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avy snowfall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2초

2004년 3월 4일 대설 사례에 관한 분석과 예보를 위한 제안 (Analyses of the Heavy Snowfall Event Occurred over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on March 4, 2004 and Suggestions for the Future Forecast)

  • 조익현;유희동;이우진;신경섭
    • 대기
    • /
    • 제14권3호
    • /
    • pp.3-18
    • /
    • 2004
  • A heavy snowfall event occurred over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on March 4, 2004. The numerical models of KMA failed to forecast this heavy snowfall event because this event was due to small scale disturbance by low lever convergence and atmospheric instability. The analyses for this heavy snowfall have been performed to give forecasters useful suggestions for forecasting heavy snowfall events in the future. The analyses for the snowfall event were recounted by the Hourly Korean Peninsula Analysis Weather Chart (HKPAWC) presenting on the KMA intranet system. We confirmed that warm air flows of low level into south central Korea in conjunction with strong southwesterly winds played important role in the heavy snowfall event. We suggested several check points to improve the forecast of heavy snowfall events in the future through the results of the analyses.

대설의 경제적 피해 - 교통수요모형과 불능투입산출모형의 적용 (Economic Loss Assessment caused by Heavy Snowfall - Using Traffic Demand Model and Inoperability I-O Model)

  • 문승운;김의준
    • 국토계획
    • /
    • 제53권6호
    • /
    • pp.117-130
    • /
    • 2018
  • Heavy snow is a natural disaster that causes serious economic damage. Since snowfall has been increasing recently, there is a need for measures against heavy snowfall. In order to make a policy decision on heavy snowfall, it is necessary to estimate the precise amount of damage by heavy snowfall. The direct damage of the heavy snow is severe, however the indirect damage caused by the road congestion and the urban dysfunction is also seriou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imate indirect damage of snowfa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the effects on the regional economy from the limitation in traffic logistics caused by heavy snow using the transport demand model and inoperability input-output Model. The result shows that the amount of production loss caused by the heavy snow is KRW 2,460 billion per year and if the period of snowfall removal is shortened by one day or two days, it could be reduced to KRW 1,219 or 2,787 billion in production loss.

강설에 따른 고속도로 주행속도 변화연구 - 서해안고속도로를 중심으로 - (Effects of Snowfall Intensity on Freeway Travel Speed (Focused on Seohaean Freeway))

  • 홍성민;오철;양충헌;전우훈
    •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93-101
    • /
    • 2012
  • PURPOSES : Adverse weather conditions such as heavy rain, heavy snowfall, and thick fog and so on have highly affect on the change in traffic conditions on the road. In particular, heavy snowfall causes capacity reduction as well as crash occurrenc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snowfall on speed on a freeway. METHODS : Vehicle detection systems data were matched with corresponding weather station data by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The results show that the travel speed is reduced by 6.7% under little snowfall and by 12.8% under heavy snowfall. Regarding the speed variation, 8.7% and 114.7% increases are observed under little snowfall and heavy snowfall, respectively. It is also found that 1 cm increase in snowfall leads to 0.4% decrease in travel speed. In addition, the travel speed increases by 0.4% when the temperature increases by $1^{\circ}C$. CONCLUSIONS : It is expected that the outcome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establishing more effective strategies for winter operations and road maintenance in practice.

우리나라 대설 시 지상 종관 기후 패턴 (Surface Synoptic Climatic Patterns for Heavy Snowfall Ev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 최광용;김준수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19-341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지난 36년 동안(1973/74-2008/09) 우리나라 겨울철 강설자료와 북반구 대기순환장을 분석하여 대설 유형별 지상 종관 기후 패턴의 특징을 밝히고자 한다. 동아시아 기압 배치 및 대설 지역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우리나라 대설 발생 사례를 크게 4가지 종관 기후 범주, 세부적으로 17가지 유형으로 세분하였다. 지상 종관 기후 자료 분석에서 각 대설 유형마다 한반도 주변에 나타나는 기압과 바람벡터 아노말리 핵들의 위치 및 강도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특히, 시베리아 고기압의 장출과 이동성 저기압의 통과 여부가 이러한 차이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반구 규모 종관 기후 패턴으로 북극진동의 음의 모드 또한 한반도 겨울철 대설 발생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종관 기후 분석 결과들은 단기 또는 계절 대설 예보 향상에 기초 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대설 대응의 제도적 개선을 위한 중요도 분석 (An Analysis of Importance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Respond of Heavy Snowfall)

