacterial Toxin Genes for Application to Forensic Microbiology : A Case Report from National Forensic Service)

  • 조윤정;이민호;김효숙;엄기윤;김민희;김종배;이동섭
    • 과학수사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10-217
    • /
    • 2017
  • 법미생물 검사실에서는 식품의 미생물 분석이 요구되는 경우들이 있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식품 미생물분석이 의뢰된 샘플들 중에서 Bacillus cereus 균이 분리되었던 일부 증례가 있었다. B. cereus는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는 중요한 병원성 세균이다. 따라서 우리는 최근 미생물 검사를 위해 의뢰된 멸치액젓에서 B. cereus를 분리한 후, 16S rDNA 서열을 기반으로 하는 MSId 방법 및 real-time PCR 법에 따라 균을 동정 하였다. 또한 설사 독소 유전자 및 구토 독소 유전자 검출을 위한 PCR을 실시하고 B. cereus 분리 균주에서 nheABC, bceT 및 entFM 설사 독소 유전자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임상적으로 중요한 몇 가지 식중독 세균들은 식품 미생물 검사 시 주목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이러한 식중독 세균들 중에서 B. cereus는 환경저항성 및 내열성이 강한 내생포자를 형성하고, 내열성 독소를 형성할 수도 있기 때문에 조리된 음식을 섭취해도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해서 B. cereus등의 임상적으로 중요한 세균을 구별하는 것이 식품미생물 검사 시 중요함을 강조하고, 또한 법미생물 검사실에 앞으로 의뢰될 식품미생물 분석 사례들을 위해 B. cereus의 식별 및 세균의 독소 유전자 검출을 위한 지침을 제공 하고자 한다.

오레가노 추출물이 식중독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Oregano (Origanum majorana L.) Extract on Food-borne Pathogens)

  • 최무영;임태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352-356
    • /
    • 2008
  • 본 연구는 천연 식품보존료 개발의 일환으로 식품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오레가노를 에탄올로 추출하여 식중독에 관련이 있는 세균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효과를 보였으며, 그 중에서 Salmonella enteritdis균에 대해 가장 높은 항균효과를 보였다. 또 오레가노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 유발세균의 성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의 배양액에 오레가노 에탄올 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첨가하여 생육을 조사한 결과, Salmonella typhimurim와 Listeria monocytogenes 생육은 오레가노 에탄올 추출물 $700 mg{\cdot}L^{-1}$ 농도에서 각각 60시간 및 36시간까지 억제됨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오레가노 에탄올 추출물이 식중독을 유발시키는 세균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따라서 오레가노가 효과적인 천연보존료로서 이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경남지역에서 유통되는 즉석 반찬류의 미생물 오염도 조사 (Prevalence of Microbiological Contamination in the Ready-To-Eat Side Dishes Sold in Gyeongsangnam-do, South Korea)

  • 엄지연;장혜정 ;최연주;김소영;조아름;김민영;안지희;김제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17-227
    • /
    • 2023
  • 최근 1인 가구, 맞벌이 가정의 급격한 증가로 인한 인구·사회학적 변화의 영향으로 즉석 반찬류의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들 식품은 별도의 가열 등의 처리없이 조리되거나 조리 후 상온에서 보관되는 경우가 많아 미생물 오염에 매우 취약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즉석 반찬류의 미생물 오염 위험도를 분석하여 반찬류의 위생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보관온도에 따른 미생물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2022년 경상남도 7개 지역의 대형할인점에서 구입한 반찬류 100건에 대해 조리방법별로 식중독 윈인균과 위생지표균 검사를 진행하였다. 식중독 원인균 검사에서 Bacillus cereus는 51건(51.0%, 51/100), Clostridium perfringens는 3건(3.0%, 3/100)이 분리되었지만, 식품공전의 공통기준 및 규격 범위를 초과하는 제품은 없었다. 총 51개의 B. cereus 분리균주에서 5종류의 장내독소와 1종류의 구토독소를 분석한 결과, 장내독소 entFM, nheA, hblC, cytK, bceT 유전자의 보유율은 100.0%, 94.1%, 58.8%, 56.9%, 41.2% 순으로 각각 확인되었고, 구토 독소인 CER 유전자는 2.0%만이 보유하고 있었다. 총 3개의 C. perfringens 분리균주에서 식중독을 일으키는 독소 유전자(cpe)는 검출되지 않았다. 위생지표균 검사에서 김치류, 생채류, 젓갈류, 절임류, 나물류, 조림류 순으로 일반세균과 대장균군이 높게 검출되었다. 반찬류의 보관온도(4℃와 20℃)에 따른 일반세균수의 변화는 20℃에 보관할 시 젓갈류를 제외한 대부분의 반찬류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반찬류는 구입 즉시 냉장보관할 것을 권장하며, 시중에 유통되는 반찬류 제품의 위험성과 안전성을 평가하고 관리방안 제시를 위해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추가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