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iwhang

검색결과 11건 처리시간 0.039초

약용식물(藥用植物) 지황(地黃)의 paraquat에 대한 저항성(抵抗性) (Resistance of the medicinal plant Jiwhang (Rehmannia glutinosa) on paraquat)

  • 김종석;전재철
    • 한국잡초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74-379
    • /
    • 1992
  • 우리나라에서 재배(栽培)되거나 자생(自生)하는 약용식물(藥用植物) 28과(科)58종(種)에 대해 서 paraquat 추천량(推薦量) 0.8kg $ha^{-1}$에 대한 저항성(抵抗性)을 검정(檢定)하고, 지황(地黃)에 대한 paraquat의 약량별(藥量別), 처리(處理) 시기(時期) 및 횟수별, 그리고 타(他) 제초제(除草劑)들에 대한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1. 58종(種의) 약용식물중(藥用植物中) paraquat에 저항성(抵抗性)을 보인 종(種)은 지황(地黃)뿐이었다. 2. 지황(地黃)은 paraquat 추천량(推薦量)의 4배량(倍量) 3.2kg $ha^{-1}$ 처리(處理)에서 무처리(無處理)와 거의 비슷한 생육(生育)을 나타냈으며, 4.8kg $ha^{-1}$에서도 10% 정도(程度)의 생육억제(生育抑制)를 보였다. 또한 추천량(推薦量) 0.8kg $ha^{-1}$ 처리(處理)는 2~8엽기(葉期)까지 지황(地黃)의 엽기(葉期)에 관계(關係)없이, 또한 3엽기(葉期)부터 20일(日) 간격(間隔)의 5회(回) 반복처리(反復處理)에서도 정상적(正常的)인 생육(生育)을 나타냈다. 3. 지황(地黃)은 glyphosate, 2,4-D, dicamba + 2, 4-D의 추천량(推薦量) 수준(水準) 처리(處理)에서는 완전(完全)히 고사(枯死)되었지만, paraquat 0.8kg $ha^{-1}$ 처리(處理)에서는 정상적(正常的)인 생육(生育)을 나타내어 생리적(生理的)인 선택성(選擇性)이 있음을 나타내었다.

  • PDF

분자표지자에 의한 지황 유전집단의 유전적 다양성 (Genetic Diversity of Rehmannia glutinosa Genotypes Assessed by Molecular Markers)

  • 방경환;정종욱;김영창;이제완;김홍식;김동휘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5-440
    • /
    • 2008
  • RAPD 분석을 이용하여 지황 육성 계통과 지역 수집종 들을 구분할 수 있는 분자표지자를 선발하고, 집단 간, 집단 내 유전적 다양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 20개의 임의 primer를 이용하여 PCR 한결과, 육성 계통과 수집종 들을 구별할 수 있는 OPA-1 등 10개의 재현성과 다형성이 좋은 프라이머 들을 선발하였다. 특히 OPA-10, OPA-11 및 OPA-19는 고려지황과 지황1호를 다른 계통 및 수집종 들과 구별할 수 있었으며, 이들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0.9 kb, 1.2 kb, 1.3 kb 및 1.4 kb등의 육성계통 특이적인 DNA 밴드들을 확보할 수 있었다. 한편 이들의 결과를 토대로 통계처리에 의한 유전분석 결과, 고려지황, 지황1호 및 일본지황은 집단 내 유사도가 높아 다른 집단들과 구별되었다. 결론적으로, RAPD 분석을 통한 결과는 지황의 유전적 다양성 이해와 특정 계통을 다른 계통 및 수집종 들과 구분할 수 있는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다.

Drying Characteristics of Korean-type Rehmannia (Jiwhang) Noodle

  • Rhim, Jong-Whan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1호
    • /
    • pp.202-206
    • /
    • 2009
  • Drying characteristics of fresh Korean-type rehmannia (jiwhang) noodle was investigated to determine drying kinetic parameters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s of 5 temperatures (30, 40, 60, 80, and $90^{\circ}C$). Drying curve of the noodle showed a biphasic pattern of decrease in drying rate with initial rapid drying followed by slow dehydration as the progress in drying. In all drying conditions, only falling drying rate period was observed and the drying rate of the noodle was greatly influenced by the drying temperature. The effective diffusion coefficients ($D_{eff}$) were determined by the diffusion model and their temperature dependency was determined using an Arrhenius equation. The activation energy ($E_a$) values for the drying of the noodle were 19.94 and 21.09 kJ/mol at the initial and the latter stage of dehydration, which were comparable to those of pasta or Japanese udong dehydration.

