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nic value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2초

갈겨니(Zacco temmincki)의 진화에 관한 연구 IV. 유전적 변이, 형태비교 및 인공교배 (Evolutionary Study on the Dark Chub (Zacco temmincki) IV. Genetic Variation, Morphology and Artificial Hybridization)

  • 양서영;민미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417-431
    • /
    • 1987
  • Isozyme analysis, morphometric comparison, and artificial hybridization test wereperformed to elucidate the patterns of genic variation, morphological differentiation, genetic incompatibility, and a probable path in speciation between two MDH allelotypes (MM type and MS type) of the Dark Chub Zacco temmincki, a fresh water fish inhabiting in Korean waters. The degree of genic variation of MS type(HD=.023, HG=.021) was twofold higher than that of MM type (HD=.013, HG=.014) but both allelotypes were far less than the average genic variation of fresh water Bish in general. The average genetic similarities among 7 populations of MM type and 6 Populations of MS type were S=.947 and S=.966 respectively, whereas the value between two allelotypes was S=.853. Presumed divergent time of two allelotypes was estimated to be about 700 thousand years ago.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based on 18 morphometric characters of 302 specimens representing 12 populations revealed no morphological difference between two allelotypes. Artificial hybridization test indicates that there is an obvious genetic incogpatibility between two allelotypes and therefore it is assumed that isolating mechanism is completed.

  • PDF

누룩뱀(Elaphe diane) 자연집단의 체전적 변리에 관하여 (Genetic Variation in Natural Populations of the Cat-Snake (Elaphe dome))

  • 백남극;양서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11-221
    • /
    • 1987
  • Starch gel electrophoresis was used to estimate the degree of genic variation and genetic relatedness among twelve populations of the Cat-Sanke(Elaphe diene) in Korea. Out of the 17 loci examined 9 loci (Mdh-2, Ldh-1, Ldh-2, Idh-1, Idh-2, Adh, Aco-3, ep, Got-1) were monomorphic with identical mobility in all populations, 4 loci (Pgm, Mpi, Pept-1, Got-2) were nearly identical with minor allele frequency differences, and 4 loci (Mdh-1, Fgi, Est-2, 6psd) showed moderate variation. Levels of genic variation were similar to those found for other reptilian species. The mean genetic similarity value(S) among twelve populations is 0.966. Chechu population was slightly remote genetically from the mainland populations.

  • PDF

한국 고추맛의 유전 분석 (Genetic Analysis of Taste of Korean Hot Pepper)

  • 소재우;조치웅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46권6호
    • /
    • pp.1-8
    • /
    • 2012
  • 본 시험은 한국 고추 육종에 이용되는 교배친의 고추맛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유전가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고추맛과 원예적 특성이 상이한 '#1803'($P_1$)과 '#1532'($P_2$) 두 교배친을 교배하여 이들의 $F_1$, $F_2$ 세대를 본 시험의 공시 재료로 이용하였다. Partitioning method에 따라 고추맛은 A-a와 B-b 두 유효 유전자에 의하여 지배되는데 $F_1$ 세대는 우수 교배친 $P_1$보다 더 우수한 초우성 현상과 $F_2$ 세대는 초월 분리가 일부 나타났다. 고추맛의 유효 유전자 효과는 A-a 유전자에 의해 0.36, B-b 유전자에 의해 0.64가 증가하였다. 한국 고추맛은 유효 유전자간에서 0.94의 간섭효과와 최대 2.86의 제 2효과가 관여하여 복합적인 유전양식을 나타내었다.

갈겨니(Zacco temmincki)의 진화에 관한 연구 IX. 피라미아과 어류의 계통진화 (Evolutionary Study on the Dark Chub (Zocco temmincki) IX. Phylogeny of the Subfamily Danioninae (Pisces, Cyprinidae))

  • 양서영;민미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93-403
    • /
    • 1989
  • 파라미아과 3속 5종에 대한 유전적 변이 및 계통진화를 규명하기 위하여 전기영동법을 이용, 24개 유전자를 검출 분석하였다. 피라미아파 5종의 평균 유전적 변이정도는 A=1.8, P=16.5%, HD=0.043, HG=0.049로 타 어류군에 비하여 낮은 편이였다. 그러나 1. chinensis는 평균 변이가 P=32.5%, HD=0.100, HG=0.119로 기존에 보고된 타어류의 변이값보다 높은 값이었고 O. bidens는 그 변이정도가 제일 낮았다(P=4.295, HD=0.008, HG=0.008). 피라미아과 각 종의 집단간 평균 근연치는 5=0.940으로 비교적 근연관계가 가까웠으며 O. bidens는 5=0.992로서 그 값이 제일 큰 반면 Z. platypus는 5=0.899로서 제일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종간의 근연치를 비교한 결과 A. chinensis는 타 4종과 평균 5=0.235로 가장 낮은 유사성을 나타내는 반면, Z.temmincki 2종은 5=0.822로서 유사성이 가장 높았다. 또한 Zacco속의 Z. Platypus는 동일속의 타 2종보다 속이 다른 O. bidens와의 유사성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S=0.462), Z.temmincki 2종과는 속 이상의 차이치를 나타내었다(S=0.340) 분화연대를 추정한 결과 피라미아과 5종은 과거 약 760만년전(선신세)에서 100만년전(홍적세)사이에 분화된 것으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 건고추 개화소요일수의 유전 분석 (Genetic Analysis of Days to Flowering in Korean Hot Pepper)

