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ge triaxial test device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9초

조립재료의 변형-강도특성에 대하여(I) - 대형삼축시험장치의 개발 - (The Deformation-Strength Characteristic for Gravel Material(1) - Development for Large Triaxial Test Device -)

  • 신동훈;오병현;박한규;박성진;황성춘
    • 한국지반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반공학회 2000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311-318
    • /
    • 2000
  • In constructions of dams and ports structure, gravels are used as principle structural materials. Gravels have different material property compared with other materials like soil and concretes, etc. For example, material properties of gravels obtained from normal triaxial compression test are usually overestimated due to scale and penetration effects. Also, material properties of gravels under dynamic loads are the main interest when structural behavior of rockfill dam under earthquake loads is analyzed. The development of large triaxial compression apparatus is needed for the better estimation of material property of gravel. This paper reports work in progress to development of large triaxial compression apparatus.

  • PDF

피스톤 샘플러와 대구경 샘플러를 이용한 시료 샘플의 공학적 분석 (Analysis of Soil Samples Obtained from Piston Sampler and Large Diameter Sampler)

  • 김영진;강재모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9권3호
    • /
    • pp.29-34
    • /
    • 2008
  • 한국건설기술연구원(KICT)에서는 트리플 코어 바렐의 원리를 적용하여 기존의 연약지반 뿐만 아니라 사질토 및 풍화토 지대에도 적용이 기능한 대구경 샘플러를 개발하였다. 특별히 제작된 시료 절단 및 추출 장치는 다양한 종류의 채취 시료에 적용하여 시료의 교란을 최대한 방지 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 샘플러 두부에는 적절한 강성의 스프링을 설치하여 슈(shoe)와 비트(bit) 사이의 거리가 변화하도록 하여 대상지반의 강성에 맞추어 효과적인 시료채취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대구경 샘플러의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시용되는 피스톤 샘플러와 대구 경 샘플러를 이용해 여러 대상지반에서 채취한 시료의 교란도를 비교 분석하였으며, 다양한 공학적 특성 또한 비교 분석 하였다.

  • PDF

벤더엘리먼트와 삼축시험을 통한 모래의 전단강도 및 포아송비 특성 규명 (Evaluation of Characteristics of Shear Strength and Poisso's Ratio through Triaxial and Bender Element Tests)

  • 유진권;박두희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5호
    • /
    • pp.67-75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벤더엘리먼트가 장착된 삼축시험장비를 이용하여 모래에 대한 일련의 압밀배수시험을 수행하여 응력, 변형률, 그리고 전단파속도를 측정하였으며 이로부터 전단강도와 포아송비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전단파속도로부터 계산된 최대전단탄성계수와 파괴시의 축응력과 반경방향 응력의 합으로 정의되는 유효수직응력과는 고유한 상관관계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경험식은 전단파속도와 전단강도 그리고 마찰각간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므로 매우 유용하다고 판단된다.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측정된 축변형률과 체적변형률로부터 모래의 포아송비를 측정하였다. 포아송비는 변형률과 체적변화에 큰 영향을 받으며 0.15~0.6까지 변형률에 따라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0.2% 미만의 축변형률에서는 대략 0.25~0.4으로 기존 문헌에서 제시된 0.3~0.35를 크게 벗어나지 않지만 1% 이상의 변형률에서는 0.5~0.6으로 문헌에서 제시된 값은 포아송비를 크게 과소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