생장점 배양에 의한 지황의 우량주 생산 (Virus-Free Healthy Plant Production through Meristem Culture in Chinese Foxglove(Rehmannia glutinosa))

  • 박충헌;성낙술;백기엽;최홍수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273-276
    • /
    • 1998
  • 생장점 배양에 의한 바이러스 무병주 생산 여부를 판단하고자 바이러스 감염실태를 조사한 결과 지황1호와 국내재래종 모두 여러 종류의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있었고 주종바이러스는 potexvirus와 TMV였다. 생장점 배양시 신초형성은 kinetin 첨가 배지에서 가장 양호하였으며 2.4-D 첨가 배지에서는 캘러스로 발달하였는데 캘러스로부터 다수의 신초를 획득할 수 있었다. 기내 재분화 식물체의 투과전자현미경(TEM)과 지표식물을 이용한 바이러스 검정결과 생장점 배양 유래의 식물체들은 83.3%가 바이러스 무병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A Pilot Study to Assess the Effect of Gami-Jiwhang-Tang on Cognitive Effects in Healthy Children

  • Bahn Geon-Ho;Kim Chang-Ju;Chung Joo-Ho;Kim Yong-Hee;Paik Eun-Kyung;Park Jae-Hyu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29-138
    • /
    • 2004
  • Objective : Treatments for patients with mental retardation an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are not curative, and are designed to help those with disabilities adjust to their environments and daily demands. As clinicians, the present authors tried to find agents with potentially curative properties. Among the numerous herbal formulations available, we chose and assessed Gami-jiwhang-tang (GJT) in the hope that it would improve cognitive development of children. Methods : Subjects were typically-developing healthy, 7- to 8-year-old boys and girls living in Seoul, Korea. The experimental group took GJT for six weeks and was followed up six weeks after discontinuation of GJT. The control group was assessed at the same intervals but did not receive placebos. To measure the effects of GJT, neuropsychological tests and intelligence test were taken before commencing GJT and twelve weeks later. Resulets and Conclusion : For all of the ANOVAs, the treatment by time interaction terms was not significant.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tendency to be progressed in most subscale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especially on performance intelligence, visual organization, and verbal fluency. Conclusion : Although GJT failed to reveal significant improvement in cognition, we remain hopeful about the compound and believe that it should be evaluated by a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trial in the future.

  • PDF

피막처리된 지황종자의 발아 (Germination of pelleted seeds in Rehmannia glutinosa Libosch)

  • 박충헌;심강보;김민규;박춘근;성낙술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13-217
    • /
    • 1999
  • 뿌리에 의한 영양번식으로 증식하는 지황은 바이러스에 심하게 삼염되어있어 종자를 이용한 우량종근을 생산할 목적으로 종자특성과 발아에 미치는 요인과 알진산으로 인공피막한 처리를 검토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황종자의 특성으로 협당종자수는 서천재래 61개에 비하여 지황1호가 207개로 많았고 1,000립중도 서천재래 70mg에 비하여 지황1호가 130mg으로 무거웠다. 지황종자는 당년채종('98)한 종자보다 전년도 채종 후 상온 저장한 종자에서 높은 발아율을 보여 미세립 종자지만 휴면현상이 있었고 온도 차이에 따른 발아는 차이를 보여 $15^{\circ}C$에서는 9일까지 발아하지 않았으나, $30^{\circ}C$에서는 2일후 28.5%, 6일후 41.6%로 높았다. 종자파종의 생력화를 목적으로 지황종자를 알진산 피막처리 하였을 때 파종후 20일에 발아율이 83.2% 정도였다. 알진산 처리농도는 2%의 저농도에서 발아율이 높았고 인공피막내 함유 종자수는 3개이상까지 많을수록 양호하였으며 저온처리는 초기발아가 지연되었다.

