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ctional consulting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19초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에 대한 개념적 분석 (A Conceptual Analysis on Instructional Coaching, Instructional Supervision, and Instructional Consulting)

  • 이은혜;박인우
    • 교육공학연구
    • /
    • 제33권1호
    • /
    • pp.105-135
    • /
    • 2017
  • 이 연구는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을 밝힘으로써 각각의 수업개선 활동을 개념적으로 구분하고 용어 간 관계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수업 개선을 위한 지원 활동으로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은 수업의 개선과 교사의 수업전문성 신장을 근본적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공통의 속성을 갖는다. 그렇지만 각각의 영역은 사회적 흐름과 교육현장의 요구에 따라 변화하며 고유한 활동 체계를 만들어 냈다. 따라서 각 활동의 개념과 속성, 영역을 구분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로는 첫째, 코칭, 장학, 컨설팅의 유래는 무엇인가?, 둘째, 기존 국내 연구에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은 어떻게 정의되는가?, 셋째,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은 무엇인가? 로 설정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먼저 코칭, 장학, 컨설팅의 개념적 유래와 사전적 의미를 각각 살펴보았다. 또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과 관련하여 국내에서 이루어진 선행 연구를 살펴봄으로써, 연구자에 따라 각 개념을 어떻게 정의하고 있는지 정리하였다.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 개념 간 양자비교도 하였는데, 우선 수업코칭과 수업컨설팅의 행위의 대상, 문제해결 방식, 컨설턴트와 코치의 역할에서 차이를 보였다. 수업코칭과 수업장학의 구분은 참여주체 간 관계, 장학담당자와 코치의 요건, 문제의 정의와 해결과정을 기준으로 볼 때 가능하다. 수업컨설팅과 수업장학은 분석대상, 참여주체 간 관계, 문제 원인과 해결방안, 실행에서 차이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수업코칭, 수업장학, 수업컨설팅의 기존 정의를 분석하여 공통적 속성과 차별적 속성을 찾아내고, 세 개념 간 구분과 관계를 설명하였다. 결론에서는 수업컨설팅의 개념이 활동의 성격을 보다 잘 담아낼 수 있도록 재정의 될 필요가 있으며, 수업장학과 수업코칭 간의 관계를 재고해 보는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사례 연구를 통한 중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성 탐색 (Exploration of Features of Cross-Curricular Instructional Consulting in Middle School Science Lessons through Case Study)

  • 곽영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69-277
    • /
    • 2016
  • 최근 들어 범교과 수업컨설팅을 중심으로 단위학교 차원의 교사 학습공동체를 구축하여 운영하는 사례들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단위학교 차원의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의 하나인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징을 살펴보고, 중학교 과학수업에 대한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효과를 탐구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3개 사례연구 중학교에서 관찰한 공개수업과 수업컨설팅 협의회 등에서 드러난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징을 분석하고, 참관한 과학수업에 대해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과학과 컨설턴트들이 사후에 수업동영상을 시청하고 별도의 수업컨설팅 협의회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범교과 수업컨설팅을 받은 과학수업은 과학과 탐구실험을 텍스트를 읽어내는 형태로 진행하기도 하고, 학생들의 오개념이나 과학과의 정확한 용어 표현이 간과되는 수업이 진행되며, 수업목표 설정과 수업 진행, 수업 분량 등에서도 문제점이 발견되는 등의 특징을 보여준다. 결론 부분에서는 본 연구에서 논의한 범교과 수업컨설팅의 특징과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범교과 수업컨설팅이 필요한 까닭을 살펴보았다. 또한, 범교과 수업컨설팅 진행 방식에서 발견되는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칭찬 위주 사후컨설팅에 대한 대안, 교과의 본질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범교과 수업컨설팅을 활용하는 방법, 컨설턴트의 권위에 대한 개선 방안 등의 측면에서 제안하였다.

수업컨설팅을 통한 고경력 초등교사의 과학수업전문성 변화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Changes of High-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Instructional Consulting)

  • 권치순;이선미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78-29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elements and the changes in the science less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difficulties experienced by high-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over 2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through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case of the Seoul City Office of Education Scholarship Support Group in order to find implications on effective instructional consulting support plan for improving the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high-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First,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elements on the science lesson planning and implementation difficulties experienced by high-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with over 20 years of educational experience were related to teaching strategy and they experienced difficulties in lesson content organization using lesson model and experiment facilitation and questioning, as well as in the area of interest and motive management that are definitional characteristic of learner in the learner element. Second, as for the changes in the PCK through science instructional consulting,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he designing and experimenting process as students become the subject in the experiment facilitation in lesson, and they ended up attempting the postscript for promoting the thinking power of student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not only the cognitive characteristic but also the definitional characteristic of learner is important in science lesson and that students' motive is also an element that needs to be continuously managed. Third, as for effective instructional consulting plan for enhancing the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high-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was revealed that it is necessary to first develop lesson expertise improvement consulting program that takes into account of teaching profession advancement phase of high-career teachers, and establish instructional consulting system and human resource pool of high-quality consultants based on th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from the Office of Education. The academic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n the fact that it examined and searched for support plan on scienc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high-career elementary school teacher, but a more extensive and in-depth study is needed since there is a limitation in this study on the object of study and the period.

