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gh mathematical creativity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7초

Assessment of Mathematical Creativity in Mathematical Modeling

  • Jang, Hong-Shick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5권2호
    • /
    • pp.181-196
    • /
    • 2011
  • In mathematical modeling tasks, where students are exposed to model-eliciting for real and open problems, students are supposed to formulate and use a variety of mathematical skills and tools at hand to achieve feasible and meaningful solutions using appropriate problem solving strategies. In contrast to problem solving activities in conventional math classes, math modeling tasks call for varieties of mathematical ability including mathematical creativity. Mathematical creativity encompasses complex and compound traits. Many researchers suggest the exhaustive list of criterions of mathematical creativity. With regard to the research considering the possibility of enhancing creativity via math modeling instruction, a quantitative scheme to scale and calibrate the creativity was investigated and the assessment of math modeling activity was suggested for practical purposes.

문제 만들기를 적용한 문제해결수업이 수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An Effect of Problem-solving Lessons with Problem-posing on Mathematical Creativity)

  • 김서린;김동화;서혜애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381-411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changes through problem-solving instruction using problem-posing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explore instructional methods to improve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in school curriculum. In this study, nonequivalent control group design was adopted, and the followings are main results. First, problem-solving lessons with problem-posing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and all three 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were also significant. Second, the lessons showed meaningful results for all upper, middle, and lower groups of pupils according to the level of mathematical creativity. When analyzing the effects of sub-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ere was no significant effect on fluency in the upper and middle groups. Based on the results, we suggest following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systematic guidance plan that combines problem-solving and problem-posing, Second, a long-term lesson plan to help students cultivate novel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through insights. Third, research on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at can improve mathematical creativity even for students with relatively high mathematical creativity is necessary. Lastly, various student-centered activities in math classes are important to enhance creativity.

수학적 모델링에서 집단창의성 발현사례 (Manifestation examples of group creativity in mathematical modeling)

  • 정혜윤;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7권4호
    • /
    • pp.371-391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anifestation examples and effects of group creativity in mathematical modeling and to discus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group creativity. The following two points were examined from the theoretical background. First,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group activity in mathematical modeling. Second, we examine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group creativity. Six students in the second grade of high school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two groups of three each. Mathematical modeling task was "What are your own strategies to prevent or cope with blackouts?". Unit of analysis was the observed types of interaction at each stage of mathematical modeling. Especially, it was confirmed that group creativity can be developed through repetitive occurrences of mutually complementary, conflict-based, metacognitive interactions.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First, examples of mutually complementary interaction, conflict-based interaction, and metacognitive interaction were observed in the real-world inquiry and the factor-finding stage, the simplification stage, and the mathematical model derivation stage, respectively. And the positive effect of group creativity on mathematical modeling were confirmed. Second, example of non interaction was obser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limitations on students' interaction object and interaction participation, and teacher's failure on appropriate intervention. Third, as teaching learning methods for group creativity, we proposed students' role play and teachers' questioning in the direction of promoting interaction.

문제제기 수업이 수학 문제해결력과 창의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Problem Posing Teaching o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 이상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3호
    • /
    • pp.361-374
    • /
    • 2005
  • I analyzed the effect of problem posing teaching and teacher-centered teaching on mathematical problem-solving ability and creativity in order to know the efffct of problem posing teaching on mathematics study. After we gave problem posing lessons to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far 28 weeks, the evaluation result of problem solving ability test and creativity test is as fellows. First, problem posing teaching proved to be more effective in developing problem-solving ability than existing teacher-centered teaching. Second, problem posing teaching prov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eacher-centered teaching in developing mathematical creativity, especially fluency and flexibility among the subordinate 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Thus, 1 suggest the introduction of problem posing teaching activity for the development of problem-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creativity.

  • PDF

다양한 해결법이 있는 문제를 활용한 수학적 창의성 측정 방안 탐색 (A Study on the Measurement in Mathematical Creativity Using Multiple Solution Tasks)

  • 이대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1호
    • /
    • pp.1-17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한 문제를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와 이에 대한 채점방법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을 측정함으로써 수학적 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 5학년 학생 10명을 대상으로 다양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활용하여 검사를 실시하여 수학적 창의성을 측정하였다. 수학적 창의성 측정을 위하여 창의성의 하위 요소인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을 바탕으로 '새롭고, 가치 있는' 수학적 산출물을 평가할 수 있는 채점방법을 구축하여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수학적 창의성 점수는 학생 간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문항별로도 수학적 창의성 점수에서 차이가 나타나, 수학 학습 내용에 따라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의 채점방법에 따르면, 유창성이 높을수록 수학적 창의성이 높았다. 그렇지만 '새롭고, 가치 있는' 수학적 창의성의 특성을 부각시키는 채점방법에 의해 유창성과 융통성이 증가할수록 답의 희소성이 낮아져 상대적으로 독창성 점수를 얻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답의 희소성과 수학적인 측면에서 답의 가치를 동시에 고려하는 독창성 판단의 준거를 만들 필요가 대두되었다.

