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koch curve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7초

안테나 소형화를 위한 koch curve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Koch curve Microstrip Patch Antenna for Antenna Miniaturization)

  • 김선웅;임동섭;김영곤;최동유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323-330
    • /
    • 2013
  • In this paper, miniaturized patch antenna operating at ISM band has been designed by applying the fractal technique. Various type of antenna structure, microstrip patch antenna and koch curve microstrip patch antenna has been proposed and simulated using Ansoft HFSS (High Frequency Structure Simulator). The area of microstrip patch antenna and koch microstrip patch antenna is 1,058 $mm^2$, and 891 $mm^2$ respectively, showing the size reduction ratio of 16%. The finally made koch curve microstrip patch antenna resonates at 2.45GHz with return loss of 22.69dB, VSWR of 1.2142, and antenna radiation gain of 3.26dBi.

소형화 구조를 위한 koch curve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설계 (Design of Koch Curve Microstrip Patch Antenna for Miniaturization Structure)

  • 김선웅;김걸범;윤중현;최동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12호
    • /
    • pp.2823-2830
    • /
    • 2014
  • 안테나에서의 소형화 기법은 안테나의 물리적인 모양을 변형하여 공진에 필요한 전기적인 길이를 주어진 공간에서 최대화하고 경우에 따라서 고차의 공진모드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가장 대표적인 설계방법으로는 헬리컬 안테나, 미앤더 안테나, 프랙탈 안테나 등이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소형화 안테나는 프랙탈 개념의 koch curve 구조이다. 안테나는 ISM 대역의 2.45 GHz 주파수이며,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로 제작하였다. koch curve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는 유전율 4.7, 유전체 높이 1.6 mm, 손실 탄젠트 0.02의 FR4 epoxy 기판을 사용하였으며, 에칭공정으로 제작하였다. 제작된 안테나의 반사손실 결과는 2.45 GHz 대역에서 -23.17 dB, VSWR 결과는 1.1491, 임피던스 정합은 $46{\Omega}$이다.

대수 주기 칸토어 코흐 다이폴 안테나의 복사 특성 (Radiation Characteristics of Log Periodic Cantor Koch Dipole Antennas)

  • 박재성;최학근;박재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005-1012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대수 주기 코흐 다이폴 안테나(LPKDA: Log Periodic Koch Dipole Antenna)의 크기를 줄이기 위해 코흐 다이폴 소자를 칸토어 코흐 다이폴 소자로 대체한 대수 주기 칸토어 코흐 다이폴 안테나(LPCKDA: Log Periodic Cantor Koch Dipole Antenna)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안테나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0.5~1.5 GHz의 주파수에서 동작하는 LPCKDA를 설계 및 제작하여 기존의 LPKDA(LPKDA: Log Periodic Koch Dipole Antenna)의 특성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LPCKDA는 다이폴 소자의 길이를 약 5 % 줄이면서 복사 특성이 LPKDA와 비교하여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랙탈의 고등학교 수학교육과정에의 도입가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of Fractals to the High School Mathematics Curriculum)

  • 최정숙;신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37권1호
    • /
    • pp.115-138
    • /
    • 1998
  • We seek the possibility of introduction of Fractals to the high school math. curriculum through identifying Fractals teaching programs appropriate for the scopes and sequences in math. education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We presented the contents of Fractal theory suitable for the high school students. The following subjects were chosen to be introduced; self-similarity, Fractal dimension, Cantor set, Sierpinsky triangle, Sierpinsky carpel Koch curve, Koch island, perimeter estimate of rugged profiles drawn on paper, and chaos game. We developed the working papers and the criteria for appraisal. Each working paper focuses on the activities in which students can solve the given problem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and ideas of Fractals. The working papers were given to the second year students who take science course, and the degree of achievemen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appraisal criteria. The results show that it is possible to introduce Fractals to the high school students.

  • PDF

프랙탈 슬롯을 가진 주파수 선택적 평면(FSS)에 의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특성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Microstrip Patch Antenna with Frequency Selective Surface with Fractal Slot)

  • 심재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1242-1246
    • /
    • 2007
  • 기본적인 단층형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위에 새로운 패치를 두고 그 패치에 코흐 곡선과 같은 프랙탈(fractal) 구조의 슬롯(slot)을 추가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주파수 선택적 평면(FSS, Frequency Selective Surface)의 영향으로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의 이득 향상과 더불어 광대역화 기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향후, 다양한 프랙탈 모양의 슬롯에 의한 주파수 선택적 평면(FSS)의 구조를 변형하여 프랙탈 구조적 변화에 따른 마이크로스트립 안테나의 특성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원예시험장 주변의 진딧물 (Flying Aphid Population at the Horticultural Experiment Station, Suweon)

  • 백운하;송기원;최성식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5-31
    • /
    • 1974
  • 원예작물을 종합적으로 재배하는 원예시험장에서 원예작물에 직접, 간접으로 많은 피해를 주고있는 진딧물을 Yellow Water Trap을 5월 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설치하여 조사한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본 시험장시는 24종의 매개진딧물을 포함하여 120여종이 분포되어 있다. 2. 본 시험장에 분포된 120여종 중에$75\%$ 이상을 차지하는 우세종 10종은 다음과 같다. * 조급나무진딧물(Aphis spiraecola $P_{ATCH}$) * 아카시아진딧물(Aphis craccivora $K_{OCH}$) * 복숭아혹진딧물(Myzus persicae $S_{ULZER}$) 자바못털진딧물(Capitophorus hippophaes javanicus H.R. $L_{AMBERS}$) 층층나무진딧물(Anoecia fulviabdominalis $S_{ASAKI}$) * 목화진딧물(Aphis gossypii $G_{LOVER}$) * 보리수염진딧물(Macrosiphum avenae $F_{ABRICIUS}$) 가시 진딧물(Cervaphis quercus $T_{AKAHASHI}$) * 무우테두리진딧물(Lipaphis erysimi $K_{ALTENBACH}$) 쑥못털진딧물식물(Pleotrichophorus chrysanthemi $T_{HEOBALD}$)(* : 바이러스매개진딧물) 3. 식물바이러스를 매개하는 24종의 진딧물은 전체 진딧물수의 $55\%$를 차지한다. 4. 본시험장의 진딧물 발생소장을 수원의 4개년(1967-'70) 것과 비교한 바 작물이 자라는 봄. 여름에는 살충제를 뿌리기 때문에 수원의 밀도보다 낮으나 작물의 수확이 끝난 10월에는 살충제살포를 중지하고 또 이 시기는 진딧물이 월동숙주로 이주하기 때문에 10월 중순에 밀도가 갑자기 상승하여 년중 최고곡선을 이룬다. 5. 진딧물 방제를 위해서 작물에만 살충제를 살포하는 것으로 그치는데 주위의 잡초나 숙주식물에도 아울러 살포해야한다. 그리고 작물의 수확이 끝난 10월중에도 원동숙주에 살충제를 살포하여 진딧물의 월동량을 감소시키므로써 다음해 봄에 발생량을 감소시키는 예비책을 써야한 것이다. 진딧물은 원예작물에는 어느 해충보다도 피해가 크다는 것은 주지의 사식이나 이것의 발생은 해에 따라, 기상조건의 변화에 따라 달라지므로 한번의 조사로는 만족할 수 없다. 그러므로 앞으로 영구적인 사업으로 매년 발생상황을 계속적으로 조사해야 될 줄로 믿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