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ge-scale discount store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6초

화장품(化粧品) 점포선택행동(店鋪選擇行動)에 관(關)한 연구(硏究) - 백화점(百貨店)과 대형할인점(大形割引店)을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the Cosmetics Store Selection Behavior - Department Stores and Large-Scale Discount Stores -)

  • 선정희;유태순
    • 패션비즈니스
    • /
    • 제8권2호
    • /
    • pp.42-55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contents of department stores and large-scale discount stores of consumer on information source,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image in an effort to determine which variable gave a crucial impact on cosmetics department stores and large-scale discount stores selec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57 adult women visited department store and large-scale discount store in Busan.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ronabach $\alpha$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n department stores and large-scale discount stores of consumers. 2. Shopping Orientation of consumers were categorized into 5 types, and information source of consumers did 3 types, and store image of consumers did 5 types. 3. Leisure utilization, store & brand loyalty, store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massmedia information, product & operate on, store atmosphere & salesperson and shopping convenience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smetics department stores selection beavior. but convenient location, rationality & economy and sales promotion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smetics department stores selection beavior. 4. Rationality & economy and sales promotion ha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smetics large-scale discount stores selection beavior. but convenient location, leisure utilization, store & brand loyalty, massmedia information, product & operate on, store atmosphere & salesperson and shopping convenience had negative correlations with cosmetics large-scale discount stores selection beavior. 5. Age, income, business(-), convenient location(-), rationality & economy(-), leisure utilization, store & brand loyalty, store information, personal information, massmedia information, store atmosphere & salesperson, shopping convenience and sales promotion(-) had a direct effect on cosmetics department stores selection beavior. Age, income, marriage, educ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department stores selection beavior through information source and store image, and information source did through store image, and shopping orientation did through store image. 6. Rationality & economy, convenient location(-), leisure utilization(-), store & brand loyalty(-), buying independence(-), personal information, massmedia information(-), product & operate on(-), shopping convenience(-) and sales promotion had a direct effect on cosmetics large-scale discount stores selection beavior. Age, income, marriage, education had an indirect effect on large-scale discount stores selection beavior through information source, shopping orientation and store image, and information source did through store image, and shopping orientation did through store image.

대형 할인점 의류 PB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연구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Clothing PB(Private Brand) Preference of the Large-scale Discount Stores)

  • 신수연;홍정민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43-354
    • /
    • 2009
  •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intrinsic cues, extrinsic cues, private brands familarity, store loyalty) influencing clothing PB preference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and investigated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consumer's decision types. Questionaries were collected from 316 female customers in front of the discount stor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PSS 12.0 using T-test, correlation, regression analysis and cluster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the private brand preference were influenced by store loyalty and PB familiarity. Secondly, Differences are found according to the consumer's decision types. That is the price-conscions consumers regard store loyalty, PB familiarity, extrinsic cues, and PB preference more importantly than the value-conscious consumers.

한.일 대형할인마트 해외진출 전략 (Global Market Entry Strategies of Korea-Japan Discount Stores)

  • 김영;요시모토 코지;김장현;유성용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5권5호
    • /
    • pp.195-215
    • /
    • 2010
  • 최근까지 국내 유통산업 성장의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 온 대형할인마트 시장이 점차 업체들간의 치열한 출점경쟁에 따른 내수시장의 포화상태 및 수명주기단축 등 성장의 한계에 다다르게 되었다. 이러한 국내시장의 한계에 따라 대형할인마트들은 생존과 성장을 위해 해외 신규매장 진출, 혹은 해외 유통체인 인수, 그리고 단순 글로벌 출점뿐만 아니라 글로벌 소싱전략 등을 통한 다양한 해외시장 진출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시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존에는 유통선진국의 글로벌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후진국인 아시아지역 국가들에 선도적인 지위를 차지하며 진출을 해왔지만 1980년대 후반 이후 아시아 경제가 급성장하게 되면서 일본과 같은 동아시아 유통기업들의 아시아시장 진출이 시도되기 시작하였다. 중국을 필두로 해서 경제발전 속도에 비해 유통서비스산업 등이 상대적으로 선진화되지 못한 아시아시장은 서구선진국 글로벌 유통기업뿐만 아니라 일본, 한국 등 동아시아 국가들이 내수시장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탈출구로써 활발하게 진출이 행해지고 있는 시장이다. 이미 많은 유통기업들이 중국 등 아시아시장 진출과정에서 다양한 이유로 인해 성공과 실패를 경험하였다. 유통산업, 특히 대형할인마트의 아시아시장 진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후발국가라고 할 수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진출의 원인과 과정이 우리와 유사한 일본 대형할인마트의 해외진출 사례와 전략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대형할인마트의 성공적인 해외 진출을 위한 전략적 시사점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PDF

