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uman metapneumovirus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9초

소아에서 human metapneumovirus 감염의 임상 특징 (Clinical Manifestation of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 in Korean Children)

  • 안정민;최성열;김동수;김기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0권1호
    • /
    • pp.28-35
    • /
    • 2013
  • 목 적 : 2000년이후human metapneumovirus (hMPV)는 하기도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주요 바이러스로 인식되고 있다. 급성 호흡기 감염으로 입원한 소아 환자들에서의 hMPV의 역학 및 임상적 특징, 그리고 혈액학적 특징 및 hMPV에 감염되지 않은 환자와의 비교, 중복 감염등을 통해 hMPV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10년 2월부터 2012년 1월까지 급성 호흡기 증상으로 입원한 환아 1,554명의 비인두 흡인을 통해 객담 검체를 채취하여 RT-PCR을 시행 후 hMPV가 검출된 99명의 환아들의 임상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의 임상 증상 및 검사 소견을 분석 비교 하였다. 결 과 : 1,554명 중 1,004명(64.6%)에서 호흡기 바이러스가 검출되었다. 그 중 hMPV가 양성인 환자는 99명으로 양성 검체의 9.8%였다. hMPV에 감염된 환자의 평균 연령은 25.0개월이었으며 해마다 유행 정도는 다르나 4월부터 6월에 주로 발현하였으며 발열기간이 다른 바이러스 보다 길고 호흡기 증중을 보였으며, 천명(wheezing)이 특징적 임상 증상이었다. 진단으로 폐렴이 가장 많았지만, 12개월 이하의 연령군에서는 모세기관지염이 가장 흔하였다. 혈액학적 검사소견은 ESR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RP (C-reactive protein) 모두 hMPV에 감염된 환자군에서 정상 범위 보다 상승된 소견을 보였다. hMPV의 단독 감염과 중복 감염을 비교해 보았을 때 임상증상 및 혈액 검사 소견에서 통계학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hMPV는 폐렴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 바이러스이며 13개월 이상부터 48개월 이하의 연령에서 호발하며 평균 연령은 25개월이며 4월에서 6월까지 유행하는 양상을 보였다. 천명이 임상적 특징이며, hMPV에 대하여 우리나라에서의 보고는 점차 증가되고 있으나 아직은 생물학적, 유전학적 특징과 관련된 임상 분석이 더 필요하다.

  • PDF

면역기능이 정상인 성인에서 발생한 Human Metapneumovirus 중증 폐렴 1예 (A Case of Severe Human Metapneumovirus Pneumonia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in an Immunocompetent Adult)

  • 임효정;이진우;박영식;김낙현;김문석;임재준;양석철;유철규;김영환;한성구;심영수;이상민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2호
    • /
    • pp.135-139
    • /
    • 2009
  • Human metapneumovirus (hMPV) is a recently recognized human respiratory pathogen, which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upper and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mainly in children, immunocompromised patients, and the elderly. The clinical manifestations of hMPV infections are similar to those of the 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infection, which range from mild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to severe bronchiolitis and pneumonia. Recently, hMPV has come to be thought of as the cause a similar spectrum of disease in adults as that seen in children; however, most of the reports of hMPV infections have focused on infection in children. We report a case of severe hMPV pneumonia requiring mechanical ventilation in an immunocompetent adult in Korea.

Improving Pneumovirus Isolation Using a Centrifugation and AZD1480 Combined Method

  • Lee, Hansaem;Woo, Hye-Min;Kim, Kisoon;Park, Sehee;Park, Man-Seong;Kim, Sung Soon;Kim, You-Ji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9권12호
    • /
    • pp.2006-2013
    • /
    • 2019
  • The isolation of respiratory viruses, especially from clinical specimens, often shows poor efficiency with classical cell culture methods. The lack of suitable methods to generate virus particles inhibits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assays, treatments, and vaccines. We compared three inoculation methods, classical cell culture, the addition of a JAK2 inhibitor AZD1480, and centrifugation-enhanced inoculation (CEI), to replicate 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HRSV) and human metapneumovirus (HMPV). In addition, a combined method using AZD1480 treatment and CEI was used on throat swabs to verify that this method could increase virus isolation efficiency from human clinical specimens. Both CEI and AZD1480 treatment increased HRSV and HMPV genome replication. Also, the combined method using CEI and AZD1480 treatment enhanced virus proliferation synergistically. The combined method is particularly suited for the isolation of interferon-sensitive or slowly growing viruses from human clinical specimens.

