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nife-incisi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배할 및 자상-인사이징 처리가 소나무 정각재의 고온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Knife-Incising and Longitudinal Kerfing Treatment on High-Temperature Drying Characteristics of Red Pine Square Timber)

  • 이창진;이남호;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677-68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배할과 자상-인사이징 처리가 두께 15 cm 크기 소나무 정각재의 고온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건조 후 최종함수율은 5.6% ~ 7.5% 범위였으며, 전처리조건에 따른 함수율분포에 차이는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배할의 경우 재면할렬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였으며, 뒤틀림은 약간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배할과 자상-인사이징 처리는 내부할렬과 건조 수축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할 및 자상-인사이징 전처리가 Douglas-fir 중목구조부재의 함수율과 재면할렬 발생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Knife-incising and Kerfing Pretreatment on Moisture Content and Surface Check Occurrence of Douglas-fir Heavy Timber)

  • 이창진;이남호;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3호
    • /
    • pp.302-314
    • /
    • 2016
  • 본 연구는 배할과 자상-인사이징 처리가 Douglas-fir 중목구조부재의 함수율과 재면할렬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함수율의 경우, 횡단면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시험재들에서 수분경사가 존재하였으며, 전처리 조건에 따라 표층으로부터 72 mm 깊이까지 수분경사가 다르게 형성되어 있었다. 표층으로부터 72 mm 깊이까지 형성된 수분경사는 자상-인사이징보다 배할 처리한 시험재가 더 완만하게 형성되었다. 또한 전기저항식 수분계를 이용한 평균함수율 측정에 있어 단면이 증가함에 따라 실질률의 고려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면할렬의 경우, 전처리 조건에 따른 차이가 존재하였으며, 자상-인사이징처리와 배할처리 모두 건조 후 발생된 재면할렬의 감소가 가능하였다. 특히 배할은 재면할렬의 폭이 확장되는 것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이었다. 하지만 자상-인사이징의 경우, control과 비교하였을 때 재면할렬 발생의 억제가 가능하긴 하였으나, 그 효과가 배할의 수준에 미치지 못하였다.

배할 및 인사이징 전처리가 횡단면 크기 150 mm 이하 삼나무와 낙엽송 수심재의 고온건조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Kerfing and Incising Pretreatments on High-Temperature Drying Characteristics of Cedar and Larch Boxed-Heart Timbers with Less than 150 mm in Cross Section Size)

  • LEE, Chang-J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3호
    • /
    • pp.345-363
    • /
    • 2020
  • 본 연구는 배할 및 인사이징 전처리가 횡단면 크기 150 mm 이하 삼나무와 낙엽송 수심재의 고온건조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 결과, 전처리는 표면할렬과 수축률에 대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할처리는 표면할렬 발생을 줄이기 위한 전처리로서 적합하였으나, 인사이징은 재면의 자상이 서로 연결됨으로써 표면할렬로 전환되는 현상을 야기하기 때문에 전처리로서 적합하지 않았다. 수축률은 전처리 조건에 따라 건조 후 최종함수율이 인사이징, 배할, 배할-인사이징 순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냄으로써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뒤틀림은 미성숙재의 수축이방성보다 목리각도가 더 크게 영향을 주었으며, 전처리의 영향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