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allation warrants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도시부가로 이단 횡단보도 교통섬 설치 준거에 관한 연구 - 보행자 안전과 서비스수준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Installation warrants of staggered crosswalk traffic island on Urban Streets - Focusing on pedestrian safety and service level -)

  • 심관보;김중효;박경우;하동익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97-107
    • /
    • 2013
  • 단횡단보도는 보행자가 도로를 두 번에 나누어 횡단하게 하는 횡단보도로 이는 보행대기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주방향 녹색시간 비율을 증가시켜 신호주기감소 및 차량지체 감소에 효과적이다. 또한 보행자의 횡단거리 감소와 교통섬을 제공하는 기능으로 보행자의 안전 측면에서도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로 기하구조와 보행자의 행동패턴들을 고려한 보행섬의 폭과 길이 등 단일로 상의 이단횡단보도의 설치 준거를 마련하고, 이단횡단보도와 기본형 횡단보도의 사고율을 비교 분석하여 보행자 교통안전 대책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이단횡단보도의 1억대 km당 사고율은 18.3으로 기본횡단보도 사고율 28.3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사고발생위치 및 유형분석을 통해 이단횡단보도의 위험지역이 횡단 시작 지점임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보행자 안전지대(여유공간)설치 준거를 제시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단횡단보도의 설치준거는 4차로이상 도로에 설치하며 설치시 보행섬의 폭은 유효 보도폭 2.0m 이상이 되도록 차로폭을 조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보행섬의 최소길이는 횡단 보도폭의 2배 길이, 최대길이는 보행자 대기 시간을 고려하여 설치하는 것이 보행자 안전과 이용측면에서 적절할 것으로 사료된다.

도시 간선도로에서 제한적 좌회전 신호운영의 적용기준 및 효과분석에 관한 연구 (An Analysis of Effectiveness for Permissive Warrants on the Restrictive Left-Turn Signal Control in Urban Arterial Roads)

  • 정인택;이영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17-28
    • /
    • 2009
  • 도시의 급변하는 교통수요에 대응하기 위해서 지속적으로 교통시설을 공급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맹목적인 시설공급보다는 현재 교통시설에서의 운영관리측면이 강조되고있다. 특히 신호교차로들로 이루어진 단속류에서는 연동을 고려한 각 교차로별 최적신호시간 부여가 중요하다. 그러나 방향별로 부여된 신호시간이 단속류의 통과용량에 주요 변수인 것을 감안할 때 첨두시와 같이 교통수요가 급증하는 상황에서 보호좌회전 신호를 포함하는 4현시 신호운영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방향별 통과용량에서의 한계가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기존 과포화 신호제어 방법으로 내부미터링 기법에 대한 연구도 그동안 진행되어왔으나 실시간 신호제어시스템 상의 대기행렬 검지기 설치 부재로 인해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 간선도로의 지정체를 완화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으로 현재 삼성역 교차로에서 운영 중에 있는 제한적 좌회전 신호운영 방안을 간선가로축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이것은 시간대에 따라 주방향에 대한 좌회전 흐름을 직진 후 U턴으로 유도하여 현시수를 감소시키고 직진 신호시간을 최대화하여 통과용량을 증가시키는 신호제어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다. 단, 본 신호제어에 대한 적용은 대상구간의 기하구조와 교통상황 조건 등에 따라 결정되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기존의 교통 신호등 설치기준과 같이 각 교통상황 조건별로 명확한 적용기준이 필요하다.

국내 회전교차로 활성화를 위한 적정교통량 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ropriate Traffic Volume Calculation for Revitalizing Roundabout Installation)

  • 이동민;유정호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3-52
    • /
    • 2013
  • 회전교차로는 교차로 중앙의 원형교통섬을 우회하며 교차로를 통과하고, 진입차량이 회전차량에게 양보하는 방식으로 운영되는 교차로 유형이다. 회전교차로는 교통운영 및 안전측면에서 다른 교차로 유형에 비해 효율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국내에서는 매년 약 100여개의 회전교차로가 전국적으로 시범 설치 운영되어 모니터링 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 분석용 교통시뮬레이션 프로그램임 SIDRA를 이용하여 교통류 조건에 따라 회전교차로 계획, 및 설계하기 위한 평면교차로 유형별 적정 교통량 기준을 마련하였다. 교통시뮬레이션 분석결과 방향별로 진입교통량이 100-150대/시 이상인 1차로 비신호교차로(TWSC, AWSC)와 진입교통량이 400-500대/시 이하인 신호교차로 경우에는 회전교차로 전환에 따라 교통운영 효율화를 기대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좌회전 교통류율이 30%가 넘는 교차로에서는 회전교차로 보다는 신호교차로를 설치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회전교차로의 적정교통량 수준 산정결과는 회전교차로 도입의 적절한 위치 선정에 도움에 되어 회전교차로 활성화에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