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ser printers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5초

위너 필터와 명암도 동시발생 행렬을 통한 컬러 레이저프린터 포렌식 기술 (Color Laser Printer Forensics through Wiener Filter and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 이해연;백지연;공승규;이흥수;최정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7권8호
    • /
    • pp.599-610
    • /
    • 2010
  • 고성능 디지털 인쇄기기의 대중화와 손쉬운 이미지 편집 프로그램들의 등장으로 인하여 위 변조 범죄가 증가함에 따라 여러 가지 사회적인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디지털 포렌식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디지털 포렌식 기술의 한 분야인 컬러 레이저 인쇄기기 판별기술을 제안한다. 각 제조사마다 인쇄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육안으로 판별할 수 없는 미세한 차이가 출력물에 존재한다는 점을 이용하였다. 출력물의 노이즈를 추정하여 이러한 미세한 차이를 분석하였으며,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출력물을 스캔한 이미지에 대해 위너필터를 거쳐 노이즈를 제거한 이미지를 차감하여 노이즈를 추출한다. 계산된 노이즈 대해 명암도 동시발생 행렬을 계산하여 특징값들을 추출한 뒤 이를 서포트 벡터 머신 분류기에 적용하여 인쇄기기를 판별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7대 프린터에서 각 371장씩 출력된 총 2,597장 이미지로 실험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은 컬러 디지털 인쇄기기의 제조사를 판별하는데 있어서 97.6%의 정확률을 보였고, 동일 제조사의 모델을 판별하는데 84.5%의 정확률을 나타냈다.

컬러 레이저 프린터에서 검출되는 Yellow Dots의 특성 : HP 컬러 레이저 프린터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 of Yellow Dots that detected on Color Laser Printer)

  • 최영호;이덕호;윤영미;홍현식;신종연;윤기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639-646
    • /
    • 2012
  • 본 논문에서는 HP 컬러 레이저 프린터 기기의 출력물에 나타나는 Yellow Dots의 형태를 분석하고자, 각각 시간의 경과, 연과 월의 경과 그리고 동일한 기종에 따른 Yellow Dots의 특성을 실험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프린터기기의 출력물에서는 시간의 경과, 연과 월의 경과에서 나타나는 Yellow Dots의 형태가 동일한 것을 알 수 있었다. HP 컬러 레이저젯 프린터 기기에는 Xerox사에서 출시된 컬러 레이저젯 프린터기기와는 다르게 시간과 날짜 정보가 임베딩 되지 않았다는 것을 가정 할 수 있었다. 또한 시리얼 넘버가 다른 프린터기기에서는 유사하지만 다른 형태의 Yellow Dots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이것은 프린터기기 구분에 있어 큰 도움이 된다. 마지막으로 실험에 사용된 모든 HP 컬러 레이저 프린터 기기들의 Yellow Dots를 분석한 결과, 동일한 패턴을 찾을 수 있었으며, 그 결과를 통하여 제조사를 파악 할 수 있었다. 향후 Yellow Dots 패턴을 해독하고 나아가 타 제조사의 Yellow Dots를 검출 및 분석하는 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한다.

사무용기기에서 발생되는 미세입자 측정 및 분석방법 연구 (Particle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of Ultrafine Particles from Laser Printer)

  • 이경환;김선만;안강호
    • 한국입자에어로졸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23-129
    • /
    • 2010
  • As the indoor activity increases in recent years, the indoor air quality becomes more important. One of the major contaminants in office space is the copy machines and the laser based printers. These devices usually emit nano-particles and chemical species that may give some health effect. The amount of particles generated by the printers and copy machines depend on printer models, printing speed, toners, papers, humidity and so on. To evaluate the emission rate of nano-particles from Laser Printers, the mass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has been used (BAM, 2004). However, the mass concentration measurement method for nano-particles is tedious and time consuming. Therefore,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nano-particle counting method, the nano-particle emission characteristics and size distributions are evaluated.

Development of Hybrid Induction Heating System for Laser Printer

  • Chae Young-Min;Kwon Joong-Gi;Han Sang-Yong;Sung Hwan-Ho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6권2호
    • /
    • pp.178-185
    • /
    • 2006
  • Recently,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high quality and high-speed laser printers and efficient power utilization has required. Among complicated electro-mechanic devices in laser printers, the toner-fusing unit consumes above 90[%] of all electrical energy needed for printing devices.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a more effective energy-saving toner fusing process becomes a significant task in great demand. Generally, there are several ways to implement a fusing unit. Among them this paper presents a new induction heating method. The proposed induction heating method enables the increase of coupling coefficient between heating coil and heat roller which also increases total energy transfer efficiency. Therefore, the proposed IH (Induction Heating) inverter system provides very fast W.U.T. (Warm UP Time) as well as higher efficiency. Through experimental results, the proposed control system is verified.

