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orizontal drain method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5초

수평배수재를 이용한 압밀개량효과에 대한 실험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Consolidation Improvement Using Horizontal Drains)

  • 김지용;김정기;장연수;김수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3-40
    • /
    • 2000
  • The horizontal drain method is one of the soil improvement methods in reclamation works using dredged soils. In this method, plastic drain boards are installed horizontally in the ground, and a seepage pressure or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through one end of these drains. In this study, a basic consolidation test using horizontal drain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this method. The configuration of soil box which was used in this test is 100cm(B)${\times}$100cm(L)${\times}$85cm(H). The drain board was reduced to 25mm${\times}$5mm. The variations in settlement and volume of drain water during the consolidation process were measured, and the distribution of water content and the transpormation of horizontal drain were investigated.

  • PDF

수명배수공법에 있어서 부압의 영향에 관한 실험적 연구 (The Effects of Negative Pressure on Horizontal Drain Method)

  • 김정기;김지용;정승용;김수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551-558
    • /
    • 2001
  • The horizontal drain method is one of methods improving reclamation ground. This method reduces consolidation time by using drained installed horizontally, and negative pressure is applied on end of these drains by vacuum pump. But, effective negative pressure still wasn't evaluated in applying this method to reclamation ground. To estimate optimum negative pressure, soil box test that make a model the in-situ by installing horizontal drains in the center is performed pressing different vacuum pressure In the laboratory, and the variations in settlement and volume of drained water through the drains during consolidation process were measured. Also, water content with distance from drain and with depth is measured after the test.

  • PDF

플라스틱 배수재를 이용한 수평배수공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rizontal Drainage Method Using Plastic Drain Board)

  • 황정규;김홍택;김석열;강인규;김승욱
    • 한국지반공학회지:지반
    • /
    • 제14권6호
    • /
    • pp.93-11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연약한 준설매립점토지반 내부에 플라스틱 배수재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압밀침하의 가속화를 유도하는 수평배수공법의 해석절차 체계화에 초점을 두고 이론적 및 실험적 접근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유한변형률 개념을 근거로 한 Gibson등의 1차원 자중압밀이론을 토대로, 자중압밀효과 및 수평배수재 설치에 따른 추가 압밀효과를 복합적으로 고려하는 지배방정식을 제시하였으며, 본 지배방정식 및 수평배수재 설치효과를 고려한 초기조건 및 경계조건 등을 토대로, Dufort-Erankel의 유한차분화 알고리즘을 이용해 시간경과에 따른 침하량 및 압밀도 등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한 해석절차를 제시하였다. 또한 제시된 해석절차의 적용 타당성 확인을 위해, 안산 시화지구 준설매립점토 및 플라스틱 수평배수재를 이용한 실내모형실험을 실시하였다. 실내실험을 통해, 안산 시화지구 준설매립점토의 간극비-유효응력 관계 및 투수계수-간극비 관계 등을 정량적으로 정의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획득 하였으며. 또한 시간경과에 따른 깊이별 침하량등을 측정하여 본 연구에서 제시된 해석절차에 의한 예측치와 비교.분석하였다. 이외에도 플라스틱 배수재 수평배수공법에 관련된 설계변수가 압밀침하등에 미치는 영향을 제시된 해석절차를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이 결과를 토대로 한 설계도표의 제시도 이루어 졌다.