급성 호흡기 감염증 소아에서 Human metapneumovirus 감염의 임상 양상 (Clinical features of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 in children with acute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 이재숙;서현주;우정주;장성희;이진아;송미옥;박화영;안영민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4권1호
    • /
    • pp.75-82
    • /
    • 2007
  • 목 적 : hMPV는 paramyxovirus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 2001년 van den Hoogen 등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으며 늦은 겨울이나 이른 봄에 영아와 노인에서 호흡기 감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알려져 있으나 아직 우리나라에서의 보고는 많지 않다. 최근 호흡기 증상을 보이는 환아들에서 hMPV를 확인한 바 있어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방 법 : 2004년 10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을지병원, 서울의료원, 보라매병원 소아과에 호흡기 증상을 주소로 방문한 443명의 비인두 흡인물에서 hMPV RT-PCR을 시행하였고, 양성인 15명의 임상 양상과 검사 소견을 의무기록을 통해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443명 중 15명에서 hMPV PCR 양성을 보여 양성율은 3.4%이었다. 남아가 7명, 여아가 8명이었고 연령은 1개월에서 62개월(정중값 31.5개월)이었다. 이중 24개월 미만의 환아가 53.3%(8/15)이었다. 진단명은 폐렴 9명, 모세기관지염 3명, 상기도염 2명, 후두염 1명이었다. 그 중 1명에서 천식이 있었고 나머지 환아에서는 기왕력이 없었다. 임상 증상으로는 기침이 15명(100%)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 열감 12명(80%), 콧물 10명(67%), 구토 4명(27%), 호흡 곤란 4명(27%), 설사 3명(20%), 발진 1명(7%)이 있었다. 신체 검진 상 인두 발적이 가장 흔하게 보이는 소견이었으며 나음 6례, 흉부 함몰 4례, 빈호흡 2례, 천명 2례, 천음 1례가 관찰되었다. 말초 혈액 검사만으로 hMPV 감염을 시사하는 특징적인 소견은 없었다. 15명 중 2명에서 아데노바이러스와 중복감염이 있었다. 평균 발열 기간은 $4.9{\pm}2.8$일이었으며 입원 치료를 하였던 13명의 평균 재원 기간은 $5.6{\pm}0.9$일이었고 모두 대증적 치료 후 합병증 없이 증상 호전을 보여 퇴원하였다. 결 론 : hMPV는 상기도 및 하기도 호흡기 감염의 중요 원인 바이러스 중 하나로 생각되며 우리나라에서의 임상적, 역학적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향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에서 발생한 Human metapneumovirus 감염의 임상-역학적 특징: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 and B 감염과의 비교 (Clinical and Epidemiological Characteristics of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s, in Comparison with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 and B)

