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istory of library

검색결과 338건 처리시간 0.027초

보성전문학교 도서관(1935~37)의 건축적 연원 탐구 (Tracing the Architectural Origin of the Bosung College Library (1935~37))

  • 김현섭
    • 건축역사연구
    • /
    • 제21권4호
    • /
    • pp.47-5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trace the architectural origin of the Bosung College Library (1935~37), which is currently used as Graduate School Building of Korea University. So far, numerous books have repeatedly described that the library was modelled on a Duke University library, but without any serious considera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field-trip and archives investigation, this research discovered new critical facts concerning the origin of the building. First, Dong-Jin Park, the architect for Bosung College, saw a photograph of the Duke library in a Duke University catalog possessed by Chun Suk Auh, Professor of the college at that time. Second, the Duke library that he saw in the catalog, which might possibly be Bulletin of Duke University (Feb. 1931), is certainly the present Perkins Library (1930) in Duke University West Campus. Third, the architect probably referred not only to the library but also to other Duke buildings such as School of Medicine and The Union, of which photographs were also published impressively in the Bulletin. Although the Bosung College Library was inspired by the Duke buildings, however, it is undoubtedly a creative design work by the architect Park. Arguably, these findings broaden our view of Korean architectural history in the modernization period, and it is more than a confirmation of just one building's origin.

대만 공공도서관의 역사와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istory and General Situation of Public Libraries in Taiwan)

  • 우윤희;김종성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353-379
    • /
    • 2014
  • 이 연구는 대만의 공공도서관 역사와 현황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1901년 대만문고를 일본 거류민이 설립함으로써 시작된 대만 공공도서관의 역사는 대만총독부도서관 설립으로 본격화되었다. 광복과 중화민국 정부의 대만천도 이후 침체를 겪다가 1979년 '문화건설계획' 이후 양적으로 늘어나고, 1987년 계엄령 해제로 출판물이 증가하면서 질적으로도 발전하게 되었다. 이후 급격히 발전한 대만 공공도서관의 현황을 통해 공립공공 도서관이 발전의 주축이 되고 있다는 점, 국가도서관뿐만 아니라 주요 공공도서관 관장이 도서관전문가라는 점, 현장에서의 연구가 활발하다는 점, 도서관의 독서진흥활동이 성인독자, 노인독자 등 연령대를 폭넓게하여 이루어진다는 점, 도서관간의 상호협력, 녹색도서관건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는 점 등의 장점을 발견하였다.

국가대표도서관의 구술 컬렉션 핵심 요소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the Key Factors of the Oral Collection in National Representative Library)

  • 정연경;이재영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53-77
    • /
    • 2020
  • 본 연구는 외국의 국가대표도서관 구술 컬렉션의 현황을 분석하여 한국의 국가대표도서관에서 구술 컬렉션을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를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미의회도서관과 영국국립도서관, 호주국립도서관에서는 구술자료를 국가적으로 전승시켜야 할 국가지식유산으로 간주하여 일찍부터 관련 센터나 부서를 설치하고 모든 역량을 집중시켜 구술 컬렉션을 대표적인 컬렉션 중의 하나로 수집, 활용, 보존하고 있다. 이들 국가대표도서관의 구술 컬렉션 분석을 바탕으로 현재 구술 컬렉션이 전무한 국립중앙도서관이 국가대표도서관으로서 구술 컬렉션을 처음 시작할 때 고려해야 할 핵심 요소를 법령, 조직, 수집 정책, 서비스, 컬렉션, 교육 및 협업, 기금 및 후원을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미국의 병영도서관의 발전과정과 한국전쟁 중의 병영도서관 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Process of Military library in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U.S. Armed Forces library Services during the Korea War)

  • 송승섭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57-273
    • /
    • 2005
  • 본 연구는 최근 우리나라에서 '진중도서관 설치 운동'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병영도서관의 의의와 발전과정을 미국의 병영도서관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미국의 병영도서관의 역사와 한국 전쟁동안에 있었던 미군의 병영도서관 활동을 살펴보고 분석하였다. 다음, 미국의 병영도서관 조직, 설치현황과 도서관서비스 프로그램 내용을 조사하였다.

