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door hydran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22초

옥내소화전의 사용실태 및 현황에 관한 연구 (A Survey Study on the Usage and Situation of Indoor Fire Hydrants)

  • 이원주;이창섭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2호
    • /
    • pp.141-146
    • /
    • 2016
  • 본 논문은 소방안전교육의 효과적인 설계, 진행, 그리고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옥내소화전의 설치현황 인지, 교육경험, 그리고 사용방법의 이해)를 조사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성인남녀 19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고, 조사된 자료는 SPSS 20.0 wi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설문 분석결과, 연구대상자의 87.9%는 옥내소화전이 설치되어 있는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지만, 그 중 17.7%는 옥내소화전이 어디에 설치되어 있는지 알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구대상자의 63.6%가 소방안전교육을 받아본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31%는 옥내 소화전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지 않은 교육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옥내소화전의 교육 형태는 50%가 강의중심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옥내소화전의 사용방법의 이해는 평균 3.15/5.00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전국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하는 소방안전교육의 학습자 진단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오리피스의 직경에 따른 감압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ompression Performance by the Orifice Diameter)

  • 박봉래;윤기조;장경남;최정웅;백은선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26권6호
    • /
    • pp.57-63
    • /
    • 2012
  • 현대건축물의 고층화는 소화설비의 적용을 어렵게 하여 기존 방식으로는 소화설비의 적합한 기능 부여에 한계가 따르기도 한다. 그중에서 옥내소화전설비는 건축물에 많이 설치된 소화설비로서 화재 시 관계인이 밸브조작 및 호스와 노즐을 수동으로 사용해야하는 설비이다. 따라서 방수압력이 높은 경우 반동력이 커 옥내소화전설비 사용의 어려움과 호스의 파손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위해 사용되는 감압방식 중 옥내소화전방수구인 앵글밸브에 감압밸브를 부착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고층건축물인 경우 감압밸브의 설치에도 불구하고 방수압력이 높아 안정적인 사용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확인하기위해 오리피스의 직경에 따른 감압성능을 측정하여 이를 근거로 반동력을 산출하였다. 이의 결과로 고층과 같이 높은 압력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안정된 감압을 위해서는 다양한 직경의 감압밸브의 생산이 요구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옥내소화전 호스 적재 방법이 신속한 화재진압에 미치는영향 (Effect of indoor fire hydrant hose loading method on rapid fire suppression)

  • 전재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535-539
    • /
    • 2022
  • 이 연구는 옥내소화전의 효율적 호스 적재 방법에 대하여 분석한 것으로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옥내소화전소방호스 적재 방법과 화재진압의 신속성을 비교하는 실험을 통하여 효과적인 소방호스 적재 방법을 도출하고자 한다. 접이식으로 소방호스를 적재하였을 때 평균 33초가 소요되었고, 한겹말은 소방호스 적재는 평균 69초가 소요되어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첫째, 접이식 호스 전개 실험에서 실험대상자 A,C,D,E는 34초~37초로 각각 비슷한 수치를 나타냈다. 그 이유는 소방호스를 전개할 때 꼬임현상이 나타나지 않았고, 원활한 호스 전개가 가능하여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실험대상자 B는 25초로 가장 낮은 전개 시간을 보였는데, 이는 B가 소방호스 전개 경험이 있어서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둘째, 한겹말은 호스 전개 실험에서 실험대상자 A,B,C,E는 44초~76초로 각각 비슷한 시간대를 나타냈다. 그러나, 실험대상자 D는 110초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그 이유는 소방호스를 전개할 때 호스 꼬임을 방지하기 위한 시도와 긴장을 통한 불안정한 심리상태가 소방호스 전개 시간을 높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