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fruit body yield

검색결과 99건 처리시간 0.031초

합성배지(合成培地)를 이용(利用)한 팽나무버섯의 자실체(字實體) 형성(形成)에 관한 연구(硏究) -제(第) 1보(報) : 탄소원(炭素原)과 질소원(窒素源)의 영향(影響)- (Fruit-Body Formation of Flammulina velutipes on the Synthetic Medium -1. Effect of Carbon and Nitrogen Sources-)

  • 홍재식;윤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33-240
    • /
    • 1981
  • 합성배지를 이용한 팽나무 버섯균(菌)의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字實體) 형성에 대한 영양적 특성을 실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당질(糖質)중에서는 만니톨이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 형성이 빠르고 자실체(字實體) 수량이 제일 많았으며, 유기산(有機酸)중에서는 숙신산에서만 자실체(字實體)가 빈약하게 형성되었고 에틸알콜과 글리세롤에서는 비교적 자실체(字實體) 형성도 빠르고 그 수율(收率)도 높았다. 2. 질소원(窒素源)중에서는 펩톤이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字實體) 형성이 빠르고 자실체(字實體)의 수량도 많았으며, 아미노산중에서는 glycine이 자실체(字實體) 형성도 빠르고 그 수율(收率)도 높았다. 아질산태(亞窒酸態) 질소(窒素)와 lysine, methionine은 균사(菌絲)도 생육하지 않았다. 3. 펩톤과 만니톨의 농도가 낮을수속 자실체(字實體) 형성(形成)은 늦으나 수율(收率)은 적었으며 농도가 높을수록 자실체(字實體) 형성은 늦으나 그 수율(收率)은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상대습도에 따른 잣버섯의 생육형태 (Characteristics of fruit body of Neolentinus lepideus according to relative humidity)

  • 장명준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63-366
    • /
    • 2014
  • 본 연구는 잣버섯 재배에서 자실체의 생장과 상대습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상대습도가 증가할수록 갓과 대의 수분함량은 높은 경향이었고, 초발이소요일수와 생육일수는 상대습도 95%에서 가장 짧았다. 수량 및 상품수량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상대습도 95%에서 가장 많았고, 갓의 균열정도는 상대습도 65%에서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구름버섯의 균사배양액 및 자실체로부터 얻어진 단백다당체의 수율비교 (Comparisons of Protein-bound Polysaccharide Contents Obtained from Mycelial Cultured Broth and Fruit body of Coriolus versieolor)

  • 박영도;홍용기;황완균;허재두;박신
    • 한국균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223-228
    • /
    • 1989
  • 구름버섯의 균사체배양액과 자실체로부터 높은수율의 단백다당체를 얻기 위하여 균주 및 배지별에 따른 차이와 폐기물을 이용한 균배양에 대하여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계통이 다른 4종의 균주 중에서 16002 균주가 0.58%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으며 나머지 3균주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평판배지상에서 균사의 생장이 양호했던 배지들 중 액내 배양하여 단백다당체를 추출한 결과 CVT-III가 0.51%로 가장 양호했으며 각 배지간에는 큰 차이를 보였다. 약재추출박과 구름버섯의 자실체 추출박을 배지의 성분으로 이용했을 때 구름버섯의 추출박을 이용한 배지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대등한 수율을 나타냈으며 인삼추출박을 첨가했을 때는 11.4-48%의 수율증가를 보였다. 인공재배를 한 자실체간에 있어 단백다당체의 수율을 비교했을 때 균사배양액에서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높은 수율의 단백다당체를 얻기 위해서는 어린시기에 자실체를 수확하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 PDF

합성배지(合成培地)를 이용(利用)한 고온성(高溫性) 느타리버섯의 자실체(子實體) 형성(形成)에 관한 연구(硏究) (Fruit-body Formation of Pleurotus florida on the Synthetic Medium)