  • 강수영;홍채리;강현미;조은영;이현주;최은화;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0권3호
    • /
    • pp.168-177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소아에서 hMPV 감염증의 역학과 임상양상을 RSV A, RSV B와 비교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7년 9월부터 2012년 7월까지 호흡기 증상으로 내원한 소아들 중 RT-PCR을 통해 hMPV (n=36), RSV A (n=106), RSV B (n=51) 등의 호흡기 바이러스가 검출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월별 분포에서 hMPV는 5월에 가장 많았고 RSV는 11-12월에 집중적으로 나타났다. hMPV 환자군의 평균 연령은 RSV에 비해 높았으며(각각 $29.9{\pm}32.5$개월 vs. $13.6{\pm}15.4$개월, P<0.001; $29.9{\pm}32.5$개월 vs. $12.1{\pm}13.5$개월, P<0.001), RSV A 환자군에 비해 발열 비율이 높았고(97.2% vs. 67.9%, P<0.001), RSV A, B 환자군에 비해서 천명 발생 비율이 낮았다(각각 16.7% vs. 47.2%, P=0.001; 16.7% vs. 37.3%, P=0.037). hMPV 환자군에서 RSV A, B에 비해 세기관지염 발생 비율이 낮았으며(각각 5.6% vs. 34.9%, P=0.001; 5.6% vs. 29.4%, P=0.006), RSV A 환자군에 비해 폐렴 발생 비율이 높았다(72.2% vs. 50.0%, P=0.047). 주사 항생제를 사용한 비율은 hMPV 환자군에서 RSV A, B 환자군에 비해 더 높았다(각각 69.4% vs. 39.6%, P=0.002; 69.4% vs. 43.1, P=0.015). 결론: 본 연구는 hMPV 감염증을 RSV A, B 감염증과 비교하여 임상적 및 역학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봄철에 발생하면서 RSV 감염에 비해 더 높은 연령에서 발생하고, 폐렴 발생이 많은 hMPV의 특징은 소아 호흡기 감염환자의 진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소아에서 human metapneumovirus 감염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 in Korean children)

  • 염희현;박준수;정동준;김창진;김용배;이대훈;김경중;천종윤;강천;정윤석;정향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4호
    • /
    • pp.401-409
    • /
    • 2006
  • 목 적 : 호흡기 감염증의 주된 원인 중 하나인 hMPV가 2001년 van den Hoogen 등에 의해 네덜란드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후 여러 나라에서 보고되었지만, 국내에서 hMPV의 검출에 대한 보고는 대단히 드물다. 따라서 저자들은 우리나라에서 hMPV의 역학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4년 10월부터 2005년 5월까지 순천향대학교 천안 병원 소아과에 급성 하기도염으로 입원한 218명의 비인두 흡인액을 추출한 뒤 RT-PCR을 시행하고, hMPV가 검출된 환아들의 비인두 흡인물에서 nucleotide의 sequencing을 하여 네덜란드에서 보고된 예와 비교하고, phylogenetic analysis를 하여 검출된 hMPV들간에 유사성을 검토하며, 배양검사로 hMPV의 검출됨을 재확인한 뒤, hPMV가 검출된 15명의 의무기록지를 토대로 이들의 임상 양상을 조사하였다. 결 과 : 218명 중 15명의 비인두 흡인물에서 RT-PCR로 hMPV를 검출할 수 있었다(검출률 6.9%). hMPV가 검출된 15명의 비인두 흡인물 중 11명의 것으로 hMPV의 Fushion protein의 F gene에 대한 nucleotide sequencing을 하여 네덜란드의 것과 유사한 sequence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Phylogenetic analysis를 하여 본 연구에서 검출된 11개의 F gene이 두 개의 군으로 나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hMPV 감염 환아의 평균연령은 2세 8개월(5개월-12세 2개월)이었고, 남녀비는 1.5 : 1이었고, 이들의 진단명은 폐렴(60.0%)이었고 모세기관지염(33.3%), 후두염(6.6%) 순으로 나타났다. 3월과 4월에만 집중적으로 검출되었고, 동시감염은 단 한 례에서 있었다. hMPV 감염 환아에서 기침이 100.0%, 콧물이 86.6%, 발열 80.0%, 호흡곤란 26.6%, 구토가 13.3%, 인후통와 설사와 두통이 각각 6.6%에서 나타났고, 발열 지속기간은 평균 4.9일(1-8일)이었으며, 입원기간은 평균 6.2일(3-14일)이었다. 신체 진찰상 나음이 80.0%에서, 호기성 천명음이 33.3%에서 청진되었고, 흉부 방사선 검사에서 33.3%에서 폐침윤이 관찰되었다. 검사실 소견상 말초혈액에서 중성구 감소증과 림프구 감소증이 각각 6.6%, 13.3%에서 나타났고, C 반응단백은 평균 19.3 mg/L(3.1-103)이었다. 결 론 : 두 개의 군에 해당되는 hMPV가 우리나라 소아에서도 동시에 유행함을 확인하였다. 연구가 기간이 짧았고, 천안 지역에 국한되었던 제한점이 있으나, hMPV 감염에 의한 급성 하기도염 환아들의 임상양상을 알아 볼 수 있었다. 우리나라에서 hMPV 감염의 정확한 역학 조사와 치료 및 예방대책을 수립하기 위해 많은 연구가 요구된다.

