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strumented piles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23초

대구경 소켓경사반력말뚝의 인발거동에 관한 연구

  • 최용규;김상옥;정창규;정성기;김상일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77-284
    • /
    • 2000
  • Using the large diameter (D = 2,500mm, L = 40m) batter steel pipe piles, designed as compression piles but used as reaction piles during the static compression load test of socketed test piles (D = 1,000mm, L = 40m), static pile load tests for large diameter instrumented rock-socketed piles were performed. The reaction steel pipe piles were driven 20m into the marine deposit and weathered rock layer and then l0m socketed with reinforced concrete through the weathered rock layer and into hard rock layer. Steel pipe and concrete in the steel pile part, and concrete and rebars in the socketed parts were instrumented to measure strains in each part. The pullout amounts of reaction pile heads were also measured with LVDT. During the static pile load test, total compressional load of about 20MN was loaded on the head of test piles, but load above 20MN was not loaded due to lack of loading capacity of loading system. Over the course of the study, maximum pullout amount up to 7mm was measured in the heads of reaction piles when loaded op to 10MN and 1mm of pullout amount was measured. More than 85% of pullout load was transfered in the residual weathered rock layer and about 10% in the soft rock layer, which was somewhat different transfer mechanism in the static compressional load tests.

  • PDF

PRD 공법을 이용한 매입말뚝의 지지력 특성 (Bearing Capacity Characteristics of Drilled Shafts using Percussion Rotary Drilling)

  • 윤형준;정국상;정상섬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1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07-314
    • /
    • 2001
  • The bearing capacity of drilled shafts that take excavation by Percussion Rrotary Drilling(PRD) into consideration was evaluated using static and dynamic pile load tests. The emphasis was on quantifying the allowable bearing capacity and point load-transfer at the pile tip on seven instrumented steel piles. Of the seven instrumented piles, five piles are placed to the bottom of the excavation by rotary and pushing into the final depth of the excavation, as opposed to the two driven piles. Based on the results obtained, it is shown that the skin friction mobilized by PRD is much greater than point resistance, whereas in driven piles, the point resistance is greater than skin friction. It is also found that much greater pile capacity was proved in the case of drilled shafts, compared to the driven piles and thus, the excavation by rotary drilling gives reliable pile capacity required to design axially loaded piles.

  • PDF

SPT 에너지효율 측정 롯드를 이용한 매입말뚝의 선단지지력 예측 (Prediction of End Bearing Capacity for Pre-Bored Steel Pipe Piles Using Instrumented Spt Rods)

  • 남문석;박영호;박용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12호
    • /
    • pp.105-111
    • /
    • 2013
  • 국내외에서 널리 사용 중인 표준관입시험(Standard Penetration Test, SPT)은 작업의 용이성, 다양한 지반정수와 강도정수를 결정방법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SPT 수행시에 발생하는 해머 에너지는 N치의 산정 및 보정에 매우 중요한 영향인자가 된다. SPT시험시 해머 타격에 의하여 롯드로 응력파가 전달되는 현상이 말뚝 항타 시에 발생하는 현상과 동일하다하여 SPT에 PDA장비를 적용하여 관입에너지를 측정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사용 중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SPT 롯드를 말뚝으로 가정하여 SPT 에너지 효율 측정롯드를 SPT시험과 동적콘관입시험에 적용하여 얻어진 힘과 속도의 파형을 매칭기법(CAPWAP, CAse Pile Wave Analysis Program) 분석을 수행하여 매입말뚝에 대한 극한선단지지력을 예측하는 기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SPT 에너지 효율 측정롯드에서 예측된 선단지지력과 실물 말뚝정재하시험을 통하여 산정된 선단지지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SPT나 동적콘관입시험을 통하여 매입말뚝의 지지력을 간편하게 예측할 수 있는 경험식을 제시하였다.