  • 홍재식;강귀환
    • 한국균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21-128
    • /
    • 1983
  • 합성배지(合成培地)에서 고온성(高溫性) 느타리 버섯균(菌)의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에 관한 영양적(營養的) 특성(特性)과 생리화학적(生理化學的) 성질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이 우수한 당류(糖類)는 mannitol과 sucrose이었고 arabinose, lactose, inulin은 균사생육(菌絲生育)이 빈약할 뿐만 아니라 자실체(子實體)가 형성(形成)되지 않았으며 mannitol의 최적 온도(溫度)는 2%였다. 2. 질소원(窒素源)중에서 peptone이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이 빠르고 자실체(子實體)의 수량(收量)이 많았으며 아질산태(亞窒酸態) 질소(窒素)는 저해적이었다. peptone의 최적 농도(濃度)는 0.2%이었다. 3.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이 우수한 Vitamin은 thiamine과 folic acid이었고 $KH_2PO_4$$MgSO_4{\cdot}7H_2O$의 최적 농도(濃度)는 각각 0.2%와 0.02%이었으며 그 밖의 무기염류(無機鹽類)는 효과가 없었다. 4. 광조도(光照度)는 $100{\sim}500\;lux$, 균사생육(菌絲生育) 온도(溫度)는 $25^{\circ}C$,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 온도(溫度)는 $20^{\circ}C$, pH는 6.0에서 균사생육(菌絲生育)과 자실체형성(子實體形成)이 우수하였다.

  • PDF

톱밥재배에 의한 목이의 자실체 생산 (Fruit-body Production of Auricularia auricula-judae by Sawdust Cultivation)

  • 조우식;황억금;강민진;최성용
    • 한국균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7
    • /
    • 2010
  • Auricularia auricula-judae is an edible mushroom, which is known as wood ear, free ear, black ear mushroom, and free jelly fish. Pres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possibility of artificial cultivation with oak sawdust of A. auricula-judae. The duration of mycelial growth and days of pinhead formation on oak sawdust bag (1.4 kg) were 29~32 days and 13~17 days, respectively. The yield of fresh fruit-body was 275~350 g.

팽이버섯(Flammulina velutipes) 생산비 절감을 위한 폐배지 적정 혼합비율 (Optimum mixing rate of used media for saving the production cost of Flammulina velutipes)

  • 정경주;최덕수;방극필;정기철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2-26
    • /
    • 2009
  • 팽이버섯 생산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한번 사용한 배지의 적정 혼합비율을 구명하고자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팽이버섯 재배 배지재료로 미송톱밥, 1회 팽이버섯 재배에 사용한 톱밥, 콘코브 그리고 영양원으로 미강과 밀기울을 이용하여 14가지로 배지를 조성하여 균사배양기간, 자실체 수량과 품질을 조사하였다. 두 가지 영양원에 따라 배양기간은 큰 차이가 없었지만 유효경수, 자실체 수량과 품질은 밀기울보다 미강이 좋았다. 폐배지를 20% 혼합한 처리 즉 미송톱밥 60%+폐배지 20%+ 미강 20% 배지가 관행처리 미송톱밥 80%+미강 20% 배지와 품질은 비슷하며 수량은 142.2g 으로 관행의 130g 대비 10% 증수하였다. 그러나 폐배지 혼입량이 증가함에 따라 자실체의 품질과 수량이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따라서 폐배지의 적정 혼합량은 20%이며 수량도 10% 증가하였다.

  • PDF

이산화탄소가 잎새버섯의 자실체 발생 및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levated Carbon Dioxide on the Fruiting Initiation and Development of Grifola frondosa)

  • 지정현;김정한;주영철;서건식;강희완
    • 한국균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60-64
    • /
    • 2009
  •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잎새버섯의 자실체 원기 발달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자실체 원기는 500과 800 ppm에서 각각 100, 96%가 자실체로 발달되었으나 1,000과 1,500 ppm에서는 각각 68, 63%만이 자실체로 발달하였다. 초발이 소요일수도 고농도의 이산화탄소 환경하에서는 늦어지는 경향이었으나 자실체 생육은 시험한 이산화탄소 범위내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다. 전체 재배일수는 500과 800 ppm에서 57일, 1,000 ppm에서 62일, 1,500 ppm에서 64일이 소요되었다. 1 kg 봉지 당 수확량은 500과 800 ppm에서 227 g, 1,000 ppm에서 191 g, 1,500 ppm에서 205 g으로 낮은 농도의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유의적으로 우수하였다. 자실체의 형태는 500과 800 ppm에서는 비교적 원형에 가까운 균일한 형태로 나타났으나, 1,000 ppm에서는 형태가 불균일하고, 1,500 ppm에서는 기형으로 성장하여 잎새버섯의 고품질 생산을 위해서는 800 ppm 이하로 생육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양송이의 균사생장(菌絲生長) 및 자실체(子寶體) 수량(收量)에 미치는 복토재료(覆土材料)의 이화학적(理化學的)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Casing Materials Affecting Mycelial Growth and Yield of Cultivated Mushroom, Agaricus bisporus (Lange) Sing.)

