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graph clustering

검색결과 133건 처리시간 0.022초

Comparison of graph clustering methods for analyzing the mathematical subject classification codes

  • Choi, Kwangju;Lee, June-Yub;Kim, Younjin;Lee, Donghwan
    •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 /
    • 제27권5호
    • /
    • pp.569-578
    • /
    • 2020
  • Various graph clustering methods have been introduced to identify communities in social or biological networks. This paper studies the entropy-based and the Markov chain-based methods in clustering the undirected graph. We examine the performance of two clustering methods with conventional methods based on quality measures of clustering. For the real applications, we collect the mathematical subject classification (MSC) codes of research papers from published mathematical databases and construct the weighted code-to-document matrix for applying graph clustering methods. We pursue to group MSC codes into the same cluster if the corresponding MSC codes appear in many papers simultaneously. We compare the MSC clustering results based on the several assessment measures and conclude that the Markov chain-based method is suitable for clustering the MSC codes.

Min-Hash를 이용한 효율적인 대용량 그래프 클러스터링 기법 (An Efficient Large Graph Clustering Technique based on Min-Hash)

  • 이석주;민준기
    • 정보과학회 논문지
    • /
    • 제43권3호
    • /
    • pp.380-388
    • /
    • 2016
  • 그래프 클러스터링은 서로 유사한 특성을 갖는 정점들을 동일한 클러스터로 묶는 기법으로 그래프 데이터를 분석하고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폭넓게 사용된다. 최근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와 월드 와이드 웹, 텔레폰 네트워크 등의 다양한 응용분야에서 크기가 큰 대용량 그래프 데이터가 생성되고 있다. 이에 따라서 대용량 그래프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클러스터링 기법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대용량 그래프 데이터의 클러스터들을 효율적으로 생성하는 클러스터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우리의 제안 기법은 그래프 내의 클러스터들 간의 유사도를 Min-Hash를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추정하고 계산된 유사도에 따라서 클러스터들을 생성한다. 실세계 데이터를 이용한 실험에서 우리는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기법과 기존 그래프 클러스터링 기법들과 비교하여 제안기법의 효율성을 보였다.

Spectral Clustering with Sparse Graph Construction Based on Markov Random Walk

  • Cao, Jiangzhong;Chen, Pei;Ling, Bingo Wing-Kuen;Yang, Zhijing;Dai, Qingyu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7호
    • /
    • pp.2568-2584
    • /
    • 2015
  • Spectral clustering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clustering approaches in recent years. Similarity graph constructed on the data is one of the key factors that influence the performance of spectral clustering. However, the similarity graphs constructed by existing methods usually contain some unreliable edges. To construct reliable similarity graph for spectral clustering, an efficient method based on Markov random walk (MRW) is proposed in this paper. In the proposed method, theMRW model is defined on the raw k-NN graph and the neighbors of each sample are determined by the probability of the MRW. Since the high order transition probabilities carry complex relationships among data, the neighbors in the graph determined by our proposed method are more reliable than those of the existing methods. Experiments are performed on the synthetic and real-world datasets for performance evaluation and comparison. The results show that the graph obtained by our proposed method reflects the structure of the data better than those of the state-of-the-art methods and can effectively improve the performance of spectral clustering.

공통 Phrase의 관계 그래프와 Suffix Tree 문서 모델을 이용한 문서 군집화 기법 (Document Clustering with Relational Graph Of Common Phrase and Suffix Tree Document Model)

  • 조윤호;이상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42-151
    • /
    • 2009
  • 기존의 문서 군집화 기법 NSTC은 문서 군집화 과정 내에서 TF-IDF를 이용하여 문서간 유사도를 측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TF-IDF가 아닌, 공통 Phrase의 관계 그래프를 이용한 새로운 문서간 유사도 측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문서 집합 내의 공통 Phrase들의 관계를 나타낸 관계 그래프를 통해 공통 Phrase의 가중치를 부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또한 실험을 통해 NSTC와 비교하여 본 논문에서 제안한 문서간 유사도 측정 기법이 문서 군집화에 더욱 효과적임을 보였다.

Robust Similarity Measure for Spectral Clustering Based on Shared Neighbors

  • Ye, Xiucai;Sakurai, Tetsuya
    • ETRI Journal
    • /
    • 제38권3호
    • /
    • pp.540-550
    • /
    • 2016
  • Spectral clustering is a powerful tool for exploratory data analysis. Many existing spectral clustering algorithms typically measure the similarity by using a Gaussian kernel function or an undirected k-nearest neighbor (kNN) graph, which cannot reveal the real clusters when the data are not well separated. In this paper, to improve the spectral clustering, we consider a robust similarity measure based on the shared nearest neighbors in a directed kNN graph. We propose two novel algorithms for spectral clustering: one based on the number of shared nearest neighbors, and one based on their closeness. The proposed algorithms are able to explore the underlying similarity relationships between data points, and are robust to datasets that are not well separated. Moreover, the proposed algorithms have only one parameter, k. We evaluated the proposed algorithms using synthetic and real-world datasets. The experimental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proposed algorithms not only achieve a good level of performance, they also outperform the traditional spectral clustering algorithms.