소아에서 human metapneumovirus 감염증의 임상적 고찰 (Clinical Manifestation of Human Metapneumovirus Infection in Korean Children)

  • 백현;이양진;조형민;유은정;정권;김은영;김용욱;김경심;서진종;정윤석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15권2호
    • /
    • pp.129-137
    • /
    • 2008
  • 목 적 : hMPV는 네델란드에서의 첫 보고 이후 전 세계적으로 발견되며, 호흡기 감염의 주요한 원인 바이러스 중의 하나로 보고되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서의 보고는 드문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우리나라에서 hMPV가 유행하는지 확인하고, 소아에서의 임상 양상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광주기독병원 소아과에 급성 호흡기 증상으로 입원한 환아 1,098명의 인후 도찰물을 채취하여 RT-PCR을 시행 후 hMPV가 검출된 25명의 환아들의 임상 기록지를 후향적으로 검토하여 이들의 임상 증상 및 검사 소견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098명 중 25명에서 hMPV가 검출되어 검출률은 2.2%이었다. 평균 연령은 2세 3개월(1개월-6세)이었고, 4월에서 6월에 집중적으로 검출되었다. 진단명은 폐렴(60%), 모세기관지염(20%) 순이었고 임상 증상은 기침이 25명(100%), 발열 20명(80%), 콧물 20명(80%) 순이었다. 신체 검진 상 나음이 13명, 천명이 10명에서 청진되었고 인후 발적이 8명, 고막 발적이 2명이었고 흉부 방사선 소견은 폐문 주위 간질 침윤이 10명, 폐 경화가 6명이었다. 4명(16%)에서 천식의 악화 소견을 보였고 hMPV와의 중복 감염은 마이코플라즈마 감염 3명, 보카바이러스 2명, 엔테로바이러스 1명이었다. 결 론 : hMPV는 입원이 요구되는 하부 호흡기 질환의 원인이 되며 2세 미만에서 호발하고 초봄과 여름까지 유행하며 주로 폐렴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로 천식의 악화와 관련이 있었다. 향후 hMPV 감염증의 진단과 치료 및 예방 대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보다 정확한 임상적, 역학적 조사 등의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소아 급성 바이러스 하기도염 (Acute viral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in children)

  • 박준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269-276
    • /
    • 2009
  • Viruses are the most common cause of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LRTIs) in infants and young children and are a major public health problem in this age group. Viruses were identified in 54.9-70.4% of hospitalized infants and children with LRTIs in Korea. The viral pathogens identified included respiratory syncytial virus (RSV) A and RSV B, influenza (Inf) A, Inf B, parainfluenza (PIV)1, PIV2, human bocavirus (hBoV), human rhinovirus (hRV), adenovirus (ADV), human metapneumovirus (hMPV), human coronavirus (hCoV)-OC 43, hCoV-229E, hCoV-NL63, hCoV-HKU1, and human enterovirus (hEV). Coinfections with ${\geq}$2 viruses were observed in 11.5-22.8% of children. The occurrence of LRTIs was the highest in the first year of life. The specific viruses are frequently associated with specific clinical syndromes of LRTIs. LRTIs caused by RSV were predominant among younger infants. hRV accounted for a larger proportion of LRTIs in young infants than ADV and hBoV. hMPV was frequently detected in children >24 months old. The number of hMPV infections peaked between February and May, whereas hRV was detected throughout the year. Thus far, hCoV is a less common respiratory pathogen in cases of ALRI and URI in Korean children.