  • 김동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9
    • /
    • 1975
  • Since the importance of casing in fruit body formation of Agaricus bisporus has been emphasize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sing materials were discussed by many workers and a mixture of peat and mineral soil as proper casing material has been adopted in many of mushroom growing countries. Because of limited resources of peat in Korea, it is necessary to find practical performance and substitutional materials for casing. The effect of casing on mycelial growth and mushroom yield of A. bisporus varied with materials, its combination and practices etc. The experiments to be discussed in this paper are concerned with pH and Ca of casing material which influence A bisporus, and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with mixing ratio of casing materials and its effect on A. bisporus. The optimum range of moisture content of each material, management of watering and application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casing materials was also investigated and re-use of weathered spent compost for casing material was described. 1. The effect of calcium on mycelial growth of A. bisporus at various pH in Halbschalentest showed different results with calcium sources. Best results were obtained around neutrality and fresh weight of fruit bodies grown in the range of pH 7 to 8 was highest among the tested levels. 2. Available moisture, pore space, organic matter, cation exchangeable capacity and exchangeable cation was increased by an increase of mixing ratio of peat in casing materials, while an adverse effect was obtained by addition of sand. 3. Mycelial growth on clay loam was more rapid at a lower bulk density of 0.75g/cc and at 20% moisture content on a dry weight basis at the same bulk density. 4. Mixing ratio of casing materials, 60 to 80 per cent by volume of peat mixed with 20 to 40 per cent of clay loam produced the highest yield of fresh fruit bodies and sand the lowest. However, per cent of open cap was highest in peat and lowest in sand. 5. Days required for fruit body initiation was shortened in mixtures of peat and clay loam by one to three days compared with other materials and the formation of flushes was clear. 6. The effect of som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asing materials on the fresh weight of fruit bodies were estimated by a multiple regression equation; Y=-923.86+$8.18X_1+8.04X_2+7.90X_3+0.12X_4+2.03X_5-0.82X_6-0.54X_7$ where $X_1,X_2,X_3,X_4,X_5,X_6,X_7$ are sand, silt, clay, available moistuer, porosity, organic matter and exchangeable cation respectively. The productivity of certain casing material could be predicted from this equation. 7. Fresh weight of fruit bodi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orosity exchangeable cation, organic matter, available moisture, silt and clay of materials; while sand was negatively correlated. On the contrary, sand was the unique factor reducing per cent of open cap. 8. Distribution of three phases of high productive casing material was concentrated in the range of 10 to 30 per cent solids, 15 to 30 per cent liquids, and 50 to 60 per cent in air volume. 9. Fresh weight of fruit bodies from peat was not affected with heavy watering but in clay loam and sandy loam severe crop losses occurred. Fresh weight of individual fruit was increased and open caps were decreased with heavy watering but light watering resulted in adverse effects: its effect was especially great in peat. 10. Optimum range of moisture content by weight on a dry basis was different with each casing material. To maintain optimum moisture content concerned with yield of fruit bodies and open cap, sandy loam and peat mixtures required daily watering of 0.6, 0.6 to 1. 2 and 1.2 to 2.4 liters per $3.3m^2$ of bed area, respectively. 11. Maximum yield of fruit body was recorded in the range of pF 2. 0 to 2. 5 of casing materials if organic matter content was below 4.2 per cent and in pF 1. 3 to 1.8 if above 7.1%. 12. pF curve of a certain casing material could be draws from moisture content at various pF values by multiple regression equations provided texture, organic matter and calcium of the casing material are given. Optimum moisture range of the casing materials also could be estimated by the equation. 13. It was possible to improve the phy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lay loam and sandy loam by addition of weathered spent compost although the effect was less than in the case of peat. Fresh weight of fruit bodies wsa increased by addition of weathered spent compost but its effect was not as remarkable as peat. Accordingly, further studies will be required.

