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p joint surgery

검색결과 102건 처리시간 0.022초

Bilateral Asymmetric Traumatic Dislocation of the Hip Joint

  • Park, Hee Gon;Yi, Hyung Suk;Han, Kyoo Hong
    • Journal of Trauma and Injury
    • /
    • 제31권1호
    • /
    • pp.43-50
    • /
    • 2018
  • Traumatic hip joint dislocations account for 2-5% of total joint dislocations. Bilateral asymmetric hip joint dislocation with anteriorly and posteriorly dislocation is an even more rare case because it was according to G. Loupasis reported in 11 cases only since 1879. We want to report 2 cases of bilateral asymmetric hip joint dislocation with unilateral acatabulum fracture which happened in our hospital. Bilateral asymmetric dislocation of hip joint accompanied by unilateral fracture of acetabulum is a very rare case so statistical verification cannot be done. However, close examinations are required at early treatment and follow-up because the patterns of dislocation and fracture of hip joint are variable and an orthopedic emergent condition and several complications may occur at both hip joints.

게이지 정합 방법을 이용한 소형 인공고관절 수술로봇의 개발 (Robot assisted THA surgery using gauge based registration)

  • 신호철;박영배;윤용산;권동수;이정주;원중희
    • 대한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C
    • /
    • pp.482-484
    • /
    • 2001
  • In orthopedics, hip arthroplasty is the operation that replaces damaged hip joint to artificial joint. In hip arthroplasty, quite better result can be achieved if robot is applied to machine cavity in bone, especially when cementless stem is used. So several kinds of robots were introduced for hip arthroplasty, but they used MRI, CT Scan, vision analysis and real time tracking of bone position for registration of robot. To overcome shortage of conventional robot surgery, gauge based registration method was proposed and small robot was designed. In this method, small robot is mounted on femur, and its position is determined by gauge registration method. Operation procedure was performed on model femur and result was analyzed. This robotic hip surgery system is expected to more adaptable in operation room.

  • PDF

Transient osteoporosis of the hip with a femoral neck fracture during follow-up: a case report

  • Yusuke Tabata;Shuhei Matsui;Masabumi Miyamoto;Koichiro Omori;Yoichiro Tabata;Tokifumi Majima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40권2호
    • /
    • pp.212-217
    • /
    • 2023
  • We report a case of transient osteoporosis of the hip with a femoral neck fracture found during follow-up. A 53-year-old man presented with left hip pain without trauma. The pain did not improve after 2 weeks and he was brought to our hospital by ambulanc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of the left hip joint showed diffuse edema in the bone marrow, which was identified by low signal intensity on T1-weighted images, high signal intensity on T2-weighted images, and increased signal intensity on short tau inversion recovery. This edema extended from the femoral head and neck to the intertrochanteric area. He was diagnosed with transient osteoporosis of the left hip. Rest gradually improved his pain; however, 3 weeks later, his left hip pain worsened without trauma. X-ray, computed tomography, and MRI results of the hip joint demonstrated a left femoral neck fracture, and osteosynthesis was performed. Differential diagnoses included avascular necrosis of the femoral head, infection, complex regional pain syndrome, rheumatoid arthritis, leukemia, and other cancers. Transient osteoporosis of the hip generally has a good prognosis with spontaneous remission within a few months to 1 year. However, a sufficient length of follow-up from condition onset to full recovery is necessary to avoid all probable complications such as fractures.

초음파 감시하 다발성 천공술을 이용한 고관절 주위 석회화 건염의 치료: 4례 보고 (Ultrasonography-Guided Multiple Needling for the Treatment of Calcific Tendinitis Around Hip Joint: 4 Cases Report)

  • 권용욱;이경재;민병우;배기철;조철현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89-93
    • /
    • 2012
  • 고관절 주변에 발생하는 석회화 건염은 그 발생빈도가 극히 드믈지만 증상이 발생하면 매우 심한 통증으로 일상 생활이 힘들어진다. 저자들은 급성 고관절 통증과 관절 운동 장애를 호소하는 환자 4례에서 석회화 건염을 진단하고 초음파 감시하 다발성 천공술을 시행하여 만족할 만한 결과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 PDF

고관절 초음파의 정상 소견 및 고관절 주위 질환의 초음파 소견 (Ultrasonographic Findings of Normal Hip Joint and Painful Hip due to Soft Tissue Problem)

  • 남우동;남신우;한계영
    • 대한정형외과 초음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38-46
    • /
    • 2010
  • 고관절에 위치한 골, 관절 및 주위 연부 조직의 병변은 고관절의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진단하기 위해 기초적인 이학적 검사와 단순 방사선 검사를 시행하고, 경우에 따라 CT, MRI 등을 이용하였다. 그러나 건과 점액낭 등의 연부조직 병변 대해서는 초음파 검사가 비침습적이고 역동적인 검사가 가능하고, 고관절에 대한 수술 후 추시 검사 수단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성인의 고관절은 심부에 위치하여 그 검사가 힘들고 비만인 환자에게는 적용하기 힘든 경우도 있다. 이에 고관절 주위의 구조물들의 정상적 초음파 소견과 고관절 질환의 병적 소견을 알아보고 또한 기타 활용 방안에 대해 설명하였다.

