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mature Citrus unshiu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9초

Anti-Inflammatory Effect of Quercetagetin, an Active Component of Immature Citrus unshiu, in HaCaT Human Keratinocytes

  • Kang, Gyeoung-Jin;Han, Sang-Chul;Ock, Jong-Woo;Kang, Hee-Kyoung;Yoo, Eun-Sook
    • Biomolecules & Therapeutics
    • /
    • 제21권2호
    • /
    • pp.138-145
    • /
    • 2013
  • Citrus fruit contain various flavonoids that have multiple biological activities. However, the content of these flavonoids are changed during maturation and immature Citrus is known to contain larger amounts than mature. Chemokines are significant mediators for cell migration, while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CCL17) and macrophage-derived chemokine (MDC/CCL22) are well known as the typical inflammatory chemokines in atopic dermatitis (AD), a pruritic and chronic inflammatory skin disease. We reported recently that the EtOH extract of immature Citrus unshiu inhibits TARC and MDC production. Therefore, we investigated the activity of flavonoids contained in immature Citrus on TARC and MDC levels. As a result, among the various flavonoids, quercetagetin has stronger inhibitory effects on the protein and mRNA expression of TARC and MDC than other flavonoids. Quercetagetin particularly has better activity on TARC and MDC level than quercetin. In HPLC analysis, the standard peak of quercetagetin matches the peaks of extract of immature C. unshiu. This suggests that quercetagetin is an anti-inflammatory component in immature C. unshiu.

감귤 추출물의 미백효능 및 항산화 효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Whitening Effect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Various Citrus Fruits)

  • 김한성;이찬우;김덕희;김기옥;김세재;장이섭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69-77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자생 감귤 17종에 대하여 탈색소효과(depigment effect)를 연구하였다. B16 멜라닌 생성세포(B16 melanoma cell)를 이용하여 tyrosinase 및 멜라닌 생성억제 효과를 연구한 결과 대조군 대비하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3종의 미성숙 온주밀감(immature Citrus unshue), 팔삭(Citrus hassaku), 진지향(Citrus sinensis ${\times}$ reticulata)을 도출하였다. 또한, 이와 같이 도출된 감귤 추출물을 이용하여 멜라닌 세포 생성(melanogenesis)에 영향을 미치는 tyrosinase, DOPAchrome tautomerase (TRP-2)와 DHICA oxidase (TRP-1) 단백질 발현을 실험한 결과 tyrosinase, TRP-1, TRP-2 단백질 발현이 감소함을 나타내었다. 특히 이들 중 미성숙 온주밀감은 tyrosinase와 TRP-1 단백질 발현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로써 미성숙 온주밀감은 모든 실험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어 UV에 의해서 야기되는 피부 색소 침착을 방지할 수 있는 물질로서 기대할 수 있다.

미숙감귤의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n antioxidative and antiaging effect of immature fruits from Citrus unshiu Markovich)

  • 최문열;박해진;김재수;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77-85
    • /
    • 2021
  •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 of immature fruits from Citrus unshiu Markovich to mature them on antioxidative and antiaging-related enzyme activities in vitro. Methods : Fruits from Open field-cultivated C. unshiu Markovich (ripe and unripe fruits of Citri) made a purchase in Jeju island. We measured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in mature C. unshiu Markovich (MC) and immature C. unshiu Markovich (IMC) 70% ethanol extract. DPPH free radical, ABTS radical, and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in both extracts were determined. Also, reducing power, SOD-like activities, elastase inhibition, and collagenase inhibition activities of these extract were assayed at 5, 1, 0.5, and 0.1 mg/㎖. Results : The total polyphenol contents in the ethanol extract of IMC were higher than those of MC (26.99 ± 0.89 mg/TAEg).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in them were very similar to both extract (MC; 7.25 ± 0.4 mg/RUEg and IMC; 7.44 ± 0.18 mg/RUEg).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reducing power, and SOD-like activities of IMC-treated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compared to those of MC group in all treated concentrations. Particularl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nd elastase inhibition activities in IMC-treated group at 5 mg/㎖ showed similar with positive control group. Besides, IMC extract at 5 mg/㎖ concentration surpassed positive control (BHA or Vit. C) in SOD-like activities and ABTS radical scavenging capacit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IMC ethanol extract may be used as a natural antioxidant and a antiaging material for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and cosmeceuticals.

