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bling addiction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7초

청소년 도박중독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Gambling Addiction)

  • 류황건;최이순;장효강;김정은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153-161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on the characteristics of youth gambling addiction to develop the youth gambling prevention program. The data was collected by using questionnaire, from Oct 2010 to Dec 2011. Of the 2,400 surveys distributed, 2,301 were collected and 2,286 of those were used for analysis after eliminating 15 with insufficient response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n the future gambling intention and the internet addiction by gender, grade, pocket money, experience in the illegal gambling site visits and gambling experience. Students who experience in the illegal gambling site visits were represented relatively higher on the future gambling intention and the internet addiction. Second, the overall experience in the illegal gambling site visits is 6.9%, while 23.2% of the total respondents were found to be the experience of gambling. Third, the future gambling intention,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nd the internet addiction were found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each other.

청소년 도박중독 판별요인 분석 :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Discriminating Factors of Adolescents' Gambling Addiction: Focusing on Irrational Belief of Gambling, Impulsiveness, and Smartphone Addiction)

  • 김성봉;장정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630-636
    • /
    • 2016
  • 본 연구는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이 청소년의 도박중독 여부(비중독군, 중독위험군)를 판별하는데 주목적이 있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중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42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설문 자료를 분석하였다. 도박중독 여부에 따라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test를 하였으며,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이 도박중독 여부를 어느 정도 판별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판별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청소년의 도박중독 여부에 따라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세 변인 모두 중독위험군이 비중독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은 중독위험군과 비중독군을 판별하는 유의한 설명변인임이 드러났다. 그리고 이들 변인들의 상대적 중요도를 살펴본 결과,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가장 중요도가 높았으며, 다음으로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비합리적 도박신념, 충동성, 스마트폰 중독으로 이루어진 판별함수가 62.5%의 적중률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도박중독 여부와 관련 있는 특성을 밝힘에 따라 향후 청소년 도박중독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의미가 있을 것이다.

Effect of Stress, Impulsivity, Peer Attachment and Social Interest on Gambling Behavior

  • JI, Jaehyun;KIM, Minchang;KO, Seokhyun;JUNG, Minhyuk;HAN, Jaepil;SEO, Bo-Kyung
    • 식품보건융합연구
    • /
    • 제7권2호
    • /
    • pp.11-24
    • /
    • 2021
  • This study identified the severity of youth gambling behavior and analyzed the impact of stress, impulsivity, peer attachment and social interest on youth gambling behavio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government sought to help understand teenagers who are addicted to gambling and to help them maintain psychological and social stability and healthy living. A total of 237 high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revalence rate was found to be 3.4 percent of the problem gambling group and 9.3 percent of the medium-risk gambling group, and a total of 12.7 percent was addiction. Low-risk gambling groups accounted for 16.9 percent and non-problem gambling groups accounted for 70.5 percent. By gender, male students have more serious gambling problems than female students. As a result of dividing the group that experienced gambling more than once and the group that did not experience gambling into gambling group and non-gambling group,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impulsiveness, avoidant attachment, and interest in others. Furthermore, a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 level of gambling behavior, showing that only impulsivity was significant.

주위도박과 도박광고가 스포츠도박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Being around Gambling and Gambling Advertising on Sports Gambling Addiction)

  • 김정은;허종훈;류황건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05-114
    • /
    • 2017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ambling environment factors (being around gambling, gambling ad access) and irrational gambling belief on the gambling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d sports gambling. Methods : Study participants were 240 college students with sports gambling experie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lf-report questionnaires and analyzed with SPSS 18.0. Results : Being around gambling and sports gambling ad acces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irrational gambling beliefs, which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statistical effects on gambling addiction. Self-regulation did not show statistically significant regulatory effects between irrational gambling beliefs and gambling addiction.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take a proactive approach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s of sports betting and to be aware of the rapidly changing sports gambling environment factors.

도박중독 과정에 관한 질적연구 - 동시적 현상을 포함하여 - (A Qualitative Study on the Process of Gambling Addiction - Including a Concurrent Phenomenon -)

  • 송진아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3권3호
    • /
    • pp.213-237
    • /
    • 2011
  • 본 연구는 도박중독의 과정적이고 진행적인 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도박중독 과정에 관한 기존의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그 이면에 있는 암묵적 가정에 대한 반성을 통하여 이 연구를 시작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4명의 남성 도박중독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으며, 이 자료를 사례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 도박중독의 과정은 단계별로 특정하게 진행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도박중독 현상들이 매 단계 안에서 '동시성'을 가지고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 단계에서 주로 보이는 현상들과 그 외의 이질적 사건들이 상호 보충적 의미를 가지고 해석되어지고, 그것이 다음 도박중독 단계로의 이행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 행동과 도박중독과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tress Coping Behavior and Gambling Addiction: Mediating effect of irrational belief of gambling)

  • 김성봉;장정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85-91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트레스 대처 행동(문제중심 대처, 정서중심 대처)이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매개로 도박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었다. 이를 위해 제주지역 고등학생 377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Baron & kenny의 회귀분석 4단계를 거쳐 매개효과를 검증하였고, Sobel Test를 실시하여 매개효과에 대한 유의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제중심 대처는 도박중독과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 정서중심 대처는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문제중심 대처와 도박중독과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은 매개역할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서중심 대처와 도박중독과의 관계에서 비합리적 도박신념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정서중심 대처는 스트레스 상황에 놓였을 때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높임으로써 도박행동을 강화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스트레스 대처기술을 향상시키고 비합리적 도박신념을 합리적으로 수정하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것이 청소년의 도박중독을 예방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결과에 대한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도박중독의 재활: 타 정신장애와의 비교 (The Rehabilitation of Gambling Addiction: Comparison with the other psychiatric disorder)

