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eological survey

검색결과 623건 처리시간 0.025초

INTERACTIVE GEOLOGICAL HAZARD MAPS USING GEOHZARDVIEW

  • Bandibas, Joel;Wakita, Koji;Katou, Hirokazu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522-524
    • /
    • 2003
  • This paper presents the interactive method of showing geological hazard maps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using the new GIS software developed at the Geological Survey of Japan. The main purpose of the software is to easily provide information about geological hazards to a wide range of users. The software incorporates spatial and a-spatial data to interactively present the time, locations and extent of occurrence of geological hazards and other related information. Queries for hazard information can be easily done. Simulations of the occurrence of a particular geological event like the spread of volcanic ash during major volcanic eruptions can also be easily shown.

  • PDF

지질유산 보전방안 : 지질노두 조사표와 평가표의 작성과 활용 (A Measure on the Conservation of Geological Heritages : Geological Survey and Evaluation Forms for Geologic Outcrops)

  • 사공희;이수재
    • 암석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45-152
    • /
    • 2014
  • 지질유산은 보전가치를 가지는 지질기록들을 총칭하며 지질유산의 보전을 위해서는 지질노두에 대한 조사와 평가가 수행되어야 한다. 각종 개발사업으로부터 지질유산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의 하나로서 지질노두에 대해 조사표와 평가표를 작성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환경영향평가에 활용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지질노두 조사표의 내용은 조사지역, 분야, 세부분야, 위치, 규모, 특징, 사진 및 설명, 조사자로 구성되어 있다. 지질노두 평가표는 평가유형, 세부평가, 종합평가, 최종평가등급으로 구성된다. 평가유형은 학술, 교육, 경관으로 구분된다. 학술교육 분야는 대표성, 희소성, 다양성, 전형성을 세부항목으로 평가한다. 지형경관 분야는 특이성, 심미성, 자연성을 세부항목으로 평가한다. 최종평가등급은 5개 등급으로 구분되며 1등급은 보전가치가 가장 높은 등급으로 절대보전을 요한다.

영상사진을 이용한 지반공학적인 선구조분석 연구 (A Study on Geotechnical Lineament Analysis by Image Processing Method)

  • 이수곤;금동헌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93-600
    • /
    • 2000
  • Most of ground investigations can be grasped geological distribution which like rock name, geological structure, soil condition, underwater condition, land slide, ground cave-in, ground collapse by geological survey. But geological survey is limited to part region geological structure, not wide region. Therefore, Image Processing Method must need to grasp wide region geological structure. The object of this research is presented analysis data of geotechnical engineering in first step investigation.

  • PDF

서울지하철공사와 암반구조 (Geological Structure Related to Seoul Sub-way Construction.)

  • 이수곤
    • 화약ㆍ발파
    • /
    • 제10권3호
    • /
    • pp.8-25
    • /
    • 1992
  • On the Sub- way Construction It is important to Survey in advance the Geological Structure and also to make the Engineering Geological map this paper deseribs the feature of Geological structure of Seoul Area and analyses the recently occured Rock falling acciudents. NATM Tunnelling always must be done with careful observation and measurement of the geological condition.

  • PDF

일제강점기 일본인 지질학자 다테이와 이와오의 한반도 지질연구 성과고찰 (Performance Review of the Geological Research in Korean Peninsula by Japanese Geologist Tateiwa Iwao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 김성용;이재욱;박정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5호
    • /
    • pp.401-408
    • /
    • 2015
  • 지질학자 다테이와 이와오의 한반도에서의 공적은 다음과 같이 평가할 수 있다. 첫째, 한반도 층서 정립에 기여하였고, 1:5만 지질 도폭 21매를 완성하였다. 둘째, 지질 조사 결과를 보문, 요보 및 논문으로 발표하였다. 셋째, 제3대 조선 지질조사소 소장으로서 일본 패망에 따른 인수인계를 충실히 수행하였다. 넷째, 일본 복귀 이후에 그간 수집한 한반도 시료 등을 기초로 "조선-일본열도지대 지질구조논고 - 조선 지질조사연구사"를 저술하였다. 그러나 다테이와는 일본이 지속적으로 강점기를 이어갈 것으로 여기고, 한반도 지질 조사 탐사 전문 인력 양성에 소홀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실험 부지에서의 지질구조 파악을 위한 물리탐사 및 물리검층 (Geophysical Exploration and Well Logging for the Delineation of Geological Structures in a Testbed)

