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oxtail millet

검색결과 114건 처리시간 0.034초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affected by paddy-upland rotation systems

  • Kim, Young Jung;Yoon, Seong Tak;Yang, jing;Han, Tae Kyu;Jeong, In Ho;Yu, Je Bin;Ye, Min Hee;Shim, Kang Bo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347-347
    • /
    • 2017
  • This study i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optimal cropping systems to allow cultivation of upland crops to the paddy rice land.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Anseong-si Gyeonggi province of Korea in 2015. In order to investigate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by different paddy-upland rotation systems, three crops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with four varieties of Samdachal, Samdamae, Kyeongkwan1, Hwanggeumjo in foxtail millet, Leebaekchal, Manhongchal, Hwangsilchal, Hwanggeumgijang in proso millet and Nampungchal, Moktaksusu, Aneunbangisusu, Hwanggeumchal in sorghum were examined. Four paddy-upland rotation systems of paddy-upland rotation, paddy-upland-upland rotation, paddy-upland-upland-upland rotation, and upland-paddy-upland rotation system were tested. Days from seeding to heading and ripening of foxtail millet was the shortest in the paddy-upland-upland-upland rotation system, but proso millet and sorghum did not show statistical difference among four rotation systems. In the average of culm length, paddy-upland-upland-upland rotation system showed the highest culm length in foxtail millet (141.5cm), proso millet (159.6cm) and sorghum (138.6cm) respectively among four paddy-upland rotation systems. In average yield per 10a, foxtail millet and proso millet showed the highest each 234.3kg/10a, 176.2kg/10a in paddy-upland-upland-upland rotation system, whereas sorghum was the highest 221.2kg/10a in paddy-upland-upland rotation system. The most suitable crop and varieties in paddy-upland rotation system was judged to be sorghum among three crops and suitable varieties were Samdachal in foxtail millet, Leebaekchal in proso millet and Nampungchal in sorghum respectively.

  • PDF

The Effect of Seed-borne Mycoflora from Sorghum and Foxtail Millet Seeds on Germination and Disease Transmission

  • Yago, Jonar I.;Roh, Jae-Hwan;Bae, Soon-Do;Yoon, Young-Nam;Kim, Hyun-Ju;Nam, Min-Hee
    • Mycobiology
    • /
    • 제39권3호
    • /
    • pp.206-218
    • /
    • 2011
  • The seed-borne mycoflora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collected from different growing areas in South Korea were isolated and taxonomically identified using dry inspection, standard blotter and the agar plate method. We investigated the in vitro and in vitro germination rates of disinfected and non-disinfected seed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using sterilized and unsterilized soil. The percent recovery of seed-borne mycoflora from the seed components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seeds was determined and an infection experiment using the dominant species was evaluated for seedling emergence and mortality. A higher number of seed-borne fungi was observed in sorghum compared to that of foxtail millet. Eighteen fungal genera with 34 fungal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the seeds of sorghum and 13 genera with 22 species were identified from the seeds of foxtail millet. Five dominant species such as Alternaria alternata, Aspergillus flavus, Curvularia lunata, Fusarium moniliforme and Phoma sp. were recorded as seed-borne mycoflora in sorghum and 4 dominant species (Alternaria alternata, Aspergillus flavus, Curvularia lunata, Fusarium moniliforme) were observed in foxtail millet. The in vitro and in vitro germination rates were higher using disinfected seeds and sterilized soil. More seed-borne fungi were recovered from the pericarp compared to the endosperm and seed embryo. The percent recovery of seed-borne fungi ranged from 2.22% to 60.0%, and Alternaria alternata, Curvularia lunata and 4 species of Fusarium were isolated from the endosperm and embryo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Inoculation of the dominant seed-borne fungi showed considerable mortality of seedlings. All the transmitted seed-borne fungi might well be a primary source of infection of sorghum and foxtail millet crops.

