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joint image filtering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Depth Up-Sampling via Pixel-Classifying and Joint Bilateral Filtering

  • Ren, Yannan;Liu, Ju;Yuan, Hui;Xiao, Yifan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2권7호
    • /
    • pp.3217-3238
    • /
    • 2018
  • In this paper, a depth image up-sampling method is put forward by using pixel classifying and jointed bilateral filtering. By analyzing the edge maps originated from the high-resolution color image and low-resolution depth map respectively, pixels in up-sampled depth map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edge points, edge-neighbor points, texture points and smooth points. First, joint bilateral up-sampling (JBU) method is used to generate an initial up-sampling depth image. Then, for each pixel category, different refinement methods are employed to modify the initial up-sampling depth imag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reduce the blurring artifact with lower bad pixel rate (BPR).

시공간 3차원 결합 잡음제거 필터 (Spatio-Temporal 3D Joint Noise Reduction Filter)

  • 홍성훈;홍성용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147-157
    • /
    • 2002
  • 영상 시퀀스에 포함된 잡음은 화질을 열화시키고 중요한 영상의 미세 정보를 훼손시킨다. 또한 잡음은 영상의 복잡성을 증가시키므로 영상의 압축효율을 저하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특성이 서로 다른 두개의 적응형 잡음제거 필터를 결합적으로 연결하여 잡음을 제거하는 공간결합필터와 시간결합필터를 제시하고, 이 결합필터들을 연결한 IIR필터 구조를 갖는 3차원 잡음제거 필터를 제시한다. 제시된 잡음제거 필터는 영상의 에지와 미세정보를 유지하면서도 평탄한 영상영역에 대해서는 강한 잡음제거를 수행하며 이웃한 프레임 사이에서도 잡음에 의한 시간적인 깜박임을 억제한다. 실험결과 제안된 잡음제거 필터는 기존 방식들에 비하여 객관적 화질뿐만 아니라 주관적인 화질을 크게 향상시킴을 알 수 있었다.

  • PDF

Image Path Searching using Auto and Cross Correlations

  • Kim, Young-Bin;Ryu, Kwang-Ryol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9권6호
    • /
    • pp.747-752
    • /
    • 2011
  • The position detection of overlapping area in the interframe for image stitching using auto and cross correlation function (ACCF) and compounding one image with the stitching algorithm is presented in this paper. ACCF is used by autocorrelation to the featured area to extract the filter mask in the reference (previous) image and the comparing (current) image is used by crosscorrelation. The stitching is detected by the position of high correlation, and aligns and stitches the image in shifting the current image based on the moving vector. The ACCF technique results in a few computations and simplicity because the filter mask is given by the featuring block, and the position is enabled to detect a bit movement. Input image captured from CMOS is used to be compared with the performance between the ACCF and the window correlation. The results of ACCF show that there is no seam and distortion at the joint parts in the stitched image, and the detection performance of the moving vector is improved to 12% in comparison with the window correlation method.

DCT를 이용한 영상압축 알고리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Image Compression Algorithm using DCT)

  • 한동호;이준노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23-330
    • /
    • 1992
  • A Study of Image Compression Algorithm using DCT This paper describes the system that implement a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algorithm based on DCT(Discrete Cosine Transform) uslng CCD kameva, Image Grabber, and IBM PC. After cosine transforms the acquisited image, this algorithm quantize and entropy encode the coefficients by JPEG code table. The coefficients are reconstructed by the Huffman decoding, dequantized procedure, and Inverse cosine transfor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impleulented system are as follows. (1) For effcient storage and easy implementation, this system save Image as a PCX formal (2) Thls system get 7:1 compression ratio(3.8 RMSE value) without large distortion. (3) With a low pass filtering, thls system eliminate high frequency components and get 20% enhanced compression ratio. (4) Thls system enhance the reconstructed Image using histogram modeling.

  • PDF

Digital Watermarking by Rearranging and Modifying DCT Coefficients

  • Lee, Hee sup;Oh, Sang-Heun;Lee, Keun-Young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0년도 ITC-CSCC -2
    • /
    • pp.902-905
    • /
    • 2000
  • Because of the rapid growth of Internet and multimedia applications, how to protect IPR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has become a critical issue. Is one of the ways to overcome the problem of the protection of IPR. Digital watermarking call be applied to multimedia data, such as digital images, digital video, and digital audio. In this paper, we propose a digital watermarking technique for digital images to authenticate an owner or an image by embedding visually recognizable patterns, such as logos, signatures, or stamps into images In BDCT (block discrete cosine transform) frequency domain. The proposed method sorts the components of an original image twice. At the same time, the method, also, rearranges the components of a watermark twice in order to be more robust, and finally embeds the watermark into the image. From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conjunction of three similarity measurements shows that our proposed method is robust to image cropping, image filtering, and JPEG (the 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both subjectively and objectively.

