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hybrid ion-exchanger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초

설폰산형 비드와 섬유 혼성체를 이용한 도금수세수 중의 니켈 흡착 특성 (Adsorption Properties of Nickel ion from Plating Rinse Water Using Hybrid Sulfonated Bead and Fibrous Ion Exchanger)

  • 황택성;조상연
    • 폴리머
    • /
    • 제27권1호
    • /
    • pp.61-68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도금폐수 중 니켈이온의 분리 회수를 위한 혼성 이온교환체의 제조 및 흡착 특성을 확인하였다. 니켈 흡착량은 이온교환체의 혼합비에 큰 영향이 없었으며, 비드상 이온교환수지 양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또한 Langmuir와 Freundlich흡착 등온식이 직선성을 보였으며 이로부터 니켈의 이온교환 친화력이 큰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충전방식에 따른 압력손실은 다단충전법에서 적층수가 많아질수록 작아졌고, 혼합충전법에서는 비드 이온교환수지의 양이 증가할수록 압력손실은 감소하였다. 한편, 연속식 흡착실험 결과 다단충전방식의 경우 적층수가 증가할수록 초기 파괴 시간은 짧아졌으며, 최종 파괴 시간은 거의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혼합충전방식의 경우 이온교환섬유의 양이 증가할수록 흡착파괴 시간이 짧았으며, 이때 최대 흡착량은 각각 2.51 meq/g과 2.69 meq/g이었다. 한편, 모든 이온 교환체의 흡착된 니켈이온의 탈착은 10분 이내에 98% 이상 탈착되었다.

비드와 섬유 혼성이온교환 베드를 이용한 황산이온과 질산이온 혼합용액에서 질산이온의 선택 흡착 특성 (Selective Adsorption Properties of Nitrate ion in Sulfate and Nitrate Solution by Bead and Fibrous Hybrid Ion Exchange Bed)

  • 황택성;박명규
    • 폴리머
    • /
    • 제27권1호
    • /
    • pp.69-74
    • /
    • 2003
  • 본 연구는 비드상 수지와 섬유이온교환체를 혼합한 이온교환 복합섬유의 지하수 중 질산이온의 선택흡착성능을 확인하였다. HIXF의 팽윤율은 4.45 g/g이었으며, 이온교환용량은 2.45 meq/g으로 IEC, IXF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NO$_{3}$$^{-}$/SO$_{3}$ $^{2-}$ 농도비가 1.0 이하에서 NO$_{3}$$^{-}$의 흡착은 100%로 이루어졌으며, 반면 SO$_{3}$$^{2-}$ 은 20%흡착되었다. 한편, NO$_{3}$$^{-}$기 흡착은 pH 3까지 크게 증가하였으며 그 이상에서는 증가하지 않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HIXF의 비드와 섬유이온교환체의 혼합비가 0.5 이하에서 NO$_{3}$$^{-}$에 대한 선택흡착능은 우수하였다.

방사선 중합 설폰화 PONF-g-스티렌과 양이온교환수지 복합 이온교환섬유의 중금속 흡착 특성 (Adsorption Properties for Heavy Metals Using Hybrid Son Exchange Fibers with Sulfonated PONF-g-Styrene by Radiation Polymerization and Cation Exchange Resin)

  • 백기완;조인희;노영창;황택성
    • 폴리머
    • /
    • 제30권6호
    • /
    • pp.525-53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PONF에 스티렌을 방사선 조사에 의하여 그래프팅한 후, 설폰화시킨 이온교환섬유를 제조하였다. 또한 핫멜트 점착방식으로 이들과 비드 수지를 결합시켜 복합 이온교환섬유를 제조하고 이들의 중금속 흡착특성을 확인하였다. 설폰화 PONF-g-스티렌 이온교환섬유의 이온교환용량과 함수율은 비드나 단일 이온교환 섬유에 비해 모두 증가하였으며, 이온교환용량과 함수율은 각각 최대 4.76 meq/g, 23.5%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복합 이온교환섬유의 $Hg^{2+}$ 흡착파과 시간은 130분으로 비드와 섬유상 이온교환체보다 매우 늦게 나타났다. $Hg^{2+}$의 흡착파과 시간은 pH가 증가함에 따라 파과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기 흡착파과는 10분 전후에서 일어났다. 복합 이온교환섬유의 혼합용액($Hg^{2+}\;Pb^{2+},Cd^{2+}$)에서의 흡착은 초기 20분 이내에 급격한 흡착 반응이 진행되었으며, $Hg^{2+}$이 가장 빠른 흡착파과가 일어났다. 또한 온도 변화에 따른 복합 이온교환섬유의 중금속 흡착은 $Hg^{2+}$이 가장 빠른 흡착이 이루어졌다.