기성말뚝의 지지력 거동해석과 시공관리방안 (Bearing Capacity and Control Method of Driven Piles)

  • 박영호;김경석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1999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49-258
    • /
    • 1999
  • Dynamic load and static load tests are performed on steel pipe piles and concrete piles at five construction sites in highway to compare the difference of load bearing mechanisms. At each site, one steel pile is instrumented with electric strain gages and dynamic tests are performed on the pile during installation. Damages of strain gages due to the installation are checked and static test is performed upon the same pile after two or seven days as well. It shows that load transfer from side friction to base resistance behaves somewhat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load-settlement analysis obtained from PDA and static load test. Initial elastic stage of load settlement curves of two load tests is almost similar. But after the yielding point, dynamic resistance of pile behaves more stiffer than static resistance, thus, dynamic load test result might overestimate the real pile capacity compared with static result. Analysis of gage readings shows that unit skin friction increases exponentially with depth. The skin friction is mobilized at the 1∼2m above the pile tip and contributes to the considerable side resistance. Comparison of side and base resistances between the measured value and the calculated value by Meyerhof's bearing capacity equation using SPT N value shows that the calculated base resistance is higher than the measured. Therefore, contribution of side resistance to total capacity shouldn't be ignored or underestimated. Finally, based upon the overall test results, a construction control procedure is suggested.

  • PDF

진동타입기에 의해 시공되는 강널말뚝의 거동특성 (Characteristics of Behavior of Steel Sheet Pile installed by Vibratory Pile Driver)

  • 이승현;김병일;김주철;김정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1C호
    • /
    • pp.27-35
    • /
    • 2010
  • 사질토지반에 진동타입되는 강널말뚝의 거동을 파악하고자 계측기를 부착한 강널말뚝을 각각 1본씩 단독시공 및 연결시공하여 현장시험을 수행하였다. 깊이측정장치를 통해 구한 깊이에 따른 관입속도결과에 따르면 연결부 마찰의 영향이 강널말뚝의 관입속도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연결시공시 연결부 마찰은 관입깊이에 대해 불규칙한 양상을 보여주었으며, 그 크기는 19.1kN/m이었다. 진동타입시 강널말뚝은 거의 강체로 거동함이 계측결과를 통해 확인되었다. 단독시공시의 효율계수는 0.42이었으며 연결시공시의 효율계수는 0.71이었다. 계측자료로부터 유도한 하중전이곡선의 양상은 Dierssen이 제안한 그것과 가장 유사하였다.

폐색정도를 고려한 개단말뚝의 지지력 산정 (Estimation of Bearing Capacity for Open-Ended Pile Considering Soil Plugging)

  • 백규호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2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97-404
    • /
    • 2002
  • The bearing capacity of open-ended piles is affected by the degree of soil plugging, which is quantified by the IFR. There is not at present a design criterion for open-ended piles that explicitly considers the effect of IFR on pile load capacity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effect, model pile load tests using a calibration chamber were conducted on instrumented open-ended piles. The results of these tests show that the IFR increases with increasing relative density and increasing horizontal stress of soils. The unit base and shaft resistances decrease with increasing IFR.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odel pile tests, new empirical relations for base load capacity and shaft load capacity of open-ended piles are proposed. In order to check the accuracy of predictions made with the proposed equations, the equations were applied to the full-scale pile load test preform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comparisons with the pile load test results, the proposed equations appear to produce satisfactory predictions.

  • PDF

대구경 말뚝의 정재하시험시 대구경 경사반력말뚝의 인발거동 (The Pullout Behavior of a Large-diameter Batter ]Reaction Piles During Static Pile Load Test for a Large Diameter Socketed Pipe Pile)

  • 김상옥;성인출;박성철;정창규;최용규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5-1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직경 1,000mm의 시험말뚝에 대한 압축정재하시험 수행시 반력말뚝으로 사용된 직경 2,500mm의 대구경 경사반력소켓말뚝의 인발거동을 분석하였다. 경사반력말뚝은 풍화암층과 연암층 10m에 걸쳐서 현장타설말뚝으로 소켓되어졌으며, 강관부는 강관과 속채움콘크리트로, 그리고 소켓부는 콘크리트와 철근으로 구성되었다. 각 구성부재에 작용하는 변형율을 측정하기 위해 센서를 설치하였으며, 반력말뚝두부의 인발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LVDT를 설치하였다. 정재하시험중 재하된 최대인발하중은 10MN이었으며 최대인발변위는 7m, 잔류인발변위는 최대 1mm 정도 발생하였다. 인발하중의 83%를 풍화암층에서 그리고 12%를 연암층에서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풍화암에 소켓된 철근콘크리트부와 연암에 소켓된 털근콘크리트부에서 각각 125.3kPa와 61.8kPa의 인발응력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풍화암층에서도 인발하중을 충분하게 지지하고 있으므로 풍화암층은 마찰력을 크게 발휘하는 지지층으로 사용되었다.