대학 수업컨설팅 체제 분석 및 시사점 (An Analysis of Instruction Consulting System in Universities and its Implications)

  • 박수정;송명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1호
    • /
    • pp.116-127
    • /
    • 2016
  • 대학에서 수업컨설팅이 중요한 교수지원 프로그램으로 대두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 연구는 4년제 대학의 교수학습지원센터에서 운영되고 있는 수업컨설팅 체제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수업컨설팅 체제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5년 7-8월, 홈페이지 조사와 전화 인터뷰를 통해 대학의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유형, 실태, 활성화 사례를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수업컨설팅 프로그램은 9개 유형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수업컨설팅 프로그램 제공 현황과 실행 현황은 일치하지 않았다. 셋째, 주로 대학 내부 인력을 컨설턴트를 활용하여 컨설팅을 수행하고 있다. 넷째, 다양한 결과 활용과 보상제도가 운영되고 있다. 수업컨설팅의 활성화 사례를 살펴보면, '다양한 컨설팅 프로그램-컨설턴트 pool-결과 활용 및 보상제도-타 프로그램 연계'를 통해 수업컨설팅 체제가 유기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가 수업컨설팅 체제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교수자를 정확히 진단하고 요구에 기반한 맞춤형 컨설팅 체제 구축, 다양한 배경을 지닌 컨설팅단을 양성할 수 있는 대학 내 지원과 외부 기관 간 협력, 교수자들이 공동으로 성찰 반성해나가는 수업컨설팅, 대학 차원에서 수업컨설팅에 대한 제도적 지원과 인식 제고 등이 필요하다.

초등과학 수업 컨설팅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조사 (Survey on Teachers' Perception for the Consulting in Elementary Science Teaching)

  • 최선영;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7권1호
    • /
    • pp.23-30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development of consulting model in elementary science class. For this, some questions on the teachers' perception for science instruction were surveyed to teachers : 13-item-questionnaires were given to 233 teachers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teachers were little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the science instruction consulting. They sensed that their science instruction were difficult, especially experimental activity in science class. They desired consulting mightly in their teaching methods for experimental activity. And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m had a mind of consulting participation. Thus it is necessary to inform them the need of the instructional consulting. And in case of the development for the consulting manual, it should be consider the above results.

  • PDF

성공적인 Flipped Learning을 위한 수업컨설팅 요소 및 절차 연구 (A Study on Elements and Procedure of Instruction Consulting for Successful Flipped Learning)

  • 최정빈;강승찬
    • 공학교육연구
    • /
    • 제19권2호
    • /
    • pp.76-8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re elements required of instruction consulting and to develop a systematic consulting procedure for successful Flipped Learning.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to achieve its purpose are as follows. First, core elements required of consulting are deduced by analyzing cases of instruction implemented with Flipped Learning. Second, consulting procedure is constructed based on core consulting elements of Flipped Learning.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3P process is suggested as the elements and procedure of instruction consulting for Flipped Learning. The 3P process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The first stage Preparation involves guiding students to have an objective viewpoint about the lesson beginning with building a relationship with the instructor. Also, a lesson plan and source materials for lesson are selected and developed. The second stage Performance involves implementing lesson coaching oriented towards cooperative problem-solving to find better direction. The last stage Post-review involves introspection necessary for continuous quality improvement of lessons. The validity of the instruction consulting elements for Flipped Learning applied to deduce the aforementioned results has been verified after specialist review and field application.

초등 예비 교사들의 탐구 수업 지도 전문성 향상을 위한 수업 컨설팅의 적용 (Application of Instruction Consulting to Improve the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rofessionalism for Inquiry-based Classes)

  • 박재근;노석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2호
    • /
    • pp.152-16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difficulties and problems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when teaching inquiry-based classes in elementary science and to improve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prescriptive instruction consulting utilizing PDRE (preparation, diagnosis, reflective implementation, evaluation) model.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as follows. First, preservice teachers considered themselves to be lack of scientific knowledge, but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instruction consulting improved their understandings in scientific concepts and principles and corrected their misconceptions. Secon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variables that might influence the results of experiments, cautions for the experiments and unexpected results of experiments, and this consulting allowed them to gain instruction ability to cope with such circumstances and solve problems effectively. Third,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difficulties in applying instructional model into their classes and preparing lesson plans, but consulting actually made limited but positive changes in their abilities. However, from a longer-term perspective, quantitative increase in their teaching opportunities, the development and distribution of example manuals, and the utilization of various class materials provided by the assistant centers for teaching and learning should be achieved side by side.