감귤 주스 착즙박을 이용하여 재배된 버섯균사체의 용매추출에 의한 휘발성 성분 (Solvent Extracted Volatile Components of Mushroom Mycelia Cultivated with Citrus Juice Processing Wastes)

  • 이창환;양민호;박승림;강영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51-355
    • /
    • 2007
  • 감귤 부위별 및 감귤 주스 가공 후 폐기되는 착즙박을 배지로 하여 재배된 간, 표고, 새송이, 산호침, 참부채 및 영지 버섯) 균사체의 GC/MS에 의한 휘발성 물질을 분석하였다. 감귤 분말에서 휘발성 물질은 29종류이었는데, ${\delta}-elemene$, ${\beta}-elemene$, ${\beta}-caryophyllene$, caryophyllene, ${\gamma}-elemene$, germacrene-D 및 ${\delta}-cadinene$은 감귤류의 essential oil 중의 성분들이었으나 8-hydroxy-linalool, ${\beta}-selinene$, tetradecanoic acid 및 pentadecanal은 essential oil 중의 성분들이 변화한 것이었다. 이외에도 tangeretin, nobiletin, 및 stigmasterol이 검출되었다. 버섯 균사체 분말에서 검출된 휘발성 성분들은 18종이었으며, ${\beta}-elemene$, germacrene-D 및 ${\delta}-cadinene$은 버섯이나 균사체에서 보고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균사체 배지로 사용한 착즙박에서 유래한 것으로 생각된다. caryophyllene, hexadecanoic acid, decanoic acid 및 tetradecanoic acid는 기 보고된 버섯이나 균사체의 성분들이었으며, Limonene-1,2-epoxide, ethyllinoleate, 1,2-benzenedicarboxylic acid, dicyclohexyl ester 및 ($3{\beta}$,24S)-stigmast-5-en-3-ol (${\gamma}-sitosterol$)은 감귤이나 버섯 균사체에서 보고되지 않은 성분들이 검출되었다.

Anti-allergic Components from the Peels of Citrus nushiu

  • Kim, Dae-Keun;Lee, Ki-Taek;Eun, Jae-Soon;Zee, Ok-Pyo;Lim, Jong-Pil;Eum, Sang-Sup;Kim, Sang-Hyun;Shin, Tae-Yong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2권6호
    • /
    • pp.642-645
    • /
    • 1999
  • In a bioassay-guided search for anti-allergic compounds from higher plants of Korea, poly-methoxyflavones, 3',4',5,6,7,8-hexamethoxyflavone (I), 5-hydroxy-3',4',6,7,8-pentamethoxyflavone (II) and 3',4',5,7,8-pentamethoxyflavone (III) have been isolated from the immature peels of Citrus unshiu. Structures of these compounds were elucidated on the basis of spectroscopic techniques. Compounds I and II inhibited dose-dependent histamine release from the rat peritoneal mast cells activated by compound 48/80 or anti-DNP IgE.

  • PDF

산화질소와 IAP 조절을 통한 감귤 미성숙과의 cisplatin-유발 흑색종 A375 세포의 자연사멸 증강 효과 (Immature Citrus Fruit Extracts Enhance the Apoptosis Inducing Potential of Cisplatin in Human Malignant Melanoma A375 Cells via Regulation of Nitric Oxide and Inhibitor of Apoptosis Family (IAP))

  • 김지혜;김민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54-460
    • /
    • 2014
  • 선행연구에서 감귤 미성숙과 메탄올 추출물이 다량의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하고 있다는 것을 보고한 이래, 본 연구에서 감귤 미성숙과를 cisplatin과 병용 시 인간 흑색종 A375 세포를 대상으로 강력한 자연사멸능을 유도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감귤 미성숙과가 cisplatin에 의한 자연사멸능 증가에 관한 메커니즘을 조사한 결과, 산화질소 합성효소(NOS)의 활성증가로 인한 산화질소 발생량 증가와 더불어 항자연사멸 신호인자인 IAP의 발현을 감소시킴으로 인간 흑색종 세포의 자연사멸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감귤 미성숙과와 cisplatin의 병용 요법이 흑색종 치료 효율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이러한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5종 생약(진피, 청피, 귤핵, 지실, 지각)의 Flavanone Glycoside 함량분석과 Peroxynitrite 소거효과 (Quantitative Analsysis of Flavanone Glycosides and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f the Five Oriental Medicinal Drugs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Citrii unshiu Pericarpium, Citrii unshiu Semen, Aurantii Fructus, Poncirii Fructus))