완전미도정수율 향상을 위한 조(Setaria italica Beauvois) 도정방법 및 수확시기 (Milling Condition and Harvesting Time for Improving Milling Recovery of Head Foxtail Millet Grain)

  • 이재생;고지연;송석보;우관식;김정인;김현영;정태욱;곽도연;오인석;김기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3호
    • /
    • pp.280-285
    • /
    • 2012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재배되고 있는 조 품종의 도정수율 증진을 위한 도정방법 및 적정 수확시기를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현횟수와 도정시간에 따라 제현율과 완전미도정수율의 차이가 인정되었고, 이들의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유의성이 인정되었다. 조의 완전미도정수율은 제현횟수를 2회, 도정시간을 1분 30초로 하였을 때 높았다. 출수 후 수확일수에 따른 현곡천립중, 제현율, 현곡의 경도, 도정율과 완전미도정수율의 차이가 인정되었고, 이들 요인간 상호작용에 있어서도 유의적인 상관이 인정되었다. 등숙율과 완전미도정수율 향상을 위해 조생종인 황금조는 출수 후 45일(적산온도 $1,148^{\circ}C$), 중생종인 삼다메와 경관1호는 출수 후 50일(적산온도 $1,150^{\circ}C$), 만생종인 삼다찰은 출수 후 55일(적산온도 $1,168^{\circ}C$)에 수확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였다.

조, 기장의 산파파종 시 파종깊이와 파종량에 따른 생육특성 (Effects of Seeding Rate and Depth during Broadcast Sowing on Growth and Yield of Foxtail millet (Setaria italica L.) and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 정기열;최영대;조영손;전승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2권4호
    • /
    • pp.361-366
    • /
    • 2017
  • 최근 건강 기능성 농산물로 각광받고 있는 조, 기장의 생산량과 자급률 향상을 위하여 산파재배에 적합한 파종량과 파종깊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생육 및 수량특성을 알아보았다. 파종량은 조는 5, 7, 10, $20kg\;ha^{-1}$, 기장은 5, 10, 15, $30kg\;ha^{-1}$를 실시하였고, 파종깊이는 0.5, 1, 3, 5, 7, 10 cm로 실시하였다. 조와 기장의 파종깊이의 출현율은 0.5~5.0 cm에서 72.0~78.0%, 73.0~80.5%였다. 출현 후 3엽에서 초장과 무게는 로터리깊이 3 cm에서 조, 기장 모두 가장 크거나 무거웠다. 또한, 파종량이 증가함에 따라 초장, 경직경, 이삭장 및 이삭당 종실수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였다. 1 ha당 수량은 조는 연차간 모두 $10kg\;ha^{-1}$처리에서 1년차 3,652 kg, 2년차 3,977 kg으로, 기장에서도 연차간 모두 $15kg\;ha^{-1}$처리에서 1년차 2,226 kg, 2년차 2,052 kg으로 가장 높은 수량을 보였다. 따라서 조, 기장 모두 산파 재배시 조는 $10kg\;ha^{-1}$, 기장은 $15kg\;ha^{-1}$으로 로터리 3 cm 깊이에서 파종하여 재배할 경우 수량증대에 유리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기농 잡곡의 몇몇 기능성 물질 비교 (Comparison of Functional Materials in Organic Cultivated Minor Cereal Crops)

