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inulo-oligosaccharides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초

Quantification of Inulo-oligosaccharides Using High pH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with Pulsed Amperometric Detector (HPAEC-PAD)

  • Kang, Su-Il;Chang, Yung-Jin;Kim, Kyoung-Yun;Kim, Su-Il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4호
    • /
    • pp.166-168
    • /
    • 1999
  • Inulo-oligosaccharides (IOS, $F_n$, n=2-6) were purified from enzymatic hydrolysates of water-soluble extract of Jerusalem artichoke tubers. Quantification of inulo-oligosaccharides was done using high pH anion exchange chromatography with pulsed amperometric detector (HPAEC-PAD) at the concentration range of 10-100 mg/L, which was compared with that of fructo-oligosaccharides (FOS, $GF_n$, n=1-7). Peak areas per mg IOS were higher than FOS at the same degree of polymerization (DP). Specific peak areas of IOS increased proportionally as DP increased up to six, in contrast to FOS showing no linearity.

  • PDF

ASpergillus ficuum 기원의 정제 endoinulinase를 이용한 이눌린으로부터 이눌로올리고당의 생산 (Production of Inulo-oligosaccharides from Inulin by a Purified Endoinulinase from Aspergillus ficcum)

  • 윤호범;김동현;윤종원;김병우;송승구
    • KSBB Journal
    • /
    • 제13권3호
    • /
    • pp.284-288
    • /
    • 1998
  • Production of inulo-oligosaccharides from inulin was carried out with the maximum yield of 94% using a purified endoinulinase from Aspergillus ficcum. The optimum reaction temperature and pH were 55-60$^{\circ}C$ and pH 5.5-6.0, respectively. The Michaelis constant and maximum reaction velocity of the endoinuinase for inulin were 13.27 g/L and 0.13 g/L$.$min at 55$^{\circ}C$, pH 5.5, respectively. Inulin sourc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oligosaccharide yield and product composition, although initial production rate differed according to inulin origins. The reaction pH was a critical factor in inulo-oligosaccharide production because considerable free monosaccharides were released, decreasing oligosaccharide yield at low pH conditions. An empirical relationship describing the reaction performance was developed from kinetic data: the time to reach maximum oligosaccharide yield (tw) as a function of initial concentration of inulin (lo) and enzyme (Eo); i.e., log tM = -1.025 log Eo - 0.011 l0 + 2.655.

  • PDF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한 fructo 및 inulo올리고당의 정량 (Quantitation of fructo- and inulo-oligosaccharide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 강수일;한종인;김경연;오선진;김수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6권4호
    • /
    • pp.310-314
    • /
    • 1993
  • HPLC를 이용하여 fructose oligomer인 fructo올리고당(GF2-GF7) 및 inulo올리고당(F2-F4)의 분리, 정량을 실시하였다. TSK-gel amide 80 column과 acetonitrile-water(65:35; v/v) 용매를 사용하여 각 표준당들을 효과적으로 분리할 수 있었으며 이들의 retention time은 분석시마다 거의 변하지않아 재현성이 있었다. 각 당의 농도에 따른 peak면적을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작성한 결과 넓은 당량의 범위에 걸쳐 결정계수가 0.9884이상의 값을 보여 본 HPLC방법에 의한 정량법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울기는 비슷하나 y축 절편 값이 당마다 크게 상이하여 몇가지 표준당들을 기준으로 하여 모든 당을 일률적으로 정량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으며 각 당에 대한 표준곡선을 하나씩 작성하여 정량하여야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Product of inulo-oligosaccharides from inulin by endo-inulinase activiting enzyme and Its deletion mutant protein from CFTase

  • 김병우;류혜경;유동주;김현정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528-530
    • /
    • 2002
  • Xanthmonas oryzae MGL21유래의 CFTase의 repeat영역을 deletion 시킨 ${\triangle}N{\triangle}C$ deletion mutant는 protein 정제결과 약 90kDa 이있으며 pH6.5, $45^{\circ}C$에서 최적 효소 반응을 하였다. 또한 Inulin과 반응시켰을 때 CFTase는 main product가 CF인데 비해 ${\triangle}N{\triangle}C$ deletion mutant는 main product가 fructooligosaccharide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CFTase의 N말단 repeat영역과 C말단 repeat영역을 제거하였을 경우 endoinulinase와 활성이 유사하며, 유전자 크기 및 아미노산 서열도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새로운 endo-inulinase를 이용한 치커리 추출물로부터 Inulo올리고당의 생산 (Production of Inulo-oligosaccharides from Chicory(Cichorium intybus, L.) with Endo-inulinase from Arthrobacter sp.537)

  • 강수일;김수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1호
    • /
    • pp.34-38
    • /
    • 1997
  • 치커리 추출액으로부터 올리고당을 생산하기 위하여 산과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를 실시하였다. 이온교환수지를 통과한 당용액을 가수분해 시킨 결과 중합도 $3{\sim}5$인 올리고당의 함량은 $55^{\circ}C$에서는 가수분해 12분에, $65^{\circ}C$에서는 6분에 총당의 26%내외에 도달한 후 30분까지 거의 변하지 않았다. 30분 처리로 fructose, glucose 및 sucrose는 $55^{\circ}C$에서는 총당의 24.6%을 $65^{\circ}C$에서는 50.3%로 증가하고, 중합도 6 이상의 당은 총당의 49.5%, 23.0%로 각각 감소하여 산가수분해는 당중합도에 비선택적인 것으로 나타나 올리고당 생산방법으로는 부적합하였다. Athrobactor sp. S37의 정제 endo-inulinase를 사용하여 치커리 추출액을 $40^{\circ}C$에서 가수분해한 결과 18시간 가수분해물의 당조성은 inulobiose(F2)를 포함한 중합도 $3{\sim}5$의 올리고당이 총당의 66.1%, 중합도 6 이상이 23.0%, fructose, glucose 및 sucrose가 10.9%이었다. 가수분해전 fructose, glucose 및 sucrose 함량이 9.6%인 것을 감안하면 본 효소에 의한 가수분해는 고중합도의 당이 올리고당으로 선택적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수분해에 사용되는 조효소와 정제효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중합도 $1{\sim}2$의 당들을 제거한 치커리당액을 각각 두 효소로 가수분해하였다. 정제 효소로 가수분해한 것과는 달리 조효소에 의한 18시간과 44시간 가수분해물에서는 fructose, F2 및 GF2가 검출되었으며 또한 F4의 생성이 가수분해 초기($2{\sim}8$시간)에서 훨씬 빨랐다. 두 효소의 44시간 가수분해물은 총당의 72%가 올리고당이었으며 올리고당의 주요 구성당은 F2, F3, F4의 inulo올리고당으로 총당의 $51.3{\sim}64.35$를 차지하였다. 따라서 endo-inulinase에 의한 가수분해는 효과적인 올리고당 생산방법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