Epidemiology of Respiratory Viral Infection using Multiplex RT-PCR in Cheonan, Korea (2006-2010)

  • Kim, Jae Kyung;Jeon, Jae-Sik;Kim, Jong Wan;Rheem, Insoo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3권2호
    • /
    • pp.267-273
    • /
    • 2013
  • Multiplex RT-PCR was used to detect respiratory viruses in 5,318 clinical samples referred to the laboratory of a tertiary teaching hospital from December 2006 to November 2010. The acquired data were analyzed with respect to types, ratio, and co-infection trends of infected respiratory viruses. Trends in respiratory viral infection according to sex, age, and period of infection were also analyzed. Of the 5,318 submitted clinical samples, 3,350 (63.0%) specimens were positive for at least one respiratory virus. The infection rates were 15.8% for human rhinovirus, 14.4% for 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A, 9.7% for 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B, 10.1% for human adenovirus, 5.4% for influenza A virus, 1.7% for influenza B virus, 4.7% for human metapneumovirus, 2.3% for human coronavirus OC43, 1.9% for human coronavirus 229E/NL63, 3.7% for human parainfluenza virus (HPIV)-1, 1.1% for HPIV-2, and 5.3% for HPIV-3. The co-infection analysis showed 17.1% of double infections, 1.8% of triple infections. The median age of virus-positive patients was 1.3 years old, and the 91.5% of virus-positive patients were under 10 years old. Human respiratory syncytial virus was the most common virus in children < 5 years of age and the influenza A virus was most prevalent virus in children over 5 years of age. These results help in elucidating the tendency of respiratory viral infections.

2006-2007년 소아 급성 하기도 감염증에서 유행한 메타뉴모바이러스의 유행 및 임상 양상 (Epidemiologic and clinical features in children with acute low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 caused by human metapneumovirus in 2006-2007)

  • 박귀옥;김지현;이재희;이정주;윤신원;임인석;이동근;최응상;유병훈;이미경;채수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3호
    • /
    • pp.330-338
    • /
    • 2009
  • 목 적 : 급성 하기도 감염은 소아 환자들에 있어 가장 흔한 질환 중에 하나로, RSV, PIV, IFV A/B, ADV 등이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2001년 이후로 hMPV 또한 주요 원인 바이러스 중의 하나로 밝혀졌다. 하지만 hMPV의 검출율, 유행 양상이 다른 호흡기 바이러스와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국내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2006년 11월부터 2007년 10월까지 중앙대학교병원 소아청소년과에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입원한 환아들을 대상으로 입원 첫 날에 비인두 흡입물을 채취하여 다중 역전사 연쇄중합반응을 시행하여 흔한 호흡기 바이러스 6종(hMPV, RSV, PIV, IFV A/B, ADV)을 분리하였고, 각 바이러스의 검출율과 임상증세를 분석하여 hMPV 양성 환아가 다른 바이러스 감염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연구하였다. 결 과 : 462명 중 193명(41.8%)에서 바이러스가 검출되었으며, 그 중 38명(19.7%)이 hMPV로 나타났다. hMPV가 검출된 환아들의 연령은 1-5세가 대부분이었고(76.3%), 나이의 중앙값은 27개월, 남녀비는 1.2:1이었다. 월별로는 3월부터 5월까지 집중되었고, 4월에 21명(55.3%)으로 절정을 이루었다. 진단명은 폐렴이 가장 흔하였고 이는 29명(76.3%)을 차지하였고(P=0.018), 다음으로는 세기관지염 5명(13.2%), 기관지염 2명(2.6%), 크룹 1명(2.6%), 천식의 급성 악화 1명(2.6%) 순으로 나타났다. 평균 재원 일수는 5.8일 정도였고, 흉부 방사선 소견은 폐문 주위의 기관지침윤 양상(100%)을 보였으며, 대부분에서 백혈구수는 정상(73.7%), C-반응 단백은 음성(86.8 %)으로 나타났으며(P>0.05), hMPV 관련 급성 하기도 감염증으로 확인된 모든 환아들의 예후는 양호했다. 결 론 : 우리 나라에서 면역력이 양호한 1-5세 환아가 3월에서 5월 사이에 급성 하기도 감염으로 내원하는 경우, hMPV에 의한 감염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HMPV 관련 급성 하기도 감염증으로 진단시 일반적으로 양호한 경과를 예측할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