기성말뚝의 지지거동 (The Behavior of Bearing Capacity for the Precast files)

  • 박영호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16권1호
    • /
    • pp.107-116
    • /
    • 2000
  • 4개 현장에 실물크기의 강관말뚝과 PC 및 PHC 말뚝의 축방향에 대한 지지거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강관말뚝에 스트레인게이지를 부착하고 항타시 계측기 손상여부를 조사하면서 동재하시험을 수행하였다. 아울러 동일한 말뚝에 대하여 2일과 7일 경과후에 정재하시험을 실시하여 하중-침하량 거동과 주면 및 선단지지력을 분리 측정하였다. 그 결과, CAPWAP 해석에 Davisson방법을 적용하여 구한 강관말뚝의 허용지지력은 정재하시험에서 구한 허용지지력 보다 약 2~33%정도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정재하시험 결과에서 구한 산술평균한 허용지지력은 CAPWAP해석에서 Davisson's offset방법으로 구한 허용지지력보다 극한지지력에 FS=2.5를 적용하여 구한 허용지지력에 더 근접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단위면적당 주면지지력은 깊이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고, 말뚝선단부 1~2m 이내에서 발휘되는 비율이 상당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모래지반에서 반복수평하중을 받는 항타말뚝의 거동 (Behavior of Laterally Cyclic Loaded Piles Driven into Sand)

  • 백규호;박원우;김영준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9년도 세계 도시지반공학 심포지엄
    • /
    • pp.913-922
    • /
    • 2009
  • Fourteen model pile load tests using a calibration chamber and instrumented model pile were preformed to investigate the variation of the behaviors of driven piles in sands with soil and lateral cyclic loading conditions. Results of the model tests showed that the first loading cycle generated more than 70% of the pile head rotation developed for 50 lateral loading cycles. Lateral cyclic loading also made an increase of the ultimate lateral load capacity of piles for $K_0$=0.4 and an decrease for $K_0$ higher than 0.4. Higher portion of the increase or decrease in the ultimate lateral load capacity by lateral cyclic loading was generated for the first loading cycle due to densification of loosening of the soil around the pile by lateral cyclic loading. It was also observed that a two-way cyclic loading caused higher ultimate lateral load capacity of driven piles than a one-way cyclic loading. When the pile was in the ultimate state, the maximum bending moment developed in the pile increased with increasing $K_0$ value of soil and was insensitive to the magnitude and number of lateral cyclic loading.

  • PDF

교대하부 도로확장에 적용된 쏘일네일 벽체의 해석 (Analysis of Soil Bailed Wall under Piled Bridge Abutment)

  • 임유진
    • 공학논문집
    • /
    • 제6권1호
    • /
    • pp.83-96
    • /
    • 2004
  • 강판파일로 지지되고 있는 미니 교대하부에, 압성토의 제거에 따른 교대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쏘일네일링 공법을 채택하였다. 네일벽체에 각종 계측기를 매설하여 벽체의 거동을 추적하였다. 또한 3차원 유한요소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쏘일네일 벽체와 기존 구조물사이의 상호영향과 관련된 벽체의 거동을 분석하였다. 압성토의 순차적 제거와 네일타설 등의 전 축조 시퀀스를 모델링 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시뮬레이션 기법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현장에 축조된 실물 계측데이터를 이용하여 보정하였고, 압성토의 제거와 네일타설이 기존 파일의 축하중 및 휨모멘트에 미치는 영향과 네일 인장력의 변화와의 상관관계 등, 설계시 고려되어야 할 몇 가지 주요한 사항에 대한 해석결과를 구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