  • PDF

Difference between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Mathematical Self-Efficacy

  • Seo, Jong Jin;Hwang, Dong Jou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8권3호
    • /
    • pp.183-202
    • /
    • 2004
  • The former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differences between people of creativity and non-creativity lie in differences of the self-efficacies rather than those of cognitive aspects and a man of higher self-efficacy has a tendency to set up a higher goal of achievement and higher self-efficacy influences his or her achievement results as well (Zimmerman & Bandura 1994). Using the method of mathematical creative responses of open-ended approach (Lee, Hwang & Seo 2003), difference of mathematical self-efficacies has been surveyed in the study. Results of the survey showed that some students of a high mathematical self-efficacy even had bad marks in the originality or creativity but, in some cases, some students of a low mathematical self-efficacy rather had good marks in the fluency. Therefore, the response results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may be a special ability and not just a combination of self-efficacy ability. The fluency of the mathematical creative ability may be a combination of mathematical motivation ability that have been surveyed in the study suggest that not only cognitive components but also social and emotional components should be included in a development process of new creative method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 PDF

창의성 이론을 통해 본 수학 창의성 (Mathematical Creativity in the View of General Creativity Theory)

  • 김판수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3호
    • /
    • pp.465-496
    • /
    • 2008
  •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창의성은 리더십 및 전문성과 더불어 인재의 핵심가치로 부각되고 있다. 창의성은 영재성의 주요한 요소이며, 영재교육에서 창의성 계발은 프로그램의 핵심이다. 특히 고차원의 사고력과 이해를 요구하는 수학영역에서의 창의성은 사고의 융통성을 잴 수 있는 척도로 창의성 연구의 기초 도구로 쓰인다. 그러나 수학 창의성에 대한 이론적 연구는 많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Sternberg와 Lubart가 제안한 6가지의 창의성 접근, 즉 신비주의적 접근, 실용주의적 접근, 심리-역등적 접근, 심리-측정적 접근, 인지적 접근, 사회-성격적 접근에 따라 수학 창의성을 분석하였다. 이는 수학 창의성을 여러 측면에서 고찰해봄으로써 수학 창의성 개념과 최근 연구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수학적 창의성 교육에 관한 연구 동향 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s in Mathematical Creativity Education)

  • 최병훈;방정숙
    • 영재교육연구
    • /
    • 제22권1호
    • /
    • pp.197-215
    • /
    • 2012
  • 본 연구는 1997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등재(후보)학술지에 발표된 수학적 창의성과 관련한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함으로써 수학적 창의성 교육의 미래 과제와 발전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1997년부터 2011년까지 국내 등재(후보)학술지에 발표된 논문 114편을 선정하여 분류기준에 따라 연도별, 대상별, 연구주제별, 연구방법별 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수학적 창의성 교육 연구는 2000년 이후부터 지속적으로 이루어졌고, 연구대상별 동향분석에서는 연구주제가 사람이 아닌 경우, 중등학생, 초등학생, 영재학생, 교사, 유치원생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주제별 동향분석에서는 수학적 창의성 교육방법, 수학적 창의성의 일반연구, 수학적 창의성 측정과 평가 연구가 비교적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교과서 및 교육과정과 관련한 연구가 미진하였다. 연구방법별 동향에서는 질적연구방법이 양적 연구방법에 비해 많았으며 혼합 연구방법은 저조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본 논문은 현재까지의 수학적 창의성이 어떻게 연구되었고 앞으로의 연구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집단 창의성 발현을 통한 수학적 모델링 활동 지원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supporting mathematical modeling activities through the development of group creativity)

  • 정혜윤;이경화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133-1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중학교 3학년 학생들의 일상적인 수업에서 집단 창의성 발현을 통해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지원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사회문화적 관점에 따른 집단 창의성의 의미와 수학적 모델링의 사회문화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4명씩 5모둠으로 구성된 한 학급에서 실험을 수행한 뒤, 집단 창의성 발현이 잘 이루어진 한 모둠의 사례에 초점을 둔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첫째, 수학적 모델링의 각 단계별로 다양한 유형의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며, 수학적 모델링의 단계와 발생한 상호작용의 유형에 따라 다양한 창의적 시너지가 관찰되었다. 즉, 수학적 모델링 활동에서 집단 창의성 발현이 관찰되었다. 둘째, 발현된 집단 창의성은 수학적 모델링의 각 단계의 수행을 지원하였다. 이때, 수학적 모델링의 단계와 발생한 상호작용에 따라 각기 다른 방향으로 수학적 모델링 활동을 지원하였다.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분석 (An Analysis on the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in Problem Posing Activities)

  • 이대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5권3호
    • /
    • pp.411-428
    • /
    • 2012
  • 미래 사회에 대비하고 적응하기 위하여 창의성에 대한 요구가 한층 높아지고 있다. 이에 학교 수학에서 학생들의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다양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문제 만들기는 수학적 창의성을 길러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학문제 만들기 활동의 결과물을 이용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학년 상 수준 5명, 중 수준 7명, 하 수준 4명을 포함한 16명 학생을 연구 대상으로 문제 만들기 활동을 하고, 학생들이 만든 문제를 이용하여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창의성 점수의 평균에서는 상, 중, 하의 성취 수준에 비례하여 나타났다. 둘째, 학생들이 만든 문제의 수에서는 상, 중, 하 수준의 학생들 간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학생들은 세 수준 모두에서 조건을 변경하여 문제를 만드는 비율이 높았고, 이런 현상은 상, 중, 하 순으로 갈수록 더 높게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