  • Kim, Heejae;Yoon, Sanghoon;Park, Keunoh;Kim, Geunyou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340-347
    • /
    • 2017
  • 본 연구는 대설재난 대응을 위한 제도적 개선요인을 도출하고 주요 우선순위를 선정하기 위해 AHP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대설대응관련 계획수립이 중요도 0.461로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설대응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시설, 자원, 정책보다 계획의 수립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설대응을 위한 계획 중에서도 대응과 관련된 계획 수립이 종합중요도 0.175로 다른 개선요소에 비해 가장 우선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고 도출되었다. 이것은 대설관련 계획 중 경감 및 예방, 대비, 대응, 복구계획 중에서 대응측면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대설과 관련된 법제도 개선시 가장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주고 있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대선재난 대응을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수립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Tracing March 2004 and December 2005 Heavy Snowfall of South Korea Using NOAA AVHRR Images

  • Shin, Hyung-Jin;Park, Geun-Ae;Kim, Seong-Joon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9권3호
    • /
    • pp.33-40
    • /
    • 2007
  • This study is to grasp and analyse the temporal and spatial distribution of record-breaking heavy snowfall rarely occurred in the middle and southwest region of South Korea during March of 2004 and December of 2005 respectively. Snow cover area was extracted using the channels 1, 3 and 4 of NOAA AVHRR images and the snow depth distribution was spatially interpolated using snowfall data of meteorological stations. Using administration boundary and Digital Elevation Model from 1:5,000 NGIS digital map, the snowfall impact was assessed spatially and compared with the reports at that time. The damaged area by heavy snowfall over 15 cm snow depth could be identified successfully within the spatial extent of snowfall area extracted by NOAA AVHRR image.

대설 재난의 피해액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2005~2014년 대설재난을 중심으로 (The Study for Damage Effect Factors of Heavy Snowfall Disasters : Focused on Heavy Snowfall Disasters during the Period of 2005 to 2014)

  • 김근영;주현태;김희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25-136
    • /
    • 2018
  • 대설 재난은 한국에서 태풍 및 호우 다음으로 두 번째로 많은 자연 재해라고 할 수 있다. 대설 재난으로 인한 2005년에서 2014년 사이의 연 평균 경제 피해액은 약 80억원이다. 심각한 경제적 피해에도 불구하고 한국에서 대설 재난에 대한 경제 효과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중 회귀모형을 이용하여, 대설 재난의 경제적 피해액과 강설량, 강설일, 인구밀도, 비도시지역 비율 및 수도권 더미 변수 등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는 것이다. 2005년부터 2014년 사이의 대설 재난 피해액 관련 데이터는 행정안전부 (국민안전처)에서 발행하는 자연 재해 연보를 이용하였으며, 강설량 및 강설일과 같은 날씨 관련 데이터는 기상청에서 수집하였다. 인구와 비도시 관련 데이터는 지자체 통계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강설일, 강설량, 비 도시면적 비율 등이 대설 재난 피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한국의 대설 재난 관리 정책에 적용될 수 있다.