  • PDF

고관절 고정이 하지관절에 미치는 영향 (Hip Articulation Fusion Effect on Movement of Knee and Foot Joint)

  • 강승백;황민철;김영민;김봉욱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5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45-46
    • /
    • 1995
  • Hip articulation fusion is to relieve hip pain from pathologic joint problem. The questionnaire is followed by hip articulation fusion surgery in order to evaluate the degree of pain, function, mobility. However, this subjective evaluation is controversial. The patient endurance of pain which affect function and mobility of lower extremity call not assess objectively. Therefore, gait analysis is necessary for objective evaluation. This study is to evaluate objectively function and mobility after hip articulation fusion surgery using gait analysis.

  • PDF

고관절 수술환자에게 적용한 섬망 예방프로그램의 효과 (Effects of Delirium Prevention Program in Patients after Hip Joint Surgery)

  • 사공은미;김숙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134-144
    • /
    • 2018
  • 본 연구는 고관절 수술 환자에게 섬망 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일 종합병원에서 고관절 수술후 외과계중환자실에 입실한 65세 이상 노인 환자였으며 실험군 33명, 대조군 31명이었다. 실험군에게 섬망 예방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구체적 내용은 오리엔테이션 중재, 활동 중재, 생리적 중재, 영양 중재, 수면 중재, 환경 중재로 구성되었다. 자료분석은 ${\chi}^2-test$, independent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섬망 발생률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chi}^2=7.048$, p=.008). 실험군은 대조군 보다 중환자실 재실일수와 재원일수가 적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섬망 예방프로그램은 고관절 수술환자의 섬망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임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고관절 수술환자 섬망 예방을 위해 실무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 3D-printing Bone Model for Surgical Planning of Total Hip Replacement after Failed Triple Pelvic Osteotomy

  • Han, Kyungjin;Park, Jiyoung;Yoon, Jangwon;Lee, Young-Won;Choi, Ho-Jung;Jeong, SeongMok;Lee, Haebeom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463-466
    • /
    • 2017
  • A 3-year-old, 26 kg, castrated male Chow Chow was presented for assessment of weight-bearing lameness of the left hind limb.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triple pelvic osteotomy on the left side to correct hip dysplasia 2 years prior to his presentation of clinical signs and underwent total hip replacement on the right coxofemoral joint 1 year later. Upon physical examination, pain and crepitus were noted on the left hip joint during extension. Radi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coxofemoral joint subluxation and moderate degenerative bone changes on the left hip joint and pelvic axis, which relates to acetabular angles that were changed after triple pelvic osteotomy (TPO). Pre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was used for 3-dimensional printing to establish an accurate surgical plan. The changed angles of the acetabulum after TPO were evaluated, and rehearsal surgery was performed using a 3-demensional printing bone model. Three months after the THR surgery, the function of the affected limb had improved, with no lameness. Complications, such as luxation and implant failure, were not observed until 6 months after the operation. Accurate evaluation of acetabulum angles and rehearsal surgery using a 3D-printed bone model is effective for total hip replacement after unsuccessful TPO.

최소침습술을 위한 고관절 메커니컬 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Hip Joint Mechanical Stem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이성현;배지용;전인수
    • 대한기계학회논문집B
    • /
    • 제37권7호
    • /
    • pp.703-708
    • /
    • 2013
  • 고관절 전치환술은 대퇴골두와 비구 부분이 손상되어 제 기능을 하지 못하였을 때, 인공 고관절로 대체하는 수술로서 인체에는 많은 양의 절개를 필요로 하며 장기간의 회복시간과 재활시간을 필요로 한다. 최소침습술은 환자에게 흉터와 근육절개를 최소화하고, 회복시간을 단축하여 미관상 흉터가 적어 가장 선호되는 수술 방법이다. 이 논문에서는 최소침습술이 가능한 메커니컬 스템(Mechanical stem)을 기어의 원리를 이용하여 개발하였다. 재치환술을 할 경우에는 스템 전체를 교체할 필요 없이 일부 부품만을 교체하여 수술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아크릴 소재로 모형을 제작하여 작동에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3D Bio-CAD 모델링 기법을 통하여 메커니컬 스템의 기하학적 모델링을 하였다. 실험 대상자의 고관절 부위는 컴퓨터 단층촬영 영상데이터를 기반으로 3차원 재구축을 하였고, 가상 시술 환경 조건에서 몸무게보다 더 과중한 하중을 적용하여 메커니컬 스템의 안전성을 유한요소해석으로 확인하였다.

고관절 및 인공 고관절의 생역학 (Biomechanics of Hip and Hip Replacement Arthroplasty)

  • 이영균;최지혜;원희재;구경회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4권5호
    • /
    • pp.377-383
    • /
    • 2019
  • 고관절의 생역학은 고관절에서 체중이 관절면을 통해 전달되는 역학적인 원리를 이해하고 탐구하는 학문이다. 이러한 기초 과학 지식은 퇴행성 관절의 병리와 고관절 치환술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특히 고관절의 생역학에 대한 이해를 통해 인공 고관절 치환물의 재료와 설계 및 고정과 관련된 고관절 치환술 분야의 발전을 이루어 왔으며, 수술 방법의 선택, 치환물의 선택 및 위치 등 다양한 부분에 적용될 수 있다. 더욱이 환자의 보다 나은 임상 결과를 얻기 위해서는 고관절의 생역학을 잘 이해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고관절의 생역학을 접근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지식과 정상 고관절 및 인공 고관절의 생역학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