  • PDF

LANDSAT DATA의 映像處理手法에 의한 서울-東豆川 간의 LINEAMENT 硏究 (A Geological Study on the Seoul-Dongducheun Lineament Using Digital Image Processing Teachniques of Landsat Data)

  • 姜必鍾;智光薰;曺民肇;崔映燮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9-51
    • /
    • 1985
  • The study was emphasized on application of the digital image processing techniques for lineament analysis. The major lineament of the study area belongs to Choogaryong faults which many geologists have studied since 1903. Also the lineament is so significant in geological views, because the lineament runs through Seoul area. The several image processing methods such as gradient, Laplacian and spatial filter have been applied, and the spatial filtering is most suitable method for lineament analysis among them. The lineaments distribute predominently in the N20.deg.-30.deg.E trend and N80.deg.-90.deg.W trend which have the conjugated relationship each other, and it coincides with the Gyeongsang conjugate system. The circular structure of study area was developed by cooling circular joint.

DCT 영역에서의 정지 영상 Watermarking (Watermaking for still images in the DCT domain)

  • 권오형;김영식;박래홍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68-75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정지 영상에 대하여 DCT 영역에서의 watemark 방버을 제안하였다. 정지 영상 내에 삽입된 watermark 의 가시성을 줄이기 위하여 정지화상의 고주파 영역에 watermark을 삽입하였으며, 고주파 영역 선별을 위하여 가변 크기의 고주파 영역 추출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방법이 JPEG 압축, 저주파 필터, 중복 watermark 및 cropping 등의 여러 가지 영상처리 기법에 강인한 특성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를 얻었다.

  • PDF

양안식 영상을 이용한 신뢰도 기반의 다시점 영상 생성 방법 (Confidence Map based Multi-view Image Generation Method from Stereoscopic Images)

  • 김도영;호요성
    • 스마트미디어저널
    • /
    • 제2권4호
    • /
    • pp.27-33
    • /
    • 2013
  • 다시점 영상 시스템은 실감나는 3차원 입체감을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자유로운 시점을 선택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한 번에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므로 두 시점 흑은 세 시점의 영상을 전송하고,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중간 시점의 영상을 합성하여 제공한다. 본 논문에서는 양안식 영상으로부터 고품질의 다시점 영상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먼저 스테레오 정합은 폐색 영역을 비롯한 모든 화소들의 정확한 변위 값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배경 값을 이용하여 폐색 영역의 화소들을 처리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또한 합성 영상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변위 영상 내의 물체 경계선 불일치 문제점 해결을 위해 결합형 양방향 필터를 적용한다. 마지막으로 불량 화소와 빈 공간때문에 발생하는 오류를 줄이기 위해 신뢰 영상을 이용하여 중간 시점의 영상을 생성한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을 이용할 때 기존의 방법보다 합성 성능이 뛰어남을 확인했다.

  • PDF

주시각이 제어된 스테레오 물체추적 시스템의 광-디지털적 구현 (Opto-Digital Implementation of Convergence-Controlled Stereo Target Tracking System)

  • 고정환;이재수;김은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7권4B호
    • /
    • pp.353-36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계층적 디지털 알고리즘과 광 BPEJTC를 이용하여 주시각을 제어함으로써 이동표적을 적응적으로 추적할 수 있는 새로운 광-디지털 스테레오 물체추적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즉,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먼저, 순차적인 입력영상으로부터 배경정합을 통해 표적을 탐지하고 이어서, 영상 차분 필터, 논리곱 연산 및 모폴로지 필터를 이용하여 구성된 표적 투영마스크를 이용하여 표전물체를 영역화한 다음 최종적으로 광 BPEJTC(binary phase extraction joint transform correlator)를 이용하여 표전물체의 위치정보를 추출해 냄으로써 이를 이용한 실시간적 카메라 주시각 제어 및 물체추적이 가능한 새로운 광-디지털 스테레오 물체추적 알고리즘을 제시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 새로이 제안된 표적물체 추출 및 카메라 주시각 제어 알고리듬의 광학적 구현을 통해 적응적 스테레오 물체 추적시스템의 실시간적 구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Kinect 깊이 카메라를 이용한 실감 원격 영상회의의 시선 맞춤 시스템 (Real-time Eye Contact System Using a Kinect Depth Camera for Realistic Telepresence)

  • 이상범;호요성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7권4C호
    • /
    • pp.277-282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실감 원격 영상회의를 위한 시선 맞춤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은 적외선 구조광을 사용하는 Kinect 깊이 카메라를 이용해서 색상 영상과 깊이 영상을 획득하고, 깊이 영상을 이용해서 사용자를 배경으로부터 분리한다. 깊이 카메라로부터 획득한 가공되지 않은 깊이 영상은 다양한 형태의 잡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첫번째 전처리 과정으로 결합형 양방향 필터를 사용해서 잡음을 제거한다. 그 다음, 깊이값의 불연속성에 적응적인 저역 필터를 적용한다. 색상 영상과 전처리 과정을 거친 깊이 영상을 이용해서 우리는 가상시점에서의 화자를 3차원 모델로 복원한다. 전체 시스템은 GPU 기반의 병렬 프로그래밍을 통해 실시간 처리가 가능하도록 했다. 최종적으로, 우리는 시선이 조정된 원격의 화자 영상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실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시스템이 자연스러운 화자간 시선 맞춤을 실시간으로 가능하게 하는 것을 확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