호남 지방의 국지적 강설 분포와 그 차이의 원인에 관한 연구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nowfall and its Development Mechanism over the Honam Area)

  • 이승호;이경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57-469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호남 지방의 15개 기상 관측소의 일강설량을 분석하여 강설의 분포 특성과 지역별 강설 분포 차이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호남 지방의 강설 분포와 강설 발생 패턴은 지역별로 다양하다. 강설의 발생 패턴에 따라 호남 지방의 강설 지역을 내륙 북부 다설 지역(전주, 임실, 남원), 내륙 남부 다설 지역(광주. 순천), 산간 다설 지역(장수), 남해안 과설 지역(고흥, 여수), 서해안 다설 지역(군산, 부안, 정읍), 남서해안 다설 지역(목포, 해남), 남서해안 소설 지역(장흥, 완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서해안 다설 지역과 남서해안 다설 지역은 시베리아 고기압 확장 시 해양의 영향으로 강설이 발생한다. 반면 내륙 북부 다설 지역과 내륙 남부다설 지역은 시베리아 고기압의 세력이 강하여 그 영향력이 내륙까지 미쳤을 때 강설이 발생한다. 이때 내륙 북부 다설 지역의 남원, 임실 등은 노령산맥 줄기의 북사면에 위치하여 지형에 의한 공기의 강제 상승으로 인하여 강설이 많다. 산간 다설 지역은 해발 고도가 가장 높은 산지 지역으로 지형성 강설이 발생하며, 남해안 과설 지역은 주로 남해안에 저기압이 통과할 경우 강설이 발생하나 그 빈도가 매우 낮다. 남서해안 소설 지역은 남서해안 다설 지역에 비해 서해로부터 떨어져 있어 시베리아 고기압에 의한 강설이 상대적으로 적다.

한국 다설지역의 가옥 특성 - 민가를 중심으로 - (The Characteristics of Folk Houses at Heavy Snowfall Regions in Korea*)

  • 이승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14
    • /
    • 2002
  •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눈이 많은 지역을 선정하여 다설 현상이 민가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기상 자료를 바탕으로 영동지방(폭설 지역)과 복흥(다빈설 지역)을 사례지역으로 선정하고, 답사에서 얻은 실측 자료와 면담 자료, 관련된 문헌 자료를 분석하였다. 눈이 많이 내리는 지역의 민가는 집중형 가옥이며, 부엌이 넓다. 영동지방과 복흥의 민가 부엌의 넓이는 가옥 전체의 30~40%에 이른다. 사례지역의 민가에는 눈의 피해에 대비하기 위한 시설이 발달하였다. 즉, 영동지방의 민가에는 뜨럭이 있으며, 복흥의 민가에는 가대기가 설치되어 있다. 이는 눈이 가옥 안으로 들이치는 것을 막아준다. 또한, 눈이 많은 지역에서는 눈이 쉽게 흘러내릴 수 있도록 지붕 경사를 급하게 하였다.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강설량 예측 및 폭설 취약지역 평가 (Projection of Future Snowfall and Assessment of Heavy Snowfall Vulnerable Area Using RCP Climate Change Scenarios)

  • 안소라;이준우;김성준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545-55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기상관측소의 적설심 자료와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미래 강설량을 예측하고 기후변화에 따른 폭설 취약지역을 평가하였다. 과거 폭설의 시간적, 공간적인 규모 및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전국 92개 기상관측소의 과거 40년간(1971~2010년) 적설심 자료를 수집하였다. 2000년대로 갈수록 특히 대설경보 기준(20cm)이상 폭설발생 일수는 증가하였다. 이후 기상관측소별로 보정된 AR5 RCP 4.5, 8.5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의해 각 관측소별로 산정된 온도 경계값과 물당량을 이용하여 미래 강설 가능량을 추정하였다. Baseline (1984~2013) 최대 적설심은 122cm로 분석되었고, 4.5 시나리오의 경우 186.1cm (2020s), 172.5cm (2050s), 172.5cm (2080s)로, 8.5 시나리오에 따른 최대 적설심은 254.5cm (2020s), 161.6cm (2050s), 194.8cm (2080s)로 폭설발생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래 폭설 취약지역을 분석하기 위해, 현재 적용되고 있는 전국지역별 원예특작물시설의 설계기준 적설심(cm), 축사 설계기준 적설하중($kg/m^2$), 건축물 설계기준 적설하중($kN/m^2$) 자료를 수집하여 적용하였다. 미래 폭설 취약지역을 분석한 결과, 과거의 폭설 취약지역의 시설물은 미래에 두 배가량 더 취약하며, 취약지역이 더 확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