  • 누그로호 아궁;박명곤;진성은;최재수;박희준
    • 생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70-375
    • /
    • 2009
  • Overproduction of peroxynitrite ($ONOO^-$) causes a variety of disease such as atherosclerosis, hypercholesterolemia, diabetes mellitus or obesity.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ies and HPLC analysis on the five Oriental medicinal drugs belonging to the genus Citrus, Aurantium or Poncirus (Rutaceae family) and HPLC analysis were taken to evaluate flavanone glycosides with peroxynitrite scavenging activity. The $IC_{50}s$ of the five crude drugs were shown as follows: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Jinpi, 18.3 ${\mu}g$/ml), Citrii unshiu Pericarpium (Chungpi, 7.50${\mu}g$/ml), Citrii unshiu Semen (Gyulhaek, >50.0${\mu}g$/ml), Aurantii Fructus (Jigak, 18.3${\mu}g$/ml), and Poncirii Fructus (Jisil, >50.0${\mu}g$/ml) where Korean crude drug's names are noted in the parenthesis. Peroxynitrite scavenging effect of flavanones or their glycosides usually contained in Citrus species were observed as follows: hesperetin (1.89 ${\mu}g$/ml), naringenin (7.77 ${\mu}g$/ml), hesperidin (8.44 ${\mu}g$/ml), poncirin (>50.0 ${\mu}g$/ml)and ponciretin(>50.0 ${\mu}g$/ml). The activities of naringin and poncirin with ${\alpha}$-L-rhamnopyranosyl($1{\rightarrow}2$)-${\beta}$-D-glucopyranosyl moiety were weak. HPLC analytical data revealed that Jinpi (the peels of mature fruits of Citrus unshiu) and Chungpi (the peels of immature fruits of C. unshiu) had high quantities of hesperidin as the value of 142.1${\pm}$0.21 and 104.51${\pm}$1.10 mg/g dried weight, respectively. Poncirin was clearly detected in only Jisil and naringenin and naringin were not observed on the HPLC chromatogram of the five crude drugs.

감귤 미숙과 식초의 품질 특성과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Immature Citrus unshiu Vinegar)

  • 이미란;황준호;오유성;오현정;임상빈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50-257
    • /
    • 2014
  • 폐자원인 감귤 미숙과를 이용한 식초를 개발하기 위하여 초산 생성능이 우수한 균주를 분리 동정하였고, 감귤 미숙과를 발효하여 식초를 제조한 후 품질 특성, 총 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감귤슬러지 자연 발효물로부터 5개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그중 초산균으로 Acetobacter fabarum(A. sp. RIC I)과 A. pomorum(A. sp. RIC II, V)이 동정되었는데, A. sp. RIC V가 초산 생성능이 가장 우수하여 감귤 미숙과즙의 초산발효 균주로 선정하였다. A. sp. RIC V를 이용하여 감귤 미숙과즙의 첨가비율을 30, 35, 40%로 달리하였을 때 발효 13일 후 산도는 각각 5.38, 5.38, 5.32%, 발효 효율은 각각 73, 72, 70%이었다. 미숙과즙 초산발효 시 산도가 5%에 도달하는 기간은 과즙 첨가비율이 30%일 때는 11일, 35와 40%일 때는 9일이었다. 유리당으로 fructose와 glucose는 과즙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sucrose는 과즙 첨가비율과 관계없이 모두 비슷하였다. 유기산의 경우에는 미숙과 과즙의 첨가비율이 높을수록 acetic acid를 비롯한 총 유기산이 증가하였다. 감귤 미숙과 식초와 완숙과 식초의 총 페놀 함량은 각각 1,546.6과 $230.9{\mu}g$ GAE/mL이었고,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1,004.7과 $175.1{\mu}g$ QE/mL이었다. DPPH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은 감귤 미숙과와 완숙과 식초가 각각 29%와 5%이었고, ABTS 소거능은 각각 62.0%와 17.9%였다. SOA 소거활성은 감귤 미숙과 식초와 완숙과 식초가 각각 60.9%와 41.7%이었고, XO 억제활성은 각각 32.5%와 5%이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A. sp. RIC V를 이용하여 감귤 미숙과즙을 35와 40% 첨가하였을 때 초산발효가 가장 우수하였으며, 감귤 미숙과 식초는 높은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으로 인하여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어 기능성 식초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배주배양 세포로부터 감귤 식물체의 획득 및 감귤 트리스테자 바이러스 무병주 검증 (Production of Citrus Plants from Ovule Cell Culture and Verification of CTV - free Plants)