  • PDF

재배사내 $CO_2$ 농도가 아위느타리버섯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Optimum $CO_2$ Concentration for Fruit-body Formation and Yield of Pleurotus ferulae Mushroom in the Growing Facilitiy for Bottle Cultivation)

  • 원선이;장명준;주영철;이용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7-81
    • /
    • 2010
  • 아위느타리버섯에 대한 재배사내 $CO_2$ 농도에 따른 생육 및 수량성을 검토하여 시설재배에 적합한 $CO_2$농도를 구명하고자 재배사의 $CO_2$ 농도를 500, 1000, 1500, 2000ppm으로 조절하면서 재배시험을 실시한 결과, 자실체 수량은 $CO_2$ 1000ppm 처리에서 102.4g/병으로 가장 높았고, $CO_2$ 2000ppm 처리에서 75.1g/병으로 가장 적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CO_2$ 농도에 따른 초발이 소요일수는 $CO_2$ 농도가 증가할수록 길어지는 경향으로 $CO_2$ 500, 1000ppm 처리에서는 6일, $CO_2$ 1500, 2000 처리에서는 각각 8일과 9일이 소요되었으며 생육일수 또한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수확에 소요되는 전체 재배일수는 $CO_2$ 500ppm 처리에서는 16일, $CO_2$ 2000ppm 처리에서는 23일로 나타났다. 아위느타리버섯의 생육상황은 발이개체수는 1500ppm 처리에서 12.2개, 유효경수는 1000ppm 처리에서 2.8개로 가장 많은 경향이었고, 자실체 갓직경, 대직경, 대길이 등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으며, 자실체의 비정형과 발생율은 $CO_2$ 500, 1000, 1500ppm 처리에서는 4.0~7.3%로 유의차가 없었으나 2000ppm처리에서 13.8%로 현저히 증가하였다. 수확기 자실체의 중량에 따른 등급별 분포는 50g 이상은 갓의 신장이 1~2개체에서만 두드러졌던 500ppm 처리에서 10.3%으로 가장 높았으나, 상품화가 가능한 상등급과 중등급의 비율은 $CO_2$ 1000ppm 처리에서 65.4%로 가장 많았고. $CO_2$ 2000ppm 처리에서는 20g 이하의 하품의 비율이 59.3%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확기 자실체 갓과 대의 경도, 응집성, 검성 등의 물리적 특성은 처리간 큰 차이가 없어 $CO_2$ 농도가 수확기의 자실체 물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로 아위느타리버섯 대량생산을 위한 시설재배사의 적정 $CO_2$ 농도는 자실체 수량과 유효경수가 많고 상품화가 가능한 중량의 개체 생산비율이 높은 $CO_2$ 1000ppm 처리가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큰느타리(Pleurotus eryngii)의 인공재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Artificial Cultivation of Pleurotus eryngii (De Canolle ex Fries) Quel.)

  • 이대진;김광포;이병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92-199
    • /
    • 2003
  • 큰느타리버섯의 인공재배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균사 생장이나 자실체 생장에 필요한 영양원과 수분 및 산소를 공급하는 최적 배지, 수확량과 품질 및 경영 효율을 좌우하는 최적 재배용기, 적정한 배양기간, 그리고 최적의 발이방법 등을 검토하였다. 배지의 주재료로서 톱밥 단일배지보다 톱밥+콘코프의 혼합배지에서 배양기간은 다소 지연되었으나 수확량과 품질이 좋았다. 톱밥과 콘코프의 배합비는 75 : 25(v/v)가 가장 좋았다. 배지 주재료로서 비트펄프의 배합은 균사생장이 저하되고 수확량도 감소되어 바람직하지 않았다. 배지 제조시 영양제로 미강과 밀기울 그리고 면실박을 각각 12 : 12 : 6(v/v)으로 혼합하면 수확량이 가장 많아 효과적이었고, 밀기울과 면실박을 각각 15% 혼합한 처리구는 수확량이 가장 낮았다. 배지 첨가제인 제오라이트, 패분과 건비지의 첨가는 유의한 효과가 없었다. 큰느타리 병재배시 polypropylene(PP) 병의 병구 직경이 크면 발이수는 많으나 유효갯수는 유의하게 증가하지 않았다. PP병의 용량이 클수록 수확량과 품질이 양호하였고 용량 1100 ml-병구직경 ${\phi}75\;mm$가 가장 양호하였다. 큰느타리버섯의 봉지재배시 투명 사각봉지에서 균긁기하지 않는 전면(全面)발생재배는 PP병재배보다 재배면적당 수확량이 다소 높게 나타났다. 발이상태는 $24{\sim}42$일간의 배양기간에 따른 차이가 없었으나, 배양기간이 짧으면 갓 형성과 수확량이 불량하였다. 적정배양기간은 $22{\pm}2^{\circ}C$배양시 약 35일 정도이었다. 균긁기 후 무피복 정치, 피복 정치 및 도치법의 발이방법 중 도치법이 과습방지와 낙하균의 오염방지로 가장 양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