준정부호 스펙트럼의 군집화 (Semidefinite Spectral Clustering)

  • 김재환;최승진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 논문집 Vol.32 No.1 (A)
    • /
    • pp.892-894
    • /
    • 2005
  • Graph partitioning provides an important tool for data clustering, but is an NP-hard combinatorial optimization problem. Spectral clustering where the clustering is performed by the eigen-decomposition of an affinity matrix [1,2]. This is a popular way of solving the graph partitioning problem. On the other hand, semidefinite relaxation, is an alternative way of relaxing combinatorial optimization. issuing to a convex optimization[4]. In this paper we present a semidefinite programming (SDP) approach to graph equi-partitioning for clustering and then we use eigen-decomposition to obtain an optimal partition set. Therefore, the method is referred to as semidefinite spectral clustering (SSC). Numerical experiments with several artificial and real data sets, demonstrate the useful behavior of our SSC. compared to existing spectral clustering methods.

  • PDF

그래프 컷을 이용한 학습된 자기 조직화 맵의 자동 군집화 (Automatic Clustering on Trained Self-organizing Feature Maps via Graph Cuts)

  • 박안진;정기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5권9호
    • /
    • pp.572-587
    • /
    • 2008
  • SOFM(Self-organizing Feature Map)은 고차원의 데이타를 군집화(clustering)하거나 시각화(visualization)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교사 학습 신경망(unsupervised neural network)의 한 종류이며, 컴퓨터비전이나 패턴인식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 SOFM이 실제 응용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좋은 결과를 보이고 있지만, 학습된 SOFM의 뉴론(neuron)을 다시 군집화해야 하는 후처리가 필요하며, 대부분의 경우 수동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후처리를 자동으로 하기 위해 k-means와 같은 기존의 군집화 알고리즘을 많이 이용하지만, 이 방법은 특히 다양한 모양의 클래스를 가진 고차원의 데이타에서 만족스럽지 못한 결과를 보인다. 다양한 모양의 클래스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그래프 컷(graph cut)을 이용하여 학습된 SOFM을 자동으로 군집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래프 컷을 이용할 때 터미널(terminal)이라는 두 개의 추가적인 정점(vertex)이 필요하며, 터미널과 각 정점 사이의 가중치는 대부분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은 사전정보를 기반으로 설정된다. 제안된 방법은 SOFM의 거리 매트릭스(distance matrix)를 기반으로 한 모드 탐색(mode-seeking)과 모드의 군집화를 통하여 자동으로 사전정보를 설정하며, 학습된 SOFM의 군집화를 자동으로 수행한다. 실험에서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제안된 방법을 텍스처 분할(texture segmentation)에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에서 제안된 방법은 기존의 군집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방법보다 높은 정확도를 보였으며, 이는 그래프기반의 군집화를 통해 다양한 모양의 클러스터를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Multiple Person Tracking based on Spatial-temporal Information by Global Graph Clustering

  • Su, Yu-ting;Zhu, Xiao-rong;Nie, Wei-Zh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9권6호
    • /
    • pp.2217-2229
    • /
    • 2015
  • Since the variations of illumination, the irregular changes of human shapes, and the partial occlusions, multiple person tracking is a challenging work in computer vis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graph clustering method based on spatio-temporal information of moving objects for multiple person tracking. First, the part-based model is utilized to localize individual foreground regions in each frame. Then, we heuristically leverage the spatio-temporal constraints to generate a set of reliable tracklets. Finally, the graph shift method is applied to handle tracklet association problem and consequently generate the completed trajectory for individual object. The extensive comparison experiments demonstrate the superiority of the proposed method.

저자 식별에 기반한 저자 그래프 생성 (Author Graph Generation based on Author Disambiguation)

  • 강인수
    • 정보관리연구
    • /
    • 제42권1호
    • /
    • pp.47-62
    • /
    • 2011
  • 이상적 저자-망은 그 노드가 저자를 표현하도록 정의된다. 그러나 실제 자동 생성되는 대부분 저자망의 노드는 저자명을 저자 식별자로 사상시키는 어려움으로 인해 단순히 저자명으로 표현된다. 실 세계 저자를 표현하기 위해 이처럼 저자명을 사용하여 저자망을 구성하는 것은 서로 다른 동명 저자들이 하나의 저자명 노드로 병합됨으로 인해 저자망의 특성을 왜곡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 연구는 공저 관계에 의존하여 저자명이 갖는 중의성을 해소하고 저자 노드로 구성된 저자망을 자동 생성하는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공저자 자질의 특성상 이 알고리즘은 과소군집오류를 희생하면서 과다군집오류를 최소화하는 군집 결과를 만든다. 실험에서는 한글 동명 저자명이 출현한 실제 서지레코드 집합을 대상으로 알고리즘의 적용 결과를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