  • PDF

선재하 수평배수관망 시스템의 적용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Platform Fill Horizontal Drain Pipe System)

  • 유찬호;한연진;강수용;백승철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3권3호
    • /
    • pp.77-83
    • /
    • 2012
  • 연약지반 개량공법에 있어서 대부분의 수평 배수층은 모래나 쇄석 등의 골재를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골재를 수평 배수층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종종 원지반의 침하불량을 유발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수평 배수층을 깔지 않고 수평 배수용 파이프를 이용하는 수평배수관망 시스템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공법은 반복 성토과정으로 발생하는 과잉 간극수압을 수평 배수관망으로 직접 배수하는 시스템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평배수관망 시스템의 적용성과 시공성을 확인하고자 실 규모 현장시험 시공을 수행하여 수평배수관망 시스템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현장시험시공을 통하여 수평 배수관망 시스템의 침하 거동특성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수평배수관망 변형정도를 확인하여 일반적인 수평배수층을 이용하는 공법과 비교분석하여 그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연직배수공법에서 수평배수층의 소요통수능 (Required Discharge Capacity for Horizontal Drains Installed with Vertical Drains)

  • 김현태;김상규;공길용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59-70
    • /
    • 2002
  • 연직배수공법에서 과잉간극수를 배제하기 위해 연직배수재와함께 수평배수층이 지반 위에 설치된다. 이 논문에서는 수평배수층의 통수능을 고려한 압밀해석 방법을 개발하고 수평배수층의 소요통수능을 결정하는 공식을 제안하였다. 이 해석으로부터 성토하중의 재하속도의 영향은 매우 적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공식에서는 압밀계수, 연직배수재의 타설간격, 수평배수층의 배수거리, 압축지수 및 압밀침하 대상층의 두께의 함수로 소요통수능의 결정이 가능하다.

준설매립토에 대한 실내 수평배수재 실험에서 진공압의 효과 (Effects of Vacuum Pressure in The Laboratory Horizontal Drain Test for Dredged Clay)

  • 양원준;장연수;박정용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3권1호
    • /
    • pp.17-25
    • /
    • 2004
  • 준설토의 표층개량을 위해 타설하는 수평배수재의 개량효과를 증가하기 위하여 수평배수재의 단부에 진공압을 가하여 지중의 간극수를 강제로 배출하는 진공압식 수평배수공법이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진공압의 크기에 따른 준설매립지반의 압밀 및 강도 증가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토조시험을 실시한 후 순수 자중압밀의 경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자중압밀의 경우 표층부로부터 깊이가 깊어질수록 함수비가 작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진공압이 재하된 경우는 진공압의 크기가 커질수록 배수재 주위에 낮은 함수비가 배수재에서 멀어질수록 높은 함수비 분포를 나타내었다. 진공압이 재하된 경우 준설토의 전단강도 또한 배수재를 중심으로 큰 개량효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토조시험기의 폭이 0.5m로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는 배수재 간격이 0.7m~1.2m인 것을 고려했을 때 토조시험기에서는 진공압 30kPa~40kPa 범위에서 최적의 압밀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자연형 및 설비형 태양열 온수기의 이용특성에 대한 실험적 연구 (The Experimental Research for the Use Characteristics of the Passive and Active type Domestic Solar Hot Water Systems)

  • 이동원;곽희열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3권5호
    • /
    • pp.82-88
    • /
    • 2013
  • There are the stirring test and drain test in the daily performance test to determine the thermal performance of a domestic solar hot water system. The drain test is a test that measures the discharge heating rate while drain the hot water from the top of the storage tank and supply the city water to the bottom of the tank.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er, this drain test is more effective than the stirring test. In this study, the thermal performance were compared through the drain test for a passive type and an active type domestic solar hot water systems consisting of the same storage tank and collectors. At this point, a passive type was used the horizontal storage tanks, and an active type was used vertical storage tank. In the drain test, when the hot water drained up to the reference hot water temperature, an active type which have vertical storage tank represents excellent daily performance than a passive type which have horizontal storage tank regardless of weather conditions. The reason for this is because the vertical storage tank is advantageous to thermal stratification in the tank. After the drain test, the residual heat for the horizontal storage tank was much more than the vertical storage tank, but in the next day the amount of discharged heat were less than the those of vertical storage tank neither. Thus, the solar water heating system which have horizontal storage tank should be adopted preheating control method rather than separate using control method when connected with auxiliary heat source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