이온교환 수지를 함유한 PONF-g-GMA High Loading 음이온교환 섬유의 합성 및 바나듐 흡착 특성 (Synthesis of High Loading PONF-g-GMA Anion Exchange Fiber Containing Ion Exchange Resin and Their Adsorption Properties of Vanadium)

  • 백기완;박승욱;노영창;황택성
    • 폴리머
    • /
    • 제31권4호
    • /
    • pp.315-321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방사선 중합방법으로 아민화 PONF-g-GMA 이온교환 섬유를 합성하였다. 또한 핫멜트 web spray 접착방식으로 이들과 비드 수지를 결합시켜 복합 이온교환 섬유를 제조하고 이들의 바나듐 흡착특성을 확인하였다. 복합 이온교환 섬유의 이온교환 용량은 비드보다는 낮았으며, 단일 이온교환 섬유보다는 높게 나타났으며 최대 4.18 meq/g로 나타났다. 또한, 복합 이온교환 섬유의 바나듐 흡착 파과평형은 550분으로 비드 이온교환 수지보다 빠르게 진행되었고, 섬유상 이온교환체보다는 느리게 진행되었다. 한편, 바나듐의 흡착파과 시간은 pH가 낮아짐에 따라 파과가 빠르게 진행되었으며, 바나듐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 평형에 도달하는 시간은 400분 전후에서 나타났다.

복합 음이온교환 수지를 이용한 NOx 제거 특성 (Removal Properties of NOx by Hybrid Anion Exchanger)

  • 송상헌;이형근;박보령;황의환;이범재;황택성
    • 공업화학
    • /
    • 제17권6호
    • /
    • pp.653-657
    • /
    • 2006
  • 본 연구는 이온교환 수지와 섬유를 복합한 이온교환체를 이용하여 $NO_{2}$의 흡착특성을 고찰하였다. 수지량의 변화에 따른 $NO_{2}$의 흡착은 흡착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초기농도 변화에 따른 $NO_{2}$ 흡착은 초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흡착량이 증가하였으며 900 ppm의 경우 20 min 내외에 약 40% 흡착되었다. 한편 유속변화에 따른 $NO_{2}$의 흡착은 유속이 증가함에 20~40 L/min까지 흡착량은 감소하였고, 유속이 10 L/min에서 최대 45% 흡착되었으며, 함수율 변화에 따른 $NO_{2}$ 흡착량은 10 min 전후에서 약 15%로 매우 낮게 나타났다.

E-Beam 전조사법을 이용한 복합양이온 교환섬유의 합성 및 금속이온 흡착특성 (Synthesis of Hybrid Cation Exchange Fibers by E-Beam Preirradiation and Their Adsorption Properties for Metal Ions)

  • 백기완;노영창;황택성
    • 폴리머
    • /
    • 제30권4호
    • /
    • pp.305-310
    • /
    • 2006
  • 전자선 전조사를 이용하여 PE/PP와 PET 복합섬유 기재에 스티렌을 그래프트 공중합하여 복합양이온 교환 섬유를 합성하였다. 공중합체의 그래프트율은 스티렌 단량체의 농도가 80%일때 123%이었으며 설폰화율은 스티렌 농도 70%에서 3.3 mmol/g 이었으며 그 이후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다. 또한 섬유의 인장강도는 기재에 비해 모두 낮게 나타났으며, 공중합체보다 이온교환 섬유의 인장강도가 최대 $0.206kgf/mm^2$ 로 낮게 나타났다 이온교환 섬유의 칼슘 및 마그네슘 이온에 대한 흡착파과 시간은 pH, 온도가 증가할수록 길어졌으며, 혼합 용액의 경우 단일 용액에 비해 마그네슘의 흡착파과가 늦게 나타났다. 한편 칼슘 및 마그네슘에 대한 반응속도 상수는 각각 0.012, 0.011 L/mg.h 이었으며, 최대 이온교환 흡착용량은 각각 47.06, 42.83 mg/g, 활성화 에너지는 각각 2,169, 1,534 J/mol 이었다.

방사선 동시조사법을 이용한 고관능성 Hybrid Polyolefine 음이온교환섬유의 합성 (Synthesis of High Functionalized Anion Exchange Fibers Using Hybrid Polyolefine by $\gamma-Ray$ Mutual Radiation)

  • 조인희;곽노석;강필현;노영창;황택성
    • 폴리머
    • /
    • 제30권3호
    • /
    • pp.217-223
    • /
    • 2006
  • 방사선 동시조사에 의해 폴리올레핀 복합 섬유 표면에 고관능성 아민화 이온교환섬유를 합성하였다. 총 조사선량이 증가할수록 그래프트율도 증가하였으며 GMA 농도 50%에서 그래프트율은 최대 365%로 최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그래프트 반응은 극성용매에서 일어나며 Mohr's salt, 황산의 함량 $1.0\times10^{-3}M$, 0.1 M에서 그래프트율은 최대 190% 이었다. 아민화 반응은 아민화제의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르게 나타났으며 메틸아민의 경우 반응성이 가장 좋았으며 트리에틸아민의 반응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온교환섬유의 함수율과 이온 교환용량은 아민화율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비표면적은 그래프트 반응과 아민화 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