  • 이흥표;김태우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16권3호
    • /
    • pp.241-26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다른 정신장애(정신병적 장애 및 알코올 중독)와 비교하여 도박중독의 재활에 대한 국내외 현황과 실태, 차이점을 살펴보고 도박중독에 있어서의 재활의 필요성과 의미 및 도박중독에 고유한 재활 영역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먼저 국내외에서는 국가 혹은 사행 산업체가 운영하는 상담, 치료 센터에서 일부 주민등록과 의료보험회복지원, 법률 지원, 거주시설 및 직업 재활 등이 제공되고 있지만 도박중독 및 그 가족의 사회 복귀 및 적응에 필요한 재활 지원은 치료에 비해 매우 부족하거나 등한시되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타 정신장애와 달리 도박중독은 인지적 기능이나 일생생활 기능의 결함이 없거나 극소한 반면 사회적 역할의 손상이 심각한데 이는 도박의 고유한 본성, 도박중독으로 발전하면서 수반되는 성격적/정서적 변화, 병전의 성격적 결함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시사된다. 도박중독에서는 사회적 역할 손상과 이로 인한 신용 불량, 가족 해체, 사회 빈곤화 등 사회경제적 문제가 심각한 바, 도박중독의 재활에서 중요한 영역들은 사회복귀 서비스 지원, 신용회복 지원, 금전 관리 지원, 가족의 재활 지원, 직업 재활 서비스 등이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이러한 세부적 영역을 중심으로 그 의미와 기능을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논의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하여 논하였다.

  • PDF

음주문제는 도박문제를 예측하는가? - 물질중독과 행위중독의 관계 분석 - (Do Drinking Problems Predict Gambling Problems? -The Association between Substance Abuse and Behavioral Addiction-)

  • 장수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8권2호
    • /
    • pp.5-25
    • /
    • 2016
  • 알코올, 약물과 같은 물질중독(substance abuse)과 도박 등의 행위중독(behavioral addiction)은 공통의 속성을 가지며, 동일한 기전에 의해 발생하며, 실제로 동시발생(co-occurrence)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된다. 최근 대학생 집단에서도 음주 및 도박행동이 동시에 나타나며 이로 인해 다중 중독의 문제 및 부정적 결과가 초래되고 있다. 이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문제도박 발생의 예측요인으로 제시되는 음주행동에 주목하고, 이에 기반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여, 전국에서 표집 한 455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 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문제도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구사회학적 및 가족 변인을 통제한 모델에서 음주문제는 도박문제 발생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주요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사회복지 실천현장, 정책수립 과정, 향후 중독분야 연구에서 활용할 수 있는 이 논문의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대학생의 문제도박 발달경로 구조분석 -Jacob의 중독의 일반이론 적용- (Structural Analysis on the Path of Problem Gambling among College Students - Using Jacob's General Theory of Addiction-)

  • 장수미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5권2호
    • /
    • pp.231-254
    • /
    • 2013
  • 불법도박의 확산은 물론 도박의 합법화 및 사행산업 규모의 증가로 인해 우리 국민의 도박에의 접근성은 매우 용이하다. 실제로 한국인의 문제도박율은 높은 수준이며, 도박으로 인한 개인적, 가족적, 사회경제적 폐해 또한 심각하다. 선행연구에서는 심리사회적 발달단계의 특성 등으로 인해 대학생 집단이 청소년과 성인에 비해 도박참여 및 문제도박율이 높다고 보고한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문제도박 발달경로를 탐색하려는 목적으로 Jacob의 중독의 일반이론을 적용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한 후, 변인간의 관계를 구조방정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국 5개 권역에서 조사한 대학생 870명 중 도박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남학생 366명이었다. 주요 발견으로는 첫째, 남자 대학생의 문제도 박률은 14%로 나타나 동일척도를 사용한 기존 연구와 유사하거나 더 높았다. 둘째, 구조분석 결과 남자 대학생의 심리적 취약성은 현재 상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탈출욕구를 증진시켜 문제도박을 초래하는 경로가 유의미한 반면, 신체적 취약성이 탈출욕구를 통해 문제도박에 이르는 경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문제도박의 예방 및 치유재활과 관련된 사회복지 개입전략이 논의 되었다.

  • PDF

도박중독자의 문제도박 수준과 스트레스와의 관계: 기본심리욕구의 다중매개효과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Problem Gambling and Stress among Gambling Addicts: The Multiple Mediation Effects of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 김재환;장성호;신성만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8권1호
    • /
    • pp.43-59
    • /
    • 2022
  • 본 연구는 도박중독자의 문제도박 수준과 스트레스 간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자율감, 소속감, 유능감)의 다중매개효과를 확인하여 도박중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기본심리욕구와 스트레스가 도박중독자에게는 문제도박으로 인한 결과일 수도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고 효과적인 개입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도박중독 유병률을 구하는 기준에 따라 도박중독 수준에 해당하는 성인 206명을 선별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매개분석을 실시하였다. 도박중독자의 성별과 도박 부채 금액을 통제한 후 문제도박수준과 기본심리욕구가 스트레스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도박 수준과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은 스트레스를 유의미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도박 수준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기본심리욕구 하위요인의 다중매개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제도박 수준과 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율감, 소속감, 유능감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기본심리욕구와 스트레스가 도박중독의 원인일 뿐만 아니라 문제도박 수준이 심각해짐에 따른 폐해들로 인한 결과일 수 있음을 제시하며 기본심리욕구 결핍(도박이용자)→스트레스(도박이용자)→문제도박→도박중독(도박중독자)→문제도박→기본심리욕구 결핍(도박중독자)→스트레스(도박중독자)라는 심리적 과정의 가능성에 대한 기반을 마련하여 문제도박 상담에 임상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