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eterogeneous small-group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5초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언어적 상호작용 (Verbal Interactions in Heterogeneous Small-group Cooperative Learning)

  • 임희준;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68-676
    • /
    • 2001
  • 이질적으로 구성된 소집단 협동학습에서의 내적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이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에서의 협동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성취 수준별 상호작용 양상을 조사하였다. 성취 수준별 언어적 행동의 빈도를 비교하여 언어적 상호작용에의 참여 정도 및 방식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상호작용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성취 수준에 따른 상호작용 양상도 분석하였다. 조사 결과, 상위와 중위 학생 사이에는 언어적 행동의 빈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소집단의 언어적 상호작용은 상위와 중위 학생이 서로 협력하여 공동으로 의미를 구성해나가는 방식으로 일어났다. 상위와 중위 학생 사이의 활발한 상호작용은 학생들의 인식 조사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즉, 과학수업에서의 협동학습 과정에서는 중위 학생도 적극적이고 활발하게 소집단 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 PDF

이질 모둠이 수행한 과학탐구실험 과정에서 상호작용의 변화와 특성 (Change and Characteristics of Interactions in a Heterogeneous Group in Scientific Inquiry Experiments)

  • 성숙경;최병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870-880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과학실험활동에서 이루어지는 학습자의 상호작용 과정을 심층적으로 분석함으로써,인지수준별 모둠구성에서 나타나는 상호작용의 변화형태와 특성을 확인하여 상호작용 과정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년 동안 13개의 탐구실험 활동이 진행되는 동안 교사가 추천한 두 모둠을 관찰 하면서 녹음/녹화하였다. 40차시의 녹음/녹화자료는 모두 전사되었으며,자료는 메모하면서 보고 듣는 과정을 반복하는 방법을 기초로 분석하였다. 이질모둠의 상호작용은 3A(형식적조작초기)학생이 문제해결을 주도하고 나머지 학생들은 상호작용에 참여하지 못한 채 일방적인 설명을 듣거나 답을 베끼는 식으로 변화하였다. 한편 낮은 능력의 학생은 상호작용에서 소외되고 있었으며,중간수준의 두 학생사이에 새로운 상호작용이 형성되고 있었다. 이로부터 상호작용을 강조한 활동의 진행과 모둠구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으며,이에 대해 논의하였다.

소집단 토론을 통한 과학 개념 학습에서 조 활동 기술을 고려한 집단 구성의 효과 (Effect of Groupong Considering Students' Teamwork Skills in Science Concept Learing via Small Group Discussion)

  • 노태희;임희연;강숙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76-82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조 활동 기술을 교려한 집단 구성 방법(동질/이질)이 학생들의 개념 이해도,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의사소통 불안, 소집단 토론에 대한 인식 등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였다. 수업 처치는 상태변화, 밀도, 용해 개념에 대해 9차시 동안 진행되?駭?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개념 검사 접수에서는 집단 구성 방법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과학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중 '학생간의 협상' 범주에서 조 활동 기술 상위 학생들은 이질 집단에서, 하위 학생들은 동질 집단에서 보다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의사소통 불안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존재하지 않았다. 소집단 토론에 대한 인식 검사 결과, 불균등한 토론 참여를 단점으로 인식하는 학생이 동질 집단보다 이질 집단에 더 많았다.

  • PDF

7학년 광합성 개념의 지위 중복 변화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effect for grouping methods corresponding to ecological niche overlap of 7th graders' photosynthesis concepts)

  • 장혜지;김영신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1권2호
    • /
    • pp.195-212
    • /
    • 2017
  • 소집단 학습은 소집단 내 학생들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공동의 목표 및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학습 방법이다. 과학 교육에서 소집단 학습은 중요 학습 전략 중의 하나이며, 학업 성취도와 태도 향상에 효과적이다. 소집단 구성은 3명일 때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과학 탐구 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집단의 구성 방법 즉, 동질과 이질 집단으로 구성하느냐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집단의 구성에 따라 7학년 학생의 광합성 개념의 생태적 지위에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서 7학년 학생 1107명을 대상으로 이질 집단과 동질 집단은 상위, 중위, 하위로 구분하여 구성하였다. 광합성 개념은 광합성 장소, 광합성 생성물질, 광합성 필요물질, 광합성 환경 요인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광합성 개념의 생태적 지위 변화에 대한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빈도율 4%이상인 개념을 선정하여 설문을 구성하였다. 설문지는 4가지 영역에 각각 제시된 관련 개념들에 대한 관련성 점수와 이해 수준 점수를 측정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3명의 소집단 수업에서는 과학 개념 학습에 향상이 있었다. 2) 집단 구성 시 평균을 향상시키고자 할 때는 동질 집단으로 구성하고 구성원간의 편차를 줄이고자 할 때는 이질 집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연구를 통해서 집단 구성에 따른 결과의 이중성에 대한 차이 또는 효과를 검증하는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이종 모바일 네트워크에서의 소규모 그룹 통신을 위한 명시적 멀티캐스트 (Explicit Multicast for Small Group Communications in Heterogeneous Mobile Networks)

  • 김원태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3권8호
    • /
    • pp.15-24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다수의 소규모 그룹 멀티캐스트 통신을 위해 제안된 XMIP라는 명시적 모바일 멀티캐스트를 설계하고 구현한다. XMIP는 유니캐스트 라우팅 정보에 기초한 명시적 멀티캐스트의 특징을 상속받아 멀티캐스트 상태유지가 필요없는 간단한 멀티캐스트 메커니즘이다. 본 연구에서는 IETF Mobile IP의 각 이동 에이젼트들을 XMIP와의 연동을 고려하여 수정하고 확장한다. 확장 홈에이젼트로 전송된 XMIP 패킷들은 확장 홈에이젼트의 바인딩 테이블을 참조하여 X-in-X이라는 중첩 터널을 통해 확장 지역 에이젼트들로 전송된다. X-in-X 터널링 메커니즘은 Mobile IP 멀티캐스트 트래픽 집중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CDMA2000 1X EV-DO 및 무선랜을 포함하는 이종 모바일 네트워크 환경을 기반으로 XMIP 실험망을 구축하고, 소규모 그룹 통신을 위한 다중 사용자 인스턴트 메신저를 개발하여 실험함으로써 제안하는 프로토콜들의 실효성을 검증한다.