  • 윤성탁;김태호;남중창;김태윤;김혜림;조성훈;이승우;이명철;김민정;김성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619-630
    • /
    • 2012
  • 최근 잡곡은 웰빙식품으로서 각광을 받고 있어 앞으로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어 잡곡에 대한 연구가 매우 절실하지만 국내 조, 기장, 수수의 잡곡종자에 대한 기능성물질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의 주식작물인 벼와 국내에서 유기농으로 재배 생산된 수종의 잡곡종자에 대한 지방산조성, 총 안토시아닌과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여 잡곡을 이용한 기능성 제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제공하고자 하였다. 1. 총 지방산 함량은 조, 기장, 수수, 벼의 순으로 각각 0.649% > 0.33% > 0.172% > 0.111%이었고, 불포화지방산 함량도 조, 기장, 수수, 벼의 순으로 각각 0.511% > 0.269% > 0.122% > 0.069%로 높았다. 2. 벼, 조, 기장 수수의 안토시아닌의 함량은 벼, 조, 기장에서는 안토시아닌이 검출되지 않았으나, 수수에서는 다량이 검출되었으며, 품종간에는 몽당수수에서 $137.5m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메수수에서 $65.8mg{\cdot}g^{-1}$으로 가장 적었다. 3. 총 페놀 함량은 벼에서는 추청벼가 $13.70{\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대안벼가 $10.07{\mu}g{\cdot}g^{-1}$로 가장 적었다. 조에서는 흰차조가 $25.8{\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강화조가 $22.3{\mu}g{\cdot}g^{-1}$으로 많았다. 기장의 경우는 벼룩기장이 $69.4{\mu}g{\cdot}g^{-1}$로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검은기장이 $33.6{\mu}g{\cdot}g^{-1}$으로 가장 적었다. 수수는 찰수수가 $682.2{\mu}g{\cdot}g^{-1}$을 나타내어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가장 적은 품종은 재래찰수수로서 $237.9{\mu}g{\cdot}g^{-1}$을 나타내었다. 작물별 평균 총 페놀 함량을 보면 벼는 $12.25{\mu}g{\cdot}g^{-1}$, 조는 $16.95{\mu}g{\cdot}g^{-1}$, 기장은 $51.01{\mu}g{\cdot}g^{-1}$, 수수의 경우에서는 $447.4{\mu}g{\cdot}g^{-1}$을 나타내어 3작물의 총 페놀 함량은 수수가 평균 $447.4{\mu}g{\cdot}g^{-1}$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 양은 조의 평균치의 26.3배, 기장의 평균치에 대해서는 8.8배나 많은 함량이었다. 4. 벼, 조, 수수, 기장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소거활성효과는 벼에서는 추청벼가 3.6%로 가장 높았다. 조에서는 강화조가 4.78%로 항산화 효과가 가장 높았으며, 올황차조가 0.08%로 가장 낮았다. 기장의 경우는 검은 기장이 13.4%로 특히 가장 높았다. 수수는 본 시험에 공시된 7품종의 범위가 88.47~90.11%로 품종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벼 3품종, 조 9품종, 기장 6품종, 수수 7품종의 평균항산화 활성을 보면 수수 > 기장 > 조 > 벼 순으로 각각 1.60% > 2.43% > 6.13% > 89.50%로 나타났다. 수수의 평균 항산화 활성은 조의 37배, 기장의 15배나 높았다.

파종방법과 피복작물이 조의 생육과 잡초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ver Crops and Sowing Methods on Weed Occurrences, Growth and Yield in Foxtail Millet Fields)

  • 전승호;심두보;김석현;정종일;김민철;정정성;윤성탁;심상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7권4호
    • /
    • pp.337-34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안정한 조 생산은 위한 친환경적 유기재배를 위한 잡초관리 방법 개선과 효율적인 작부체계 개선을 위하여 조의 파종법과 피복작물인 헤어리베치와 호밀이 조의 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 출수일 비교시 비닐피복 이식구에서 4일, 헤어리베치 이식구에서 3일 먼저 출수하였다. 초장은 헤어리베치 이식구, 비닐피복 이식구와 직파구, 헤어리베치 직파구 순으로 92.4%, 86.9%, 50.2%, 24.6%로 차이를 보였으며 가장 작은 호밀 직파구와는 -63.7%의 차이가 나타났다. 엽록소 함량과 엽록소형광에서는 비닐피복구와 헤어리베치구 높게 나타났다. 2. 헤어리베치구에서 방제가가 70% 이상으로 높았으며, 화본과와 광엽 잡초의 분류 비교시 헤어리베치구에서는 화본과와 광엽잡초 모두 90% 이상의 억제율을 나타났으며 호밀구에서는 화분과 잡초에서는 47% 이상, 광엽잡초에서는 90% 이상의 억제효과가 나타났다. 3. 수량비교에서는 헤어리베치 이식구>비닐피복 이식구>호밀구 이식구${\fallingdotseq}$무처리 이식구>헤어리베치 직파구>비닐피복 직파구>호밀구 직파구${\fallingdotseq}$무처리 직파구 순으로 나타났다.