  • PDF

Effect of Drying Method on Antioxidant Activity of Jiwhang (Rehmannia glutinosa)

  • Rhim, Jong-Whan;Xi, Yang;Jeong, Won-Chul;Ham, Kyung-Sik;Chung, Ha-Sook;Kim, Eun-Si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8권6호
    • /
    • pp.1464-1469
    • /
    • 2009
  • Jiwhang (Rehmannia glutinosa), one of the most widely used medicinal herbs, was dried with various methods such as sun drying, hot air drying, vacuum drying, and freeze drying methods, and their effects on the antioxidant capacity in relation with the content of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studied with a steamed-and-dried rehmannia (sookjiwhang) for comparison. Generally, total phenolic contents decreased significantly by all of the drying treatments except the steamed-and-dried rehmannia, in which total phenolic contents increased 2.4 fold compared with fresh rehmannia. Content of verbascoside, a functional phenolic compound, was the highest in the freeze-dried rehmannia ($177.97{\pm}0.02\;{\mu}g/g$ d.m.) followed by vacuum-dried ($105.55{\pm}0.07\;{\mu}g/g$ d.m.), hot air-dried ($23.01{\pm}0.02\;{\mu}g/g$ d.m.), and sun-dried ($4.89{\pm}0.13\;{\mu}g/g$ d.m.) ones comparable to the fresh rehmannia ($80.15{\pm}1.26\;{\mu}g/g$ d.m.). Antioxidant capacity determined by both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phonic acid) (ABTS) methods agreed with the result of total phenolic contents, that is, the antioxidant capacity was the highest in the steamed-and-dried rehmannia followed by fresh rehmannia, vacuum-dried, hot air-dried, sun-dried, and freeze-dried ones. Conclusively, the total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capacity of rehmannia were greatly affected by the drying methods used.

저장방법이 지황 종근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torage Methods on the Rhizome Quality of Rehmannia glutinosa L.)

  • 김인재;김민자;남상영;이철희;김홍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82-285
    • /
    • 2004
  • 지황의 안정적인 저장으로 종근 비용을 절감하고자 재래종과 생육특성이 상이한 지황 1호를 공시하여 저장 후 120일 동안의 저장방법에 따른 종근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지황의 저장방법별 온도변화는 움저장에서 7.2∼13.8$^{\circ}C$로 가장 적었고 스치로폼상자내 흙을 충진한 저장에서 높았으며, 습도는 움저장에서 98.2%로 가장 높았다. 당도와 중량 감모율 그리고 부패율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왕겨를 충진한 망사와 스치로폼상자내 저장에서 당도와 중량 감모율이 높았으나, 부패율은 움저장에서 27.5%로 가장 높았다. 저장중 경도의 변화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표피의 경도는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나, 내부 경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Dehydration Kinetics of Rehmannia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 Rhim, Jong-Whan;Kim, Ji-Hye;Jeong, Won-Chul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5호
    • /
    • pp.771-777
    • /
    • 2007
  • Sliced and whole root of rehmannia were dehydrated in a laboratory dryer at 40, 60, 80, and $100^{\circ}C$ to evaluate the kinetic parameters for dehydration of rehmannia. The drying curves of both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a falling-rate drying period only. Sliced rehmannia dried 1.1 to 3.1 times faster than whole root of rehmannia depending on drying temperature. Equilibrium moisture content (EMC) of rehmannia samples at the drying temperature tested were 0.069-0.078 g water/g dry solid, which was coincided with the monolayer moisture content (0.06 and 0.07 g water/g dry solid) evaluated from desorption isotherms using GAB (Guggenheim-Anderson-de Boer) model. A logarithmic model for thin layer drying was applied to evaluate the drying time to reach EMC ($t_{EMC}$) and drying constant (k). The effect of temperature on $1/t_{EMC}$ and k was described by the Arrhenius model with activation energy values of 32.56 and 47.14 kJ/mol determined using the former parameter, and 34.27 and 38.26 kJ/mol determined using the latter parameter for sliced and whole root of rehmannia,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