소척추동물군집에서 개체군 변동과 생물다양성 유지를 위한 서식지 이질성의 기능 (Function of Habitat Heterogeneity for the Biodiversity and Demography of Population in Small Mammal Community)

  • Lee, Sang Don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4호
    • /
    • pp.512-523
    • /
    • 1995
  • The central theme of Habital heterogeneity is to provide animals with habital complexity or structural diversity and to allow resource partitioning among individuals. In turn, the leads to population stability because prey can escape more easily with more hiding places causing less population fluctuation. Species diversity is characterized due to more potential niches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 Empirically, in homogeneous habitats population was less abundant, reproduction and survival were lower, spacing behavior, competition and dispersal were higher than in heterogeneous habitats. The results imply that diversity and conservation of species can be maintained through providing heterogeneous habitats.

  • PDF

모둠 구성에 따른 수학적 모델링 과정 수행 및 수학적 추론 능력 분석 (An Analysis of Mathematical Modeling Process and Mathematical Reasoning Ability by Group Organization Method)

  • 안인경;오영열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97-516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 수업에서 모둠 구성 방법에 따라 수학적 모델링 과정 수행 능력과 수학적 추론 능력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3가지 문제 상황으로 각각 8차시에 걸쳐 총 24차시의 수학적 모델링 수업을 설계 및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동질 모둠 보다는 이질 모둠에서 더 낳은 수학적 모델링 과정 수행 능력과 수학적 추론 능력을 보여 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수학 수업에서 수학적 모델링을 적용할 때 모둠 구성의 관점에서 이질 모둠이 보다 효과적임을 시사한다.

  • PDF

초등학교 자연 수업에 적용한 POE 학습에서 내·외향성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 (The Effect of Grouping by Extraversion and Introversion in POE Learning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

  • 고한중;탁경오;문소현;한재영;노태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72-78
    • /
    • 2003
  •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자연 수업에 적용한 POE 학습에서 학생들의 내, 외향성에 따른 소집단 구성의 효과를 학업 성취도,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의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초등학교 5학년 95명을 통제 집단과 실험 집단으로 배치한 후, 산과 염기에 대하여 9차시 동안 수업하였다. 실험 집단의 동질 집단은 내향적 학생 4명을 1개 소집단으로, 이질 집단은 내향적 학생 2명과 외향적 학생 2명을 1개 소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학업 성취도의 적용 영역에서 동질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보다 높았다. 학습의 곤란도에서 이질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에서 수업 처치와 학생들의 내, 외향적 사이에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성격유형별 소집단 협동학습이 유아의 과학활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mall Group's Cooperative Learning According to Personality Types on Young Children's Science Activities)

  • 강상;신지혜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01-220
    • /
    • 2013
  • 본 연구는 협력적인 탐구과정이 요구되는 과학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성격 유형별 소집단과학협동학습이 유아의 과학적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전라북도 J시에 소재한 S유치원과 J유치원 만 5세를 대상으로 K-ABC 인지능력 검사와 MMTIC 성격유형 검사를 통해 각 기관별로 15명씩 총 30명을 EI지표에 따라 E(외향성)집단과 I(내향성) 집단의 성격유형 동질집단과 EI 혼합집단인 이질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자료 분석은 과학적 태도는 공변량분석(ANCOVA), 과학적 지식 발달은 빈도 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성격 유형별 동질집단과 이질집단 간 과학적 지식발달에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소집단 협동학습에서 성격 유형별 동질집단과 이질집단 간과학적 태도에도 차이가 나타났다.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한 결과 E동질집단과 I동질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I동질집단과 이질집단, E동질집단과 이질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고, I동질집단이 과학적 태도 향상에 가장 효과적인 집단구성이었다.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모둠 선호도에 따른 사회적 상호 작용 분석 (An Analysis of Social Interaction according to Students' Preference for Groups in Science Instruction of Elementary School)

  • 양전미;이혜정;오창호;정진수;권용주;박국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1호
    • /
    • pp.1-1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interaction patterns and characteristics of small group discussions during elementary school science classes. Four heterogeneous groups were formed according to preferences and non-preferences, consisting of male and female students. Verbal interactions during small group discussions were audio and videotaped, transcribed and analyzed. The interaction frequency of each group was compared in terms of their cognitive and affective aspects. The results in terms of the cognitive aspect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frequency of interaction between preference and non-preference groups' verbal behaviors. However, the quality of interaction was superior and the number of high level types of interaction were more frequent in the preference group. From the affective perspective, both groups of students exhibited a positive attitude in the preference group and a negative attitude in the non-preference group. The differences of interaction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groups were that in the case of the female group, the frequency and the quality of interaction was higher. Moreover, in contrast to male students, female students revealed satisfaction and favorable attitudes in their non-preference group because they felt more a acceptable atmosphere and attitude in that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interactions of the preference group are more interactive and elaborate in nature than those of the non-preference group.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