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mplicit certificate scheme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155초

ECQV 묵시적 인증서의 설계 및 구현에 관한 연구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CQV Implicit Certificate)

  • 성정기;김은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744-752
    • /
    • 2017
  • ECQV(Elliptic Curve Qu-Vanstone) 묵시적 인증서는 명시적 인증서와 다르게 전자서명을 검증하지 않고 인증서로부터 공개키를 복원시킨다. 이와 같이 공개키가 인증서로부터 복원되면 인증서와 공개키는 묵시적으로 검증된다. 그러므로 ECQV 묵시적 인증서는 전자서명과 공개키 대신에 공개키 복원 데이터만으로 구성되어 명시적 인증서보다 크기가 작고, 인증서로부터 공개키를 복원하는 것이 전자서명을 검증하는 것보다 빠르다. 또한 ECQV는 ECC 기반으로 동작되므로 다른 암호화 방식에 비해 키 길이가 짧고 속도가 빨라 메모리, 대역폭과 같은 자원이 제한된 환경 및 응용에 적합하다. 본 논문에서는 SECG SEC 4에 정의된 ECQV의 전제 조건과 묵시적 인증서의 발행, 묵시적 인증서로부터의 공개키 복원에 대해 설명하고, ECQV를 소프트웨어로 설계 및 구현하였으며 그 성능을 측정하였다.

Butterfly key expansion 알고리즘을 적용한 ECQV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CQV applied the butterfly key expansion algorithm)

  • 선설희;김은기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62-764
    • /
    • 2016
  • ECQV(Elliptic Curve Qu-Vanstone)는 ECC(Elliptic Curve Cryptography) 기반의 묵시적 인증서(implicit certificate)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기존에 사용되던 명시적 인증서에 비해 크기가 작고 빠르기 때문에 메모리가 충분하지 않거나 대역폭이 작은 제한된 통신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다. 또한, Butterfly key expansion 알고리즘은 하나의 공개키를 사용하여 여러 개의 인증서를 발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ECQV에 Butterfly key expansion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추후 자동차 통신 환경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인증서 발급 방법을 제안한다.

  • PDF

A Forward-Secure Certificate-Based Signature Scheme with Enhanced Security in the Standard Model

  • Lu, Yang;Li, Jigu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3호
    • /
    • pp.1502-1522
    • /
    • 2019
  • Leakage of secret keys may be the most devastating problem in public key cryptosystems because it means that all security guarantees are missing. The forward security mechanism allows users to update secret keys frequently without updating public keys. Meanwhile, it ensures that an attacker is unable to derive a user's secret keys for any past time, even if it compromises the user's current secret key. Therefore, it offers an effective cryptographic approach to address the private key leakage problem. As an extension of the forward security mechanism in certificate-based public key cryptography, forward-secure certificate-based signature (FS-CBS) has many appealing merits, such as no key escrow, no secure channel and implicit authentication. Until now, there is only one FS-CBS scheme that does not employ the random oracles. Unfortunately, our cryptanalysis indicates that the scheme is subject to the security vulnerability due to the existential forgery attack from the malicious CA. Our attack demonstrates that a CA can destroy its existential unforgeability by implanting trapdoors in system parameters without knowing the target user's secret key. Therefore, it is fair to say that to design a FS-CBS scheme secure against malicious CAs without lying random oracles is still an unsolved issue. To address this problem, we put forward an enhanced FS-CBS scheme without random oracles. Our FS-CBS scheme not only fixes the security weakness in the original scheme, but also significantly optimizes the scheme efficiency. In the standard model, we formally prove its security under the complexity assumption of the square computational Diffie-Hellman problem. In addition, the comparison with the original FS-CBS scheme shows that our scheme offers stronger security guarantee and enjoys better performance.

효율적인 인증서기반 다중수신자 암호 기법 및 응용 (Efficient Multi-Receiver Certificate-Based Encryption Scheme and Its Application)

  • 서철;정채덕;이경현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2271-2279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다중수신자 환경에서 신원기반 암호 기법의 키 위탁 문제를 해결함과 동시에 묵시적인 공개키 인증을 유지하기 위하여 인증서기반 (certificate-based) 다중수신자 암호 기법을 소개한다. 제안 기법은 다중수신자에 대하여 메시지를 암호화하는 단계에서 Pairing 연산을 제거하였을 뿐만 아니라 복호화 단계에서 단 한번의 Pairing 연산만을 요구한다. 또한, Baek등에 의해 제안되었던 다중수신자 환경에서 가장 효율적인 신원기반 암호 기법[1]과의 계산량 비교를 통하여 제안 기법이 보다 효율적임을 보인다. 마지막으로 제안 기법을 이용하여 Subset-Cover 프레임워크 기반의 새로운 스테이트리스 공개키 브로드캐 스트 암호 기법을 제시한다.

함축적인 인증을 제공하는 두 가지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의 안전성 (Security of two public key schemes with implicit certifications)

  • 박제홍;이동훈;박상우
    • 정보보호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10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ICISC 2004에 제안된 status certificate-based encryption(SCBE) 기법과 EUC Workshops 2006에 제안된 certificateless signature(CLS) 기법의 취약성을 제시한다. 이 두 기법은 ID 기반 암호시스템이 가지는 키 위탁 성질을 없애기 위해 사용자와 관리서버(CA또는 KGC)가 함께 사용자 키(SCBE: 복호용 키, CLS: 서명용 키)를 생성하게 되어 있고, 이들 중 한쪽만을 제어할 수 있는 공격자는 암호시스템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어떠한 이점도 가질 수 없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각 기법의 공격모델에서 허용하는 공격자가 공개키 변조를 통해 독자적으로 사용자 키를 생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