한국형 할인점의 서비스품질 측정 척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Korean -type Discountstore Service Quality Scales(KD-SQS))

  • 노은정;서용구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13권3호
    • /
    • pp.127-154
    • /
    • 2008
  • 본 논문은 고급화된 대형마트 즉 '한국형 할인점'이라는 독특한 업태 컨셉에 보다 적합한 서비스 품질 측정 적도를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반복적 FGI와 대형 할인점 방문 소비자 604명을 대상으로 정량적 리서치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형 할인점'의 서비스 품질은 본원적 혜택, 프로모션, 인적상호작용, 물리적 측면, 정책, 부가적 편의성의 총 6개 차원, 24개 항목으로 이루어진 측정모형이 도출되었다. 기존의 소매 서비스 품질의 대표적 측정 모형인 RSQS 측정모형과 비교해 보면 3가지 자원(인적상호작용, 물리적 측면, 정책)은 공통적이며, 나머지 차원에서 문제해결은 인적상호작용으로 통합되었으며, 신뢰성은 단일차원성이 결여되어 제거되었다. 특히 본원적 혜택은 할인점의 업태특성을 대표하는 성과품질로서 도출되었으며, 정책 자원은 '재방문 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서비스 품질 자원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수정, 보완된 측정도구는 한국형 할인점을 이용하는 고객의 최신 트랜드를 반영하여 업버전 하였다는 것이 그 특징이다. 그 결과 향후 소매 시장 포화상황에서 치열한 서비스 경쟁을 벌여야하는 한국의 대형마트와 기타 소매업체에 전략적 시사점을 주고 있다.

  • PDF

A Study on Competition Analysis in Retail Distribution Industry Using GIS in Seoul

  • YOO, Byong-Kook;KIM, Soon-Hong
    • 유통과학연구
    • /
    • 제19권3호
    • /
    • pp.49-60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s to utilize geographic data to analyze how various retail formats of large-scale stores around the traditional market affect the performance of the traditional market in Seoul, Korea.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The two types of catchment areas were demarcated (circle of 1km radius and Thiessen polygon) for each traditional market, and the large-scale stores located within each catchment area were identified for 153 traditional markets in Seoul, Korea. Additionall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tilized.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traditional market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tail format of the large-scale stores. Large discount store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sales and the visitors of traditional markets, whereas complex shopping malls and department stor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raditional markets.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e differences in the retail format such as product categories and leisure functions, the impact of some large-scale stores on the traditional market may have a greater agglomeration effect than the consumer churn effect.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in the regulation of these large-scale stores, the differences in retail format should be considered for the future.

대형할인점의 입지선정을 위한 의사결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cision Making for Location Selection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 심재헌;이성호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5D호
    • /
    • pp.705-712
    • /
    • 2008
  • 본 연구는 Fuzzy AHP기법을 의사결정의 방법론으로 이용하여 대형할인점의 입지선정을 위한 구조적이고 활용가능한 의사결정과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의 수행절차는 대형할인점의 입지선정을 위한 평가기준을 선정하여 평가기준간의 상대적인 가중치를 도출한 후, 사례대상지를 선정하고 입지를 실제로 평가하여 최적의 입지를 선정하는 두 단계로 구성된다. 평가기준간의 가중치에 있어서는 1차 상권인구가 가장 높은 가중치를 보였으며, 그 다음으로 경쟁업체수, 인접도로폭, 총인구수, 부지면적, 부지매입비의 순으로 가중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례대상지인 대형할인점 부지 6개소의 입지현황을 파악하고 입지를 평가하여 최적의 입지를 도출함으로써 본 연구가 제시한 의사결정과정이 실제사례에 적용가능함을 입증하였다.