중부지방에서 파종기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생육 및 수량 특성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and Sorghum According to Sowing Date in Middle Area in Korea)

  • 윤성탁;제은경;김영중;정인호;한태규;김태윤;조영손;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2호
    • /
    • pp.197-211
    • /
    • 2015
  • 우리나라 중부지역에서 파종기이동과 멀칭유무에 따른 조, 기장, 수수의 최적파종기 및 파종한계기 구명을 위하여 5월 15일, 6월 6일, 6월 26일, 7월 13일 파종기를 4수준으로 하여 피복 및 무피복을 처리하였다. 시험품종은 조 4품종(삼다찰, 삼다메, 경관1호, 황금조), 기장 4품종(이백찰, 만홍찰, 황실찰, 황금기장), 수수 4품종(남풍찰, 황금찰, DS202, 목탁수수)을 국립식량과학원 기능성작물부와 농업기술실용 화재단에서 분양받아 2013년 경기도 안성시에서 실시한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은 조, 기장, 수수 모두 6월 6일 파종기에서 가장 컸다. 2. 수장은 조, 기장은 5월 15일 파종기에서 가장 컸고 수수는 6월 26일 파종기에서 가장 컸다. 3. 엽수는 조, 기장, 수수 모두 5월 15일 파종기에서 가장 많았다. 4. 조의 출수소요일은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삼다메와 경관1호, 삼다찰은 감소하였고 황금조는 1차 파종기인 5월 15일부터 3차 파종기인 6월 26일 파종기까지는 감소하다가 7월 13일 4차 파종기에서는 6월 26일 파종기와 같았다. 기장의 출수소요일은 4품종 모두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였다. 수수의 출수소요일도 4품종 모두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 감소하다가 마지막 파종기인 7월 13일에는 증가하였다. 5. 멀칭 및 무멀칭구 간에는 조, 기장, 수수 3작물 모두 생육 및 수량 특성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6. 1수립수, 천립중 및 10당 수량은 조, 기장, 수수 모두 6월 26일 파종기에서 가장 높았다. 중부지방에서 조, 기장, 수수의 최적 파종기는 6월 하순으로 판단된다. 7. 7월 13일 파종기에서는 황금조, 만홍찰, 황금기장을 제외한 나머지 품종들은 만파로 인하여 성숙기에 이르지 못하였다. 중부지방에서 조, 기장, 수수의 파종 한 계기는 7월 초순으로 판단된다.

Study on Performance Improvement of a Head-Feeding Rice Combine for Foxtail Millet Harvesting