  • 소재우;이용범;남상용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1호
    • /
    • pp.89-94
    • /
    • 2013
  • 본 시험은 한국 고추 육종에 사용되고 있는 교배친에 있어서의 개화소요일수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유전가를 구명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생계 '#2132'($P_1$)과 중만생계 '#1308'($P_2$)의 두 교배친과 이들의 $F_1$, $F_2$ 세대를 본 시험의 공시재료로 사용하였다. Thseng and Hosokawa(1971, 1972)의 partitioning method에 따라 $F_2$ 세대로부터 양친의 유효인자수를 추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는데, A:a와 B:b 두 인자에 의해 구분되었다. 공시한 교배친의 개화일 유전 특성은 $F_1$ 세대는 빠른 교배친보다 더 빠르고, $F_2$ 세대는 양친의 개화기보다 더 빠르거나 늦은 개체들이 출현하여 $F_1$ 세대는 초우성, $F_2$ 세대에서는 초월 분리가 나타났다. 유효 유전자에 의해 개화기가 단축되는 것은 A-a 유전자에 의해 13.81일, B-b 유전자에 의해 6.73일이 짧아졌다. 두 유전 인자간 간섭효과는 5.26일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산 큰가시고기와 어류의 지리적 변이 및 계통적 유연관계 (Genetic Vadation and Systematics of the Sticklebacks (Pisces, Gasterosteidae) in Korea)

  • 양서영;민미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99-508
    • /
    • 1990
  • 한반도 연안과 담수역에 서식하는 큰가시고기과(Gasterosteidae) 어류인 Gasterosteus속 G.aculeatus와 Pungitius 속 P. sinensis,P. kaibarae에 대한 유전자 분석을 통하여 이들의 계통적 유연관계를 조사하였다. P. sinensis 5개 집단의 평균 유전적 변이 정도는 HD = 0.080, HG = 0.091, P = 29%로 P.kaibarae (HD = 0.034; HG = 0.034, P = 13%)보다 높았으며 G.aculeatus의 평균 유전적 변이는 HD = 0.086, HG = 0.084, P =36%였다. G.aculeatus의 집단간 평균 유전적 근연치는 S = 0.963으로 가깝게 나타났으며 Pungitius 속 P. sinensis역시 S = 0.953으로 종내 집단간 차이가 크지 않았다. P. kaibarae의 경우 영천집단과 경주집단은 나머지 4집단과는 형태적으로 뚜렷한 차이가 있고,(Chae,1998) 유전적 근연치도 S=0.690으로 현저한 차이가 있어 별개의 taxa로 사료된다. P. sinensis 와 P. kaibarae 사이의 유전적 근연치는 S=0.606으로 종간 차이치를 나타내었으나 이들의 공서지역인 강릉집단에서는 약 44% 정도의 잡종개체가 발견되는 것으로 보아 이들간에는 생식적 격리가 완전히 형성되지 않은 반종으로 사료된다. Pungitius속과 Gasterosteus속간 유전적 근연치는 S=0.052로서 타어류의 속간 근연치보다 현저히 낮았다.

  • PDF

한국산 살모사속(뱀과) 2종의 지리적 변이 및 종간 잡종 (Geographic Variation and Interspecific Hybridization between Two Species of the Genus Agkistrodon (Crotalidae) in Korea)

  • 백남극;양서영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5권1호
    • /
    • pp.77-88
    • /
    • 1989
  • 한국산 살모사속 (Agkistrodom) 2종의 유전적, 형태적 및 종간잡종 형성 유.무를 구명하기 위하여 남한의 7개 지역에서 147개체를 채집하여 전기영동 및 형태형질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5개의 성소 및 단백질에서 19개의 유전자를 검출하여 유전적 변이를 조사한 바 5개 유전자(26.3%)는 종간 및 집단간에 전혀 차이가 없었고 나머지 14개의 유전자중 4개 유전자는 매우 높은 률의 유전적 변이를 나타내었다. 2. 각 집단의 유전적 변이정도를 산출한 결과 A. b. brevicaudus는 평균 A= 1.55, P=42.1%, HD=0.096 및 HG=0.1l5였고 A .ussuriensis는 A= 1.45, P=31.6%, HD=0.1l7 및 HG=0.122로서 타 파충류에 비하여 높은 유전적 변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이들 종의 집단이 크고 안정된 상태에 있다고 사료된다. 3. 형태적으로 2종의 중간형으로 여겨졌던 제주집단은 강릉집단의 A .ussuriensis와 동일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종간 잡종은 전혀 찾아볼 수 없었다. 4. 2종간의 유전적 근록치는 S=0.662로서 이들은 약 180만년전에 분화되었으리라 추산된다.