교수자 코칭에 기반한 대학의 플립러닝강좌 개발 모델 (Development of flipped learning course model based on instructor coaching)

  • 김은희;변호승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39-52
    • /
    • 2018
  • 그 동안 플립러닝에 대한 많은 관심으로 여러 연구가 있었지만, 고등교육기관에서 교수들의 플립러닝 과목 개발을 돕고 지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연구는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수업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교수학습을 전문적으로 지원하는 CTL과 같은 기관에서 실제적으로 적용 가능한 플립러닝강좌 개발 컨설팅모델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을 통해 도출된 모델안을 개발하여 전문가들의 피드백을 통해 최종 '수업코칭에 기반한 플립러닝강좌 모델'을 개발하였다. 총 8단계 모델의 1단계는 수업 개발사항 검토, 2단계는 수업 오리엔테이션, 3단계는 플립러닝 운영, 4단계는 전문가 수업분석, 5단계는 플립러닝 수업코칭 및 수업개선 모임, 6단계는 플립러닝 운영, 7단계는 교수자 성찰, 8단계는 환류 및 보완으로 이루어진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는 플립러닝을 개발하는 교수자에게 수업의 개선을 위해 보다 실질적이고 전문적인 안내를 체계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개발된 모델을 기반으로 수업의 질적 제고가 가능하다.

사이버대학 콘텐츠품질관리센터에서 이루어지는 수업컨설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nstruction consulting in cyber university content quality management center)

  • 서용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331-341
    • /
    • 2017
  • 본 연구는 사이버대학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수업컨설팅의 사례를 분석하여 올바른 방향으로 원격대학에서 활성화하여 질 높은 콘텐츠 개발에 도움이 되기 위해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충남지역 A사이버대학의 콘텐츠품질관리센터에서 수행하고 있는 수업컨설팅 자료를 분석하고 본 센터에 근무하고 있는 연구원들과 인터뷰 자료를 토대로 현상학적 접근방법으로 탐색하였다.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던 것은 수업컨설팅에 참여하는 교수들은 많은 부담을 가지고 있었으나, 강의 질 개선을 위해 비교적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었으며, 원격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생소한 환경에서의 교육법을 알고 싶어 했고 피드백을 제공받고 싶어 하였다. 또한 연구원들은 강의평가의 객관적인 틀을 가지고 여러 번 강의 촬영한 영상을 탐색하는 과정을 거쳐 교수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지만, 전달과정에 있어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보다 원활한 의사전달을 하기 위하여 교수자와 연구자 사이의 라포 형성이 되어져야 하며 강의 촬영 전 충분한 사전협의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일반대학과 다르게 사이버대학은 학습자가 없는 강의실에서 카메라만 응시하며 수업컨설팅이 진행이 된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따라서 교수자들은 촬영 및 녹화에 대한 부담감은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사이버대학의 교수자들은 수업컨설팅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질 높은 강의를 하고자 하는 의욕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연구결과를 논의하고 사이버대학의 수업컨설팅의 확산과 효율적 방안을 제언하였다.

중등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개발 실태 분석 (Analysi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in Teaching Practices of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 곽영순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54-365
    • /
    • 2009
  • 이 연구에서는 수업컨설팅을 통하여 초임교사 지원 실태와 초임교사의 전문성 개발 노력을 분석하였다. 수업동영상 분석을 위한 컨설팅 협의회, 초임교사와의 면담 자료 등을 활용하여 초임 과학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실태와 개선 방안을 탐색하였다. 분석대상으로 한 수업은 중학교 3학년 일과 에너지 단원의 9차시 수업이며, 6명의 초임교사와 선배 교사로 구성된 6명의 컨설팅 협의진이 차시별 수업을 교차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초임교사들의 경우 초임시절에 수업에 대한 교사의 반성적 실천이 없고, 수업하는 방법에 대한 안내도 없어서 대개는 배운 방식대로 학생을 가르치는 경향이 발견된다. 교사로서의 전문성 개발 측면에서도 잡무가 많아서 수업준비를 할 시간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교사들 사이에 수업에 대한 의사소통이 없었다. 이러한 실태 진단에 대한 대안으로 선배교사들은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시보교사 제도 도입과 교사 협의회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결론에서는 초임교사 지원을 위한 효과적인 입문 프로그램이 갖추어야 할 조건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