  • PDF

일제강점기 대구부립도서관 건물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the Building of Daegu City Librar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 조용완;김종성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45-168
    • /
    • 2020
  •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대구부립도서관 건물의 변천과정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당시의 신문기사, 도서, 공문서, 관보, 잡지기사, 통계, 도서관의 공식 역사자료, 관련 연구 등을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이들에 대해 비교 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대구부립도서관에 관한 기존의 연구와 공식 역사자료들은 관련 자료의 서지정보와 원문정보의 부족으로 인해 대구부립도서관 조례 제정일, 최초 도서관 건물, 도서관 신축 건물의 착공일, 준공일, 개관일 등에서 여러 오류들을 가지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대구지역의 도서관 역사에 대해 추가적인 연구들을 제언하였다.

Ranganathan, Dewey, and Bong-Suk Park

  • 오동근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11-27
    • /
    • 2012
  • This article investigated the lives and careers of three great librarians in India, USA, and Korea: S. R. Ranganathan, Melvil Dewey, and Bong-Suk Park, respectively. It also explored their influences and contributions. Their births and early years, and marriage; college years; commitment toward librarianship and careers; achievements in other areas; personalities; and commemorative activities, among others, were analyzed. Their contributions to librarianship and library community in the general theory of library science, professional education, classification and cataloging, library administration and management, and library associations and library movement were also investigated. Special focus was on Bong-Suk Park, with a special regard to his unrealized dream for the Korean library community as well as insufficient estimation related to him and his achievements.

대구부립도서관과 일제의 식민지정책 (Taegu Burip Library and Japanese Colonial Policy)

  • 김남석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23
    • /
    • 2001
  • 일제의 도서관정책은 한국인의 독립운동으로 전개된 민족 계몽을 위한 도서관활동을 저지 하고, 관 주도의 도서관을 통한 조선인에 대한 일본문화의 식 민화였다. 대구부립도서관은 일제 가 관 주도로 설립한 한국 최초의 부립도서관이라는 점에서 설립 배경과 활동을 식민지 정책 과 연계시켜 조사, 분석하여 일제의 도서관정책의 허구성과 조선에 대한 식민지 지배구조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도서관사연구, 일제의 식민지정책연구 그리고 대구의 도서관사연 구에 참고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PDF

$\ll$패림$\gg$$\ll$대동야승$\gg$의 이동 -소수서목 상호비교-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erim and the Taedong Yasung -Unofficial History Collections of the Yi Dynasty-)

  • 정형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권
    • /
    • pp.79-102
    • /
    • 1971
  • The P'aerim and the Taedong Yasung are the two better known among unofficial history collections of the Yi Dynasty still available. The compilers and writers of unofficial historical records generally were people without official connection with the incidents recorded, and were thus in a position to be critical in their evaluation. Therefore, in order to gain a balanced view of Korean history, these unofficial history sources must also be consulted.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various unofficial history collections, even though the titles may be identical. For this reason, the writer has made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ntents of both the P'aerim and the Taedong Yasung. As a result, variou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collections are noted. This points out the need for continued research on collections of unofficial historical records.

  • PDF

서양의 자료분류법의 발달과정 - 고대에서 해리스까지 - (The History of Library Classification before Dewey in Western library)

  • 김명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25권
    • /
    • pp.185-213
    • /
    • 1993
  • This study is on the history of classification in Western library from ancient to Harris(1870), before Dewey. It looks into the classification systems of librarians, bibliographers, booksellers and libraries of that time. One of the earliest was the classification of the clay tablets in the Assyrian library of Assurbanipal. But the earliest recorded system in the papyrus is that which Callimachus(B.C. 310-240) devised for the library at Alexandria. In the medival, the monastry libraries used many classifications. but their libraries were very small. Gesner, Naude, Brunet, Jefferson, Edwards, Harris etc. tried to make a good classification for bibliographies and libraries. Especially Brunet made the scheme based on the French system, and it used on bibliographical classification and shelf classification in the many libraries. In 1859, Edwards made the classification scheme for the public library in the Great Britain. In 1870, Harris made the famous inverted Baconian classification and it strongly influenced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 PDF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사 연구 (A Study of the Public Library Movement in Korea)

  • 이연옥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233-258
    • /
    • 2002
  • 이 연구는 한국 공공도서관 운동의 역사를 총체적인 시각으로 정리하고 해석하였다. 공공도서관이 우리 사회의 지식정보의 공공성과 평등성을 위한 실제적인 대안임을 규명하고,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하는 지식과 정보의 공유를 실현하기 위한 사회운동의 방향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