  • PDF

침지용액과 예열 처리가 감자 슬라이스의 냉장 중 갈변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pping and Preheating Treatments on Susceptibility to Browning of Potato Slices During Cold Storage)

  • 정현미;이귀주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535-540
    • /
    • 1996
  • 감자 슬라이스를 CaCl$_2$ 용액과 chitosan 용액에 침지 하거나 혹은 이들 용액의 존재하에서 예열처리 한 후 냉장저장하여 침지 및 예열처리가 감자 슬라이스의 갈변정도, 페놀 함량, PPO 활성의 변화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감자 슬라이스의 L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CaPS는 2주까지 L값이 증가하였고, ChPS는 4주간 L값이 증가하였다(p < 0.05). 또한 예열처리에 의 한 병용 효과에 의해 L값이 가장 증가하였다(p < 0.05). 2. CaPS를 제외한 각 처리군은 total phenol 함량이 감소하였으며(p < 0.05) 예열처 리 한 감자 슬라이스의 total phenol 함량이 더욱 감소하였다(p < 0.05). chloro-genic aicd 함량은 HCaPS를 제외하고 total phenol 함 량의 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3. PPO 활성은 침지 및 예열처리를 통하여 감소하였는데 예열처리에 의한 감자 슬라이스의 PPO 활성 이 더욱 감소하였다 이로부터 CaCl$_2$,및 chitosan 용액에 침지 및 예열처리가 갈변억제에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되어지며 L값 은 증가하고 페놀함량과 PPO 활성이 감소하였다. 이 러한 효과는 열처리군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 PDF

Correlations of Genic Heterozygosity and Variances with Heterosis in a Pig Population Revealed by Microsatellite DNA Marker

  • Zhang, J.H.;Xiong, Y.Z.;Deng, C.Y.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5호
    • /
    • pp.620-625
    • /
    • 2005
  • Correlation of microsatellite heterozygosity with performance or heterosis was reported in wild animal populations and domestic animal populations, but the correlation with heterosis in a crossbreeding F$_1$ pig population remained uncertain. To explore this, we had random selected and mated Yorkshire${\times}$Meishan (F, n = 82) and their reciprocal (G, n = 47) to F$_1$, and used the two straightbreds as control groups (Yorkshire = 34, Meishan = 55), and observed the heterosis of birth weight (BWT), average daily gain (ADG) and feed and meat ratio (FMR). Two Kinds of measurement-individual heterozygosity (IH) and individual mean d$^2$ (lg value, ID) were used as index of heterozygosity and variance from 39 microsatellite marker loci to perform univariate regression analysis against heterosis. We detected significant correlation of IH with BWT in all of F$_1$ (F+G) and in F. We observed significant correlation of ID with ADG in all of F$_1$ (F+G), and with FMR in all of F$_1$ (F+G) and in F. There was significant maternal effect on heterosis, which was indicated by significant difference of means and distribution of heterosis between F and G. This difference was consistent with distributions of IH and ID, and with difference of means in F and G. From this study, it would be suggested that the two kinds of genetic index could be used to explore the genetic basis of heterosis in crossbreeding populations but could not determine which is better.

멸구 매미충류에 대한 약제저항성의 유전성에 관한 연구 I. 애멸구의 MEP제에 대한 약제저항성의 유전적 특성 (Inheritance of Insecticide Resistance to Plant- and Leaf-hoppers Inherited Properties of MEP Resistance to Small Brown Plant-hopper (Laodelphax striatellus Fallen))

  • 심재욱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5-80
    • /
    • 1978
  • 본 시험은 애멸구의 MEP제에 대한 저항성이 유전적 특성에 기인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나주지역의 야외집단을 채집하여 감수성인 실험실 계통과 교배하고 $F_1,\;BC_1F_1$$F_3$에 대하여 Probit 법으로 분석하고 $LD_{50}$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나주지역의 애멸구 야외집단은$LD_{50}$이 자충충의 경우 0.0029ug/충으로 감수성인 실험실계통의0.0008ug/충에 비하여 저항성의 차를 타나내었다. 2. 나주지역 야외집단이 나타내는 저항성은 $F_1$$BC_1F_1$ 의 분석에서$LD_{50}$ 및 사충율의 회귀가 저항성인 친쪽으로 가깝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여 유전적 특성에 기인된다고 생각되었다. 3. $F_2$ 집단의$LD_{50}$은 양친의 중간 정도였으며 넓은 분산을 보이고 있어 MEP제에 대한 저항성의 유전은 수개의 유전자가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