  • Jun, Hyeon Jong;Choi, Il Su;Kang, Tae Gyoung;Choi, Yong;Choi, Duck Kyu;Lee, Choung Keun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0권1호
    • /
    • pp.10-18
    • /
    • 2015
  • Purpose: The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roper working conditions like the mesh size of the concave and the chaffer angle of the oscillating sieve, and the fan speed of the head-feeding rice combine for foxtail millet harvesting. Methods: The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harvesting conditions for the rice combine harvester at a 0.5 m/s working speed and at $40^{\circ}$ and $55^{\circ}$ sieve chaffer angles. The harvesting loss of the foxtail millet based on the speed of the fan and the oscillating speed of the sieve was measured at three levels of fan speed and oscillating sieve speed. Results: The threshing rates of different foxtail millet varieties were 64.1~83.5% at a mesh size of 7 mm of the concave. In experimental foxtail millet harvesting, the optimal operating condition of the rice combine harvester included a $40^{\circ}$ sieve chaffer angle and a 4.8 Hz oscillating sieve (cleaning shoe) frequency. The grain loss was found to be lower at a $40^{\circ}$ than at a $55^{\circ}$ sieve chaffer angle. In field harvesting using the combine harvester, the lowest harvesting grain loss rate of the foxtail millet varieties ranged between 0.2~0.5% at a 7 mm mesh concave, $40^{\circ}$ chaffer angle, 4.8 Hz sieve frequency, and a 20 m/s fan speed at an engine speed of 2,000 revolutions per minute (RPM). Conclusions: Findings showed that foxtail millet could be harvested using the combine harvester.

Profile of phenolic compounds, antioxidant and SOD activity of millet germplasm

  • Lee, Myung-Chul;Choi, Yu-Mi;Yun, Hyemyeong;Hyun, Do-Yoon;Lee, Sukyeung;Oh, Sejo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9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07-107
    • /
    • 2019
  • Millets are provided considerable amounts of nutrients and gluten-free cereal products and their rich non-nutritional compounds having proven health benefits, especially phenolic compounds. The aim of present investigation was to determine phenolic composition and antioxidant and SOD activity of three different millet of genetic resources namely, foxtail, proso and finger millet. Phenolic compounds were extracted from dehulled grain of genetic resources using methanol and examined for their total phenolic content (TPC), antioxidant activities and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The TPC range of hog millet, finger millet and finger millet range from 3.3 to 25.1, 11.1 to 29.0 and 3.8 to 94.3 gallic acid equivalent (GAE)mg/g, respectively. Most of TCP content in dehulled millet grains was distributed from 10 to 20 gallic acid equivalent (GAE)/g, but two accessions of finger millet (IT235690 and 235689) were showed over than 90.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measured by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inger millet and hog millet showed 26.4% and 26.7% in the mean of DPPH scavenging activity percentage, but foxtail millet was 13%. The finger millet showed the higher value than hog and foxtail millet in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Particularly, two accessions of finger millet (IT235690 and 235689) showed the highest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among the used millet genetic resources and will be primary resources for finger millet breeding to develop the appropriate breeding strategies.

  • PDF

취반방법에 따른 조 첨가 밥의 이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효과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Effects of Cooked Rice-Added Foxtail Millet according to Cooking Method)

  • 이경하;김현주;김미정;고지연;이석기;박혜영;심은영;조동화;오세관;우관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442-449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취반 방법이 조(삼다메, 삼다찰)를 첨가하여 취반한 밥의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조 첨가비율별(0, 5, 10, 15, 20%)로 제조한 밥의 기능성분 및 라디칼 소거 활성을 살펴보았다. 백미와 조의 일반성분 분석 결과 수분 함량과 탄수화물은 백미에서, 조단백, 조지방 및 조회분 함량은 조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호화 특성은 조 첨가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최고점도, 최저점도, 강하점도, 최종점도, 치반점도가 감소하였다. 취반방법에 따른 조 첨가 밥의 폴리페놀 함량은 일반밥솥으로 취반하였을 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10% 이하에서는 물 첨가와 일반밥솥으로 취반한 경우가 높았고 15 및 20%에서는 발효주정을 첨가하여 일반밥솥으로 취반한 경우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반면,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물 첨가와 일반 밥솥으로 취반한 경우가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발효주정 첨가와 일반밥솥으로 취반한 경우에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같은 비율로 삼다메와 삼다찰 취반 시 전반적으로 발효주정의 첨가와 일반밥솥으로 취반하였을 때 높은 페놀화합물 함량과 DPPH 및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취반방법에 따른 잡곡밥의 생리활성 연구에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