  • 유희은;신제현;김빛나래;조아현;이강훈;편석준;황세호;유영철;조호영;남명진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7권spc호
    • /
    • pp.19-33
    • /
    • 2022
  • When subsurface is polluted, contaminants tend to migrate through groundwater flow path. The groundwater flow path is highly dependent upon underground geological structures in the contaminated area. Geophysical survey is an useful tool to identify subsurface geological structure. In addition, geophysical logging in a borehole precisely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geological characteristics in vicinity of the borehole, including fractures, lithology, and groundwater level. In this work, surface seismic refraction and electrical resistivity surveys were conducted in a test site located in Namyangju city, South Korea, along with well logging tests in five boreholes installed in the site. Geophysical data and well logging data were collected and processed to construct an 3D geological map in the site.

중력탐사에 의한 옥천대 남서부의 지하지질구조(1) (Subsurface Geological Structure of the Southwestern Part of Ogcheon Zone by Gravity Survey (1))

  • 김성균;안건상;오진용
    • 자원환경지질
    • /
    • 제30권4호
    • /
    • pp.363-369
    • /
    • 1997
  • As a part of the study to know the deep geological structure of the Ogcheon Zone. gravity survey is performed along the survey line of which direction is roughly perpendicular to major faults of the Zone. Recent studies for petrology. geochemistry. and structural geology in south-western Ogcheon Zone are outlined. Raw gravity data are corrected to obtain Bouguer anomalies and the anomalies are interpreted to obtain subsurface structures along the survey line. The subterranean density discontinuities determined from the power spectrum method are appeared at depths of 15.4 km and 2.8 km. It is considered that the depth of 15.4 km indicates the boundary between upper and lower crust. Probably the depth of 2.8 km represents the boundary between upper volcanic formations and granites. Alternatively. the observed Bouguer anomalies are interpreted in terms of lateral density variation model. Finally. the subterranean geological structure to satisfy the Bouguer anomalies is presented through the iterative forward method in which results obtained from surface geological informations and from the inverse method are adopted as an initial model.

  • PDF

해방이전 외국인에 의한 서구식 한반도 지질광상조사 성과고찰연구 (A Study on Advanced Geoscientific Research Activitie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by Foreign Geologists Prior to 1945)

  • 김성용;이재욱
    • 자원환경지질
    • /
    • 제48권1호
    • /
    • pp.77-88
    • /
    • 2015
  • 우리나라에서 최초의 서구식 지질자원 조사 탐사활동은 한-독 및 한-영 통상수호조약에 따라 1884년도에 본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 토대로 최초의 논문도 Gottsche에 의해 1886년도에 독일에서 게재되었다. 1900년대 초에는 대한제국의 독자적인 서구식 지질자원기술 확보 및 조사 탐사활동의 노력도 있었으나 불행하게도 일제에 의해 좌절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일본인에 의해 전국토를 대상으로 체계적인 지질자원 조사가 실시되었고, 이 시기에 기본지질도 61매 작성과 지질조사요보, 광상조사보고 및 요보, 탄전조사보고 등이 발간되었다. 결론적으로 개화기로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외국인에 의한 우리나라 국토에서 수행된 서구식 지질자원 조사 탐사활동의 의도는 순수하지 않았으나 조사 탐사 결과 그 자체만 판단한다면, 학술적 성과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