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mobility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3초

성인여성의 경제활동 참가 및 노동이동 의사의 상호관련성 (Woman'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Mobility Willingness in the Labor Market)

  • 김순미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65-79
    • /
    • 199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stablish a conceptual model on the woman'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mobility in the labor market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them. Included in those models were two independent variable sets. The one was related to household's financial conditions and the other was associated to the woman's role such as marital status, the number of children and the existence of young children. KHPS's national data was used and the Binomial Probit Model and Bivariate Probit Model were employed to analyse the eff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and the correlations between two 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rate of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the percentage of mobility willingness were 15.4% and 22.0%. Among the variables which have affected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were total wage income, non-wage income, expenditure on children's education and the subject judgement of their financial status. The existence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6 and marital status had significant influences on women's mobility willingness. The correlation between women's labor force participation and mobility willingness was very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se findings clarified the status of woman as a secondary worker and pointed that a woman's economic activity would be subject to the woman's condition rather than her human capital.

  • PDF

자격증이 임금, 노동이동에 미치는 효과: 기능사 2급 자격증을 중심으로 (Analysis of Certification Effects on Wage and Labor Mobility : Evidence from Craft II Class Certification)

  • 이상준
    • 노동경제논집
    • /
    • 제29권2호
    • /
    • pp.145-169
    • /
    • 2006
  • 이 연구는 국가기술자격증 중 기능사 2급 자격 등급을 이용하여 자격증의 임금, 노동이동 효과에 대한 실증분석을 하고 있다. 이를 위해 모수적 방법과 비모수적 방법을 사용한다. 모수적 방법에서는 자격증의 선택 문제를 해결하고자 직종별 사업장 규모별 자격증 비율을 IV로 사용하였으며 비모수적 방법에는 페어메칭을 이용하였다. 간략한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자격증이 임금에 미치는 효과는 작게는 5.5%에서 많게는 9.9% 가량 존재하고 있다. 자격증과 노동이동 간의 관계에서는 실제 노동이동을 통한 자격증의 임금효과보다는 한 직장에 근속함으로써 얻는 임금효과가 크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자격증이 없는 근로자들일수록 상대적으로 동일 사업장에 정착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청년층의 입직 및 이직 실태와 해소방안 탐색 (Exploration on the Youth Employee's Labor Mobility)

  • 이석열;박철우;이미라
    • 공학교육연구
    • /
    • 제17권6호
    • /
    • pp.30-45
    • /
    • 2014
  • Using the data of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Survey and GOMS, we analyze youth employee's labor mobility. We found the causes of the youth employee's labor mobility as follows: work environment, salary, enterprise's vision, job satisfaction, job mismatching, organizational culture, mismatching of work and housing and so on. On the basis of results, we proposed a step by step solutions. The resulting policy implication is that rather than raising job finding rate of the unemployed youths, we need to focus more on reducing job mismatching.

Maximising Cross-Border Labor Mobility of Seafarers in APEC region

  • 설진기;서영정;표예림;최승희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2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357-358
    • /
    • 2022
  • Seafarers from 21 APEC economies, are not only an indispensable source of human capital for the global maritime industry, covering at least 56% of the world's seafaring population (BIMCO, 2015), but also pivotal in providing support to their economies as a major industrial pillar, specifically in developing economies where the development of skills and enhancement of labor mobility of human resources is essential in creating sustainable and inclusive regional growth. This paper examines challenges and barriers in seafarer mobility in relation to policies in APEC economies and investigates mutual collaborative actions that can be taken to address the issues identified in a coordinated and harmonised manner.

  • PDF

지역노동시장 수준에서 청년층 임금근로자의 직업이동 패턴과 영향요인 분석 (Occupational Mobility Patterns and Determinants among Youth Wage Workers in the Local Labor Market, Korea)

  • 송창현;임업
    • 지역연구
    • /
    • 제39권3호
    • /
    • pp.49-63
    • /
    • 2023
  • 본 연구는 지역노동시장 수준에서 청년층 임금근로자의 직업이동 패턴을 탐색하고, 개별 근로자 수준 및 지역노동시장 수준 특성이 직업이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 분석했다. 분석을 위한 자료로는 『청년패널2007』 4-14차년도(2010-2020년), 『재직자조사』 원자료, 『지역별고용조사』 등을 활용했으며, 위계적 선형모형을 응용하여 근로자 개인 수준 및 지역노동시장 수준 한계효과를 추정했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1인당 GRDP가 높은 지역일수록 근로자의 직업 상향 이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지역노동시장권의 규모, 밀도, 실업률이 근로자가 보유한 교육 수준 및 직업 위치에 따라 차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구조적 특성으로 인한 긍정적 효과가 모든 구성원에게 동등하게 배분되지는 않을 수 있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지역노동시장에서 최근 심화되고 있는 불평등 및 양극화와 관련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지역 산업수요와 지역이동 : 전문고 졸업생의 첫 일자리를 중심으로 (Geographical Mobility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 김경년
    • 노동경제논집
    • /
    • 제33권2호
    • /
    • pp.53-89
    • /
    • 2010
  • 취업 산업수요의 지역 범위 설정은 전문계고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선결요건이다. 시 도 교육청의 권한 구역을 기준으로 취업자의 약 38%가 지역 이동하여 첫 번째 직업을 가졌으며 상당수가 상업 계열을 졸업한 여성으로 제조업/전기 전자 직종에 취업하였다. 지역이동은 자격증과 같은 개인의 인적자본과 정(正)의 관계가 있었다. 지역이동의 임금효과는 기술수준이 높은 직업에 취업함으로써 얻은 간접효과보다는 지역이동의 직접효과였다. 성향점수 매칭 및 Rosenbaum(2002)의 민감도 분석을 활용한 결과는 지역이동의 유의미한 임금효과를 보였다.

