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ammarid amphipods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2초

Feeding Ecology of Sillago japonica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 Kwak Seok Nam;Baeck Gun Wook;Huh Sung-Ho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7권2호
    • /
    • pp.84-89
    • /
    • 2004
  • Feeding habits of Sillago japonica collected from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Jindong Bay, Korea were studied. S. japonica was a carnivore which consumed mainly gammarid amphipods, polychaetes, bivalves, caridean shrimps and crabs. Its diets also included a small amount of fishes, copepods and caprellid amphipods. The diet of S. japonica underwent significant size-related changes; small individuals (<5cm SL) fed mainly on gammarid amphipods and crab larvae, while proportion of polychaetes and bivalves increased with increasing fish size and gammarid amphipods were also important prey for medium size individuals (5.1-9.9cm SL). The large individuals (>10cm SL) ate polychaetes, caridean shrimps and crabs. The dietary breadth of S. japonica were varied with size. The diet of S. japonica also underwent seasonal changes that could be related to differences in prey availability; gammarid amphipods were mainly consumed in spring and polychaetes in summer.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날개망둑 (Favonigobius gymnauchen)의 식성 (Feeding habits of Favonigobius gymnauchen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72-379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 피밭에서 채집된 날개망둑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날개망둑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 (특히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게류 및 요각류였으며, 그 외, 복족류, 이매패류, 주걱벌레붙이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에서 발견되었다. 날개망둑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날개망둑은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요각류를 비교적 고르게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요각류를 먹는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갯지렁이류. 게류를 먹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한편 옆새우류는 조사된 모든 크기에 걸쳐 가장 선호된 먹이생물이었다. 계절에 관계없이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게류 및 요각류가 주요 먹이생물이였으나, 봄과 가을에는 요각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으며, 여름에는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게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실고기 (Syngnathus schlegel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Syngnathus schlegeli i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96-902
    • /
    • 1997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실고기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실고기는 요각류 (Copepoda)와 잘피의 엽상체에 부착하여 서식하는 단각류 (Amphipoda)의 일종인 옆새우류 (Gammaridea)를 주로 섭이하였으며, 그 외, 카프렐라류 (Caprellidea), 주걱벌레붙이류 (Tanaidacea), 곤쟁이류 (Mysidacea) 등을 소량 섭이하였다. 실고기는 성장함에 따라 섭이된 먹이생물 조성의 변동이 뚜렷하였다. 어린 실고기는 요각류를 주로 섭이하였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를 주로 섭이하였다. 먹이생물의 조성은 계절에 따라 변화되었는데, 봄철에는 요각류가, 여름철과 가을철에는 옆새우류가 주로 섭이되었다.

  • PDF

Feeding Habits of Rudarius ercodes in a Zostera marina Bed

  • Kwak Seok Nam;Huh Sung-Ho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7권1호
    • /
    • pp.46-50
    • /
    • 2004
  • Feeding habits of Rudarius ercodes collected from a Zostera marina bed in Jindong Bay, Korea were studied. R. ercodes was a omnivore which consumed mainly gammarid amphipods, polychaetes and eelgrass (z. marina). Its diets also included a small amount of copepods, urochordates and caprellid amphipods. R. ercodes showed ontogenetic changes in feeding habits. Small individuals less than 2cm SL fed mainly on copepods, however, gammarid amphipods and polychaetes were heavily selected with increasing fish size. The consumption of eelgrass by R. ercodes was $10-20\%$ all size classes. The dietary breadth of R. ercodes were varied with fish size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줄망둑(Acentrogobius pflaumii)의 식성 (Feeding Habits of Acentrogobius pflaumii in the Eelgrass(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4-31
    • /
    • 1998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줄망둑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줄망둑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특히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였으며, 그 외 요각류, 주걱벌레붙이류, 게류, 이매패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줄망둑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1~2cm SL) 줄망둑은 옆새우류를 주로 먹었으나, 처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가 위내용물 중 차지하는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갯지렁이류 및 복족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계절에 따라 먹이생물 조성이 다소 변했는데, 여름에는 옆새우류와 갯지렁이류가, 그리고 겨울에는 복족류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계절에 비해 높았다.