대형마트/SSM 출점 및 영업규제 대응에 따른 상생모델방안 (Win-Win Model Strategy According to Regulation on Large-Scale Stores)

  • 박한혁
    • 한국프랜차이즈경영연구
    • /
    • 제3권2호
    • /
    • pp.79-102
    • /
    • 2012
  • 본 연구는 대형마트, 기업 형 슈퍼마켓 (SSM) 에 대한 출점 및 영업규제를 2009년 이전과 2009년 이후로 구분하여 연구하였다. 대형마트, 기업 형 슈퍼마켓 입장에서 영업 및 출점규제 법률시행에 따른 향후영향 및 대응 방안과 대안을 제시 하고자한다. 특히 2009년 이후 기업 형 슈퍼마켓의 출점 증가로 중소상인 보호를 위하여 유통법이 개정되어 출점과 영업규제 법률이 통과되고 조례제정을 통하여 규제가 현실화되었다. 이러한 법 개정이 외국사례와 국제법과 비교해서 그 타당성의 여부를 확인하고 향후방향을 제시했으며 실질적인 영세 상인임에도 오히려 과잉규제 대상이 된 프랜차이즈 슈퍼마켓 가맹점의 선의에 피해에 대한 법률적 구제방안도 제안하고자 한다. 본격적인 규제시행으로 유통업계는 해외진출 가속화, 유통업자 상표개발확대, 해외소싱상품 개발 등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을 강구하고 중소상인과 대기업간의 상생모델인 프랜차이즈 가맹사업으로 사업방향을 전환하여 실질적인 상생협업모델을 추진하고 상생협력도 구축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을 추구해야한다.

GIS와 도로연결성을 이용한 대형할인점 상권의 공간적 범위 설정 방법 (Methodology of the Spatial Boundary Determination for Trade Area of Large-scale Discount Stores Using GIS and Road Connectivity)

  • 이용익;홍성언;박수홍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8권1호
    • /
    • pp.11-17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상권분석의 정확도와 신뢰성 향상을 위해 대형할인점을 사례로 원형의 상권 범위 설정이 아닌 GIS와 도로의 연결성을 이용하여, 접근성이 고려된 현실성 있는 상권의 공간적인 범위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선행 연구에서 빈번하게 이용되는 원형의 상권은 접근을 방해하는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도 상권의 공간적인 범위에 포함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 제안한 방법을 적용하여본 결과, 장애물이 배제된 실질적인 접근성의 고려로 보다 현실적인 상권의 공간적인 범위 설정이 가능하였다.

대형할인점의 중소도시 진입에 따른 소매점 유통경쟁구조 분석 (A Study on the Retail Competitive Structure When a Large Discount Store Enters Small Cities)

  • 박성용
    • 한국유통학회지:유통연구
    • /
    • 제7권2호
    • /
    • pp.21-44
    • /
    • 2003
  • The entry of large discount stores into small cities such as Choonchun or Wonju have had a profound impacts on the businesses of small-sized retailers. The impacts of the entry by large discount store will be much larger than those of the entry by department store or other small-scale retailers. Most of research studies on the competitive retail structure focused on the change of retailing in the advanced countries dynamically and investigated macro-trends in sales and market share. As a result, they tend to overlook the micro aspects of consumers" perception and actual behaviors. Furthermore, they tend to limit their research scopes to relatively competitive retailers not to overall competitive structures. In this study, we analyze the overall competitive structures by investigating the retailers" characteristics, perceptions of consumers on retailers and actual purchase of products across different types of retailers We could obtain competitive retail structure. Based on that, we discuss the strategies on the revitalization and enhancement of small-sized retailers" productivities.

  • PDF

국내 대형할인점의 복합화에 따른 유형과 시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ype and the Facilities in Compositeness of the Domestic Discount Store)

  • 문선욱;양정필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41호
    • /
    • pp.137-145
    • /
    • 2003
  • This research analyzed the space scheme in connection with complexity, one of the new changes in the discount stores, and has a goal of predicting the direction of space scheme in the upcoming complexity era.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the following way. Firstly, this researcher tried to grasp what kinds of changes were required in the overall distribution industry socially and economically. Secondly, the characteristic and situation of discount stores were scrutinized. Thirdly, the domestic stores' complexity status was classified and types of those were elicited. Fourthly, the time-series change and use were analyzed. The result of this analysis reveals that the types of complexity can be divided by location and adjustment to environmental changes. The time-series analysis shows that total operating area, the number of parked cars and the tenant ratio have increased dramatically in 2000 and 2003. And,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factors, the tenant ratio has, a strong correlation with other two factors. Self-complexity takes the basic form of living facilities and complexity with other facilities is combined with other cultural, sales,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ones. Mass-complexity is merged with the stadiums, parks or station sites. As you've seen, the concept of complex shopping mall for the realization of one stop shopping and convenience will continue in the days to come. It is desirable that the study on the large-scale shopping spaces will be conducted continually for the preparedness of future life sty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