  • PDF

Spatial Segmentation of the Intra-Metropolitan Local Labor Markets : A Theroetical Review

  • Kim, Jae-Hong
    • 지역연구
    • /
    • 제12권2호
    • /
    • pp.37-57
    • /
    • 1996
  • Intra-metropolitan spatial segmentation of the labor marker requires barriers of mobility on both supply and demand side of the local labor marker. The phenomena of spatial segmentation of the labor market are particularly applied to the secondary workers rather than to the primary workers. Supply side barriers include the costs of obtaining job information regarding jobs outside of the immediate area, commuting costs, and barriers to residential mobility. Demand side barriers include site-specific technology and product demand, and discrimination. In this paper, I discuss these barriers and examine their implications for differences in segmentation by demographic and skill groups at the intra-metropolitan scale. In particular, I apply a job search model to examine supply side barriers such as information and commuting costs, and an implicit contract model to explain demand side barriers such as dual/internal labor market and firms' (re) location strategies.

  • PDF

산업내 전직율이 기업 R&D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Effects of Intra-industry Labor Mobility on Firms' R&D Intensity)

  • 김도연;성태윤;이창양
    • 기술혁신연구
    • /
    • 제16권2호
    • /
    • pp.1-16
    • /
    • 2008
  • This paper shows that labor mobility is positively related to R&D intensity at the industry level in Korea. Different from the perception based on individual firm-level studies arguing that firms can be reluctant to R&D in fear of the job transfer of employees, firms in industries which have high job transfer of employees turn out not to reduce investment in R&D. This result is also confirmed by 2SLS regression. This result supports that, if there exist spillover effects through the job transfer of employees, job transfer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R&D activities.

  • PDF

전남지역 대졸 청년여성의 지역노동시장 경험연구: 노동이동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gional Labor Market Experiences of Young Women in Jeollanam-do Province: Focusing on the Labor Mobility)

  • 전명숙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15-24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남지역 대졸 청년여성의 지역노동시장 경험에 대한 세분화된 연구를 통해 청년여성의 지역노동시장정착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그동안 구체적인 사례연구가 부족했던 전라남도 대졸 청년여성들을 대상으로 지역노동시장에서의 노동이동경험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청년여성들의 노동이동을 경력내 이동과 경력간 이동으로 구분하여 노동이동의 원인을 확인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지역노동시장에 진입은 하였으나 평생경력을 찾지 못한 채 산업과 업종을 변경하면서 일자리를 탐색하는 경력간 이동이 경력내 이동 보다 더 많이 나타났다. 노동이동 원인은 취업준비과정에서의 문제점과 고용조건 및 환경요인으로 구분하였는데 경력간 이동은 경력내 이동에 비해 보다 더 다양한 요인들을 포함했다. 특히 경력간 이동에서는 취업준비과정에서의 문제점이 노동이동의 원인으로 부각되었다. 한편 경력내 이동의 경우 고용기간 만료 등 고용여건 때문에 이직을 하게 되나 이직은 본인들의 기존경력이 유지되는 방식으로 나타났다. 경력내 이동유형의 사례에서는 경력유지에 대한 강한 욕구가 나타났으며 동시에 지역이동의 가능성 역시 높게 나타났다. 사례연구에 기반하여 본 연구에서는 경력매치를 위한 체계적인 진로지도체계 강화와 함께 지속적인 경력개발지원을 위한 경력관리시스템 구축 등을 정책적 과제로 제안하였다.

미국 TANF 탈수급자의 실질 근로소득 추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end of Real Earnings for TANF Leavers)

  • 권혁창
    • 사회복지연구
    • /
    • 제42권4호
    • /
    • pp.137-163
    • /
    • 2011
  • 본 연구는 미국 TANF 탈수급자의 실질 근로소득 추이를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위스컨신 주 행정자료를 이용하여 1998년 TANF를 벗어난 탈수급자들을 7년 이상 (1998년~2005년) 추적하여 패널자료를 구성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이론적으로 본 연구는 실질임금의 주기론 (the cyclicality of real wage)의 입장에서 탈수급자들의 실질 근로소득 추이를 연구한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수급자들의 평균 실질 근로소득 수준은 전체적으로 탈수급 후 큰 변화를 보이지 않는다. 하지만, 탈수급자들의 실질 근로소득 분포를 분석하면 상당한 이동성(labor mobility)를 발견할 수 있으며 (탈수급 1년 후 실질임금의 분포와 5년 후 실질임금의 분포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다), 실질 근로소득의 상향이동성보다는 하향이동성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타난다. 둘째, 패널자료분석의 결과는 탈수급자들의 실질 근로소득이 노동시장의 상황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민감도분석으로 탈수급 후 계속 고용되어 있는 탈수급자 집단을 분석하였는데, 탈수급자들의 실질 근로소득이 노동시장의 상황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다는 결론을 지지한다. 이 연구는 취업우선전략 중심의 미국 공공부조개혁의 성과가 노동시장의 상황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탈수급자의 경제적 안정에 노동시장의 상황이라는 맥락이 중요하며, 따라서 적절한 노동수요 정책의 필요성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