  • 진성범;박재호;박석만;이동훈;윤수현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5권1호
    • /
    • pp.121-130
    • /
    • 2017
  • 본 실험은 우량 감귤품종 육성을 위한 바이러스 프리인 배주배양 세포의 재료 공급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감귤 트리스테자 바이러스(CTV)에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는 제주도 재래감귤 3품종(동정귤, 청귤, 지각) 그리고 온주밀감 2품종(궁천조생, 하례조생)의 미숙과실 내 수정되지 않은 배주를 malt extract $500mg{\cdot}L^{-1}$, sucrose $50g{\cdot}L^{-1}$, kinetin $1.0mg{\cdot}L^{-1}$ 그리고 agar $8g{\cdot}L^{-1}$가 첨가된 MS2 배지에 치상하여 4주 후 각각 10, 21, 13, 5, 7개의 체세포 배를 얻었고, 체세포배 주변에서 white 캘러스 세포의 유도는 각각 2, 4, 2, 4, 5개를 얻었다. 얻어진 캘러스 세포로부터 체세포배의 유도는 MT 기본배지에 malt extract $500mg{\cdot}L^{-1}$, lactose $70g{\cdot}L^{-1}$ 그리고 agar $16g{\cdot}L^{-1}$가 첨가된 배지로 옮겨 6주 후 재분화능 체세포배를 얻었다. 재래감귤의 재분화능 체세포배는 MS 기본배지에 malt extract $500mg{\cdot}L^{-1}$, sucrose $50g{\cdot}L^{-1}$ 그리고 agar $8g{\cdot}L^{-1}$이 첨가된 배지로 옮겨 약 10주 후 약 60% 이상의 정상적인 유식물체를 얻었다. 반면 온주밀감 2품종은 MT 기본배지에 sorbitol 1.0M, galactose 1.0M, $GA_3$ $1.0mg{\cdot}L^{-1}$ 그리고 gelrite $3g{\cdot}L^{-1}$가 첨가된 배지에서 정상적인 유식물체를 얻었다. 배주배양 세포로부터 유도된 식물체들의 무병주 여부는 RT-PCR과 혈청학적 진단법을 이용하여 무병주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생명공학기법에 바이러스 프리인 감귤 세포를 이용함으로써 우량 감귤 품종을 육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주산 감귤류의 숙기에 따른 유리당, 유기산, 헤스페리딘, 나린진, 무기물 함량의 변화 (Free sugar, Organic acid, Hesperidin, Naringin and Inorganic elements Changes of Cheju Citrus Fruits According to Harvest Date)

  • 송은영;최영훈;강경희;고정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06-312
    • /
    • 1998
  • 대표적인 제주산 감귤류인 하귤, 당유자, 병귤, 스타치, 지각, 궁천조생, 6품종을 수확시기에 따라 유리당, 유기산, 헤스페리딘, 나린진, 무기물을 각각 분석하였다. 수확시기별 유리당의 함량에는 조금씩 차이를 보였으나 모든 품종에 있어서 과즙내 유리당 중에서 sucrose가 $44.9{\sim}66.0%$로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glucose와 fructose는 $15.7{\sim}25.7%,\;17.5{\sim}30.1%$로 서로 비슷하게 함유되어 있었다. 유리당의 함량은 성숙함에 따라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유기산 함량은 감귤이 성숙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되며, 이는 산 함량의 변화와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감귤과즙에서 검출된 주요한 유기산은 citric acid, malic acid, oxalic acid였으며 전체 유기산 중에 citric acid가 90%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고, 그 외로 malic acid가 $0.98{\sim}9.45%$ 내외로 함유되어 있었고 oxalic acid가 3.58% 이하로 미량 함유되어 있었다. 품종별 과즙과 과피내의 flavonoid계 성분인 naringin과 hesperidin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이 두 성분은 과피 중에서 월등히 많이 함유되어 있었고 미숙과일 때 그 함량이 높았으나 착색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감귤을 이용한 가공품 제조시에는 완숙과를 사용해야 가공품의 혼탁과 쓴맛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