  • PDF

그물코쥐치의 먹이습성의 일별 변화: 낮은 잡식성, 밤은 육식성 (Diel Changes in the Diet of Rudarius ercodes: A Diurnal Omnivore and Nocturnal Carnivore)

  • 곽석남;허성회;최창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78-183
    • /
    • 2006
  • 진동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그물코쥐치의 먹이습성의 일별변화를 조사하였다. 출현한 그물코쥐치는 1.6~4.3 cm SL의 범위였으며,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에 속하는 옆새우류, 잘피, 갯지렁이류, 그리고 미삭동물이었다. 그물코쥐치의 먹이습성의 일별변화는 뚜렷하였다. 낮에는 잘피와 옆새우류를 주로 먹은 잡식성을, 밤에는 옆새우류, 갯지렁이류, 그리고 미삭동물을 주로 먹는 육식성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낮보다는 밤에 이들 먹이생물의 활동이 활발하여 그물코쥐치가 섭이하기가 용이하였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그물코쥐치의 섭이활동은 저조보다는 고조에 활발하였다.

동대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산호해마의 식성 (Feeding Habits of Hippocampus mohnikei in an Eelgrass (Zostera marina) Bed)

  • 곽석남;허성회;성봉준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12-116
    • /
    • 2008
  •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동대만의 잘피밭에서 채집된 산호해마(4.1~10.4 cm SL)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산호해마의 주요 먹이는 옆새우류였으며, 그 외, 카프렐라류, 주걱벌레붙이류, 요각류, 곤쟁이류 및 잘피 등을 소량 섭식하였다. 산호해마는 모든 체장에서 옆새우류를 주로 섭식하였으며, 작은 크기(<4.5 cm SL)에서는 요각류도 섭식하였다. 또한 성장함에 따라 섭식하는 먹이생물의 크기는 증가하였으나, dietary breadth는 서서히 감소하는 양상이었다.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문절망둑 (Acanthogobius flavimanus)의 식성 (Feeding habits of Acanthogobius flavimanu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17
    • /
    • 1999
  • 1994년 1월부터 1994년 12월까지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문절망둑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문절망둑의 주요 먹이생물은 갯지렁이류(Polychaeta), 게류(Brachyura), 새우류(Caridea), 옆새우류 (Gammaridea) 및 어류 (Pisces) 등 다양하였다. 그 외, 거미불가사리류 (Ophiuroidea), 복족류 (Castropoda), 이매패류 (Bivalvia), 카프렐라류 (Caprellidea), 집게류 (Anomura), 등각류 (Isopoda), 주걱벌레 붙이류 (Tanaidacea)등을 소량 먹었다. 문절망둑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 조성의 변화를 보였는데, 작은 체장에서는 갯지렁이류와 단각류를 주로 먹었다. 그러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갯지렁이류와 단각류를 먹는 비율은 감소한 반면, 새우류, 게류 및 어류의 점유율은 증가하였다. 성어 단계에서는 매우 다양한 먹이생물을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계절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변하였는데, 봄과 가을에는 갯지렁이류, 새우류 및 옆새우류의 점유율이 높았으나, 여름과 겨울에는 어느 특정 먹이생물이 우점하지 않고 비교적 고른 분포를 보였다.

  • PDF

열대성 해초지에 서식하는 Sillago maculata의 식성 (Feeding Habits of Trumpeter Whiting, Sillago maculata in the Tropical Seagrass Beds of Cockle Bay, Queensland)

  • 곽석남;;허성회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223-229
    • /
    • 2001
  • 오스트레일리아의 Queensland에 위치한 Cockle Bay의 해초지에서 채집된 Sillago maculata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S. maculata (0.5~9.5 cm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에 속하는 옆새우류, 게류 및 요각류였으며, 그 외 갯지렁이류, 새우류, 어류, 등각류, 쿠마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에서 발견되었다. S. maculata은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개체는 요각류, 게의 유생, 옆새우류를 주로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요각류 및 게 유생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갯지렁이류 및 어류가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한편 옆새우류는 조사된 모든 크기에서 가장 선호하는 먹이생물이었다.

  • PDF

광양만 잘피밭에 서식하는 복섬 (Takifug niphobles) 유어의 식성 (Feeding Habits of Juvenile TakifugU niphobles in the Eelgrass (Zostera marina) bed in Kwangyang Bay)

  • 허성회;곽석남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806-812
    • /
    • 1998
  • 광양만 대도주변 잘피밭에서 채집된 복섬 유어의 식성을 조사하였다. 복섬 (2$\~$8 cm SL)의 주요 먹이생물은 단각류 (옆새우류 및 카프렐라류), 게류 및 새우류 둥의 갑각류와 복족류였다. 그 외 갯지렁이류, 요각류, 주걱벌레붙이류, 등각류 등이 소량씩 위내용물 중 발견되었다. 복섬이 성장함에 따라 먹이생물의 조성이 점차 변하였다. 체장이 작은 복섬은 옆새우류, 카프렐라류 및 복족류를 주로 먹었으나, 체장이 증가하면서 옆새우류 및 복족류의 비율은 점차 낮아진 반면, 게류 및 새우류가 위내용물 중 차지하는 비율은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