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generative process planning

Search Result 5, Processing Time 0.026 seconds

Generative Process Planning through Feature Recognition (특징형상 인식을 통한 창성적 자동 공정계획 수립 - 복합특징형상 분류를 중심을 -)

  • 이현찬;이재현
    • Korean Journal of Computational Design and Engineering
    • /
    • v.3 no.4
    • /
    • pp.274-282
    • /
    • 1998
  • A feature is a local shape of a product directly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 feature plays a role of the bridge connecting CAD and CAM. In the process planning for he CAM, information on manufacturing is required. To get the a manufacturing information from CAD dat, we need to recognize features. Once features are recognized, they are used as an input for the process planning. In this paper, we thoroughly investigate the composite features, which are generated by interacting simple features. The simple features in the composite feature usually have precedence relation in terms of process sequence. Based on the reason for the precedence relation, we classify the composite features for the process planning. In addition to the precedence relation, approach direction is used as an input for the process planning. In the process planning, the number of set-up orientations are minimized whole process sequence for the features are generated. We propose a process planning algorithm based on the topological sort and breadth-first search of graphs. The algorithn is verified using sample products.

  • PDF

객체 지향형 Feature 표현 기법에 의한 공정 계획 시스템

  • 김인태;서효원;김호룡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Conference
    • /
    • 1993.04b
    • /
    • pp.375-379
    • /
    • 1993
  • 공정계획(process planning)이란 제품에 대한 설계정보 및 제한된 가용자원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비용, 생산량을 고려하여 원자재를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키기 위한 방법의 체계적인 결정과정이라 할 수 있으며, 생산계획(production planning: scheduling)이나 작업계획(operation planning)과 연계하여 설계와 생산을 연결하는 교량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공정계획 작업을 컴퓨터에 의해 자동화하기 위한 컴퓨터 원용 공정계획(computer aided process planning : CAPP)은 변환적 방식(variant approach)에서 시작되어 창생적 방식(generative approach)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인공지능 기법을 응용 한 지식기반 CAPP(knowledge based CAPP) 방식에 이르기 까지 CAM-1's CAPP, APPAS, GARE, SIPS, XCUT등 수많은 연구가 행해 졌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차 부품 업체인 K사의 공정계획 사례를 바탕으로 범용성이 있는 개방형 공정계획 시스템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본 시스템에서 i) 설계정보는 객체지향에 의해 표현된 형상특징을 사용하고 ii) 공정계획은 국부적 공정계 획과 전체적 공정계획 과정(golbal planning)으로 구별하였고 iii) 공정계획을 위한 정보는 지식 베이스(knowledge base : KB) 와 데이타 베이스(data base : DB)로 구분하였다. 또한 iv) 정보의 모듈화를 통하여 임의의 제조라인에 적합하도록 개방형을 추구하였다.

Setup and Operation Sequence Generation from Manufacturability Evaluation for Prismatic Parts (제조성 평가를 기반으로 한 비회전형상 부품의 작업준비 및 작업순서 생성)

  • Choi, Hoo Gon;Han, Jung Hyun;Kang, Mujin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dustrial Engineers
    • /
    • v.31 no.4
    • /
    • pp.316-333
    • /
    • 2005
  • Although some successful recognition algorithms have been developed, most of them did emphasize on extracting accurate interpretations without considerations of manufacturability. Evaluating the manufacturability for multiple features leads to produce the machining sequences. In this paper, the A* algorithm guarantees the optimal setup sequences with minimizing the machining cost. Also, tolerances including surface roughness are converted to STEP formats to be utilized for more reliable process plans. Finally, decision tables are used to create the detailed operational sequences based on geometric tolerances and surface roughness. Machining parameters such as feed, depth of cut, and cutting speed for each operation are added to the routing sheet. Windows are presented to show how the entire system works for a sample part.

A Study on Architectural Image Gener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 - A Fundamental Study on the Generation of Due Diligence Images Based on Architectural Sketch - (인공지능 알고리즘을 활용한 건축 이미지 생성에 관한 연구 - 건축 스케치 기반의 실사 이미지 생성을 위한 기초적 연구 -)

  • Han, Sang-Kook;Shin, Dong-Youn
    • Journal of KIBIM
    • /
    • v.11 no.2
    • /
    • pp.54-59
    • /
    • 2021
  • In the process of designing a building,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 designer's ideas through images is essential. However, it is expensive and time consuming for a designer to analyze every individual case image to generate a hypothetical design. This study aims to visualize the basic design draft sketch made by the designer as a real image using the Generative Adversarial Network (GAN) based on the continuously accumulated architectural case images. Through this, we proposed a method to build an automated visualization environmen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o visualize the architectural idea conceived by the designer in the architectural planning stage faster and cheaper than in the past.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approximately 20,000 images. In our study, the GAN algorithm allowed us to represent primary materials and shades within 2 seconds, but lacked accuracy in material and shading representation. We plan to add image data in the future to address this in a follow-up study.

사출 금형 자동공정계획시스템

  • 조규갑;임주택;오정수;노형민
    • Proceedings of the Korean Operations and Management Science Society Conference
    • /
    • 1991.10a
    • /
    • pp.261-267
    • /
    • 1991
  • 다품종소량생산의 특징을 갖고 있는 금형공업에서 컴퓨터통합생산시스템(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CIMS)의 실현을 위한 중요한 분야의 하나는 부품설계도면으로부터 최종제품을 생산하는데 필요한 공정계획의 자동화, 즉 컴퓨터를 이용하여 공정계획을 자동적으로 생성하는 자동공정계획시스템(Computer Aided Process Planning;CAPP) 기술의 개발이다. 국내외적으로 CAPP분야의 연구는 컴퓨터 지원에 의한 자동화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더불어 지난 20여년 동안에 기계가공품에 관한 CAPP은 약 150여가지가 개발되었으나, 이는 컴퓨터 지원에 의한 설계의 자동화(Computer Aided Design;CAD)나 컴퓨터 지원에 의한 제조의 자동화(Computer Aided Manufacturing;CAM)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조한 형편이다. 특히 금형을 대상으로 한 CAPP시스템의 개발은 아직 초기단계에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사출금형을 대상으로 하여 실용성이 있는 공정설계시스템을 개발함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공정계획은 "소재로부터 제품을 경제적, 효율적으로 생산하는데 필요한 제조공정의 체계적인 결정"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공정계획은 제품의 종류와 수량, 재료와 부품의 종류, 보유 생산설비와 제조기술의 수준에 따라 다르나, 공정설계(Process Design)와 작업설계(Operation Design)로 구분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정계획을 광의의 공정설계로 정의하고, 공정설계와 공정계획을 동의어로 통용토록 한다. 기존의 CAPP시스템의 개발에 관한 기본적인 접근방법은 변성형방법(Variant method), 창성형방법(Generative method) 및 자동화방법(Automatic method)이 있다. 이들 CAPP시스템을 개발할 때 사용하는 기법은 크게 5가지- (1) GT(group Technology) 접근기법, (2) Bottom-up 접근기법, (3) Top-down 접근기법, (4) AI와 전문가시스템(Expert System) 접근기법, (5)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 - 로 분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가시스템 기법을 도입해서 사출금형 공정계획전문가의 지식과 경험을 획득하여 지식베이스를 구축하고, 전문가시스템 셀(shell)중 CLIPS를 이용하여 자동공정계획시스템인 Mold CAPP을 개발하였다.PP을 개발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