이산 웨이블릿 변환과 명암도 동시발생 행렬을 이용한 컬러 레이저프린터 판별 알고리즘 (Color Laser Printer Identification through Discrete Wavelet Transform and Gray Level Co-occurrence Matrix)

  • 백지연;이흥수;공승규;최정호;양연모;이해연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7B권3호
    • /
    • pp.197-206
    • /
    • 2010
  • 고성능 저가의 디지털 인쇄기기의 출현으로 불법적인 위변조가 사회적인 문제로 대두되고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디지털 포렌식 기술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컬러 디지털 인쇄기기를 판별하기 위한 디지털 포렌식 기술을 제안한다. 컬러 디지털 인쇄기기는 제조사마다 인쇄방법이 다르기 때문에, 출력물에 작은 차이가 존재한다. 이와 같은 차이점을 활용하면, 임의의 주어진 출력물에 대해 어떠한 인쇄기기로 출력되었는지 구별이 가능하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차이점을 구별하기 위하여 출력물을 스캔한 디지털 이미지에 대해 이산 웨이블릿 변환을 수행하여 계산한 고주파 영역을 추출한다. 이에 대해 명암도 동시발생 행렬을 계산한 후에 행렬 데이터의 표준편차, 첨도, 왜도, 공분산, 상관계수의 특징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특징을 서포트 벡터 머신 분류기에 적용하여 디지털 인쇄기기를 판별하였다.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분석하기 위하여 총 2,597장 이미지와 7대 프린터(HP, Canon, Xerox DCC400, Xerox DCC450, Xerox DCC5560, Xerox DCC6540, Konica)를 가지고, 기존 알고리즘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제안한 알고리즘은 컬러 디지털 인쇄기기를 판별하는데 있어서 평균 96.9% 정확률을 보였다.

폴리곤 미러를 이용한 3D 프린터 기구부 동작 테스트 (The Test of Mechanism Operation for 3D Printer Using Polygon Mirror)

  • 권동현;허성욱;임지용;오암석;김완식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6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35-73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SLA 방식의 3D 프린터 사출방식과 사무용 레이저 프린터의 LSU(Laser Scanning Unit)를 융합한 폴리곤 미러 스캐닝 방식의 3D프린터에 대해 핵심이 되는 기능인 기구부 동작에 따른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이러한 테스트는 레이저 동작 및 제어가 가능한지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레이저 모듈과 폴리곤 미러를 사용하여 X축에 일정한 점이 출력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레이저를 고정된 F-theta 렌즈에 입사한 후 보정된 빔의 출력을 확인하고 보정된 빔을 반사 거울에 맞춰 Z축 상판에 초점이 맞춰지는지를 확인하였다.

  • PDF

탠덤 방식 컬러 레이저 프린터의 이미지 향상 방법 (Improving Image Quality Method in Tandem-type Color Laser Printers)

  • 심동국;김성대;우상범;정기철;김헌주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1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8-140
    • /
    • 2014
  • The image quality of the color laser printer is highly related with the motion quality of actuators. However, the high precision system requires high production costs in general. The proposed design method in this paper improves image quality without increasing production costs. Using the synchronization method, time gap between exposure and transfer in organic photo conductive (OPC) drum and the period of driving gear revolution are synchronized. The proposed method is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s and experiment, and showed by printed images.

  • PDF

3D 콘크리트 프린터 분류체계 비교연구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lassification System for Three-Dimensional Concrete Printers)

  • 정지훈;이강;김정훈;최재진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3-1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3D 콘크리트 프린터의 분류체계를 검토하고 비교분석하여 3D 콘크리트 프린터의 분류체계를 제안하는 것이다. 기존의 3D 프린터에 대하여 여러 분류체계가 제안되어 왔고, 관련 시장에서는 이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당히 많은 종류의 프린터가 FDM(Fused Deposition Modeling)이나 SLM(Selective Laser Melting)처럼 3D 콘크리트 프린터를 특징짓는데 적절하지 않다. 3D 콘크리트 프린터 간에 구분 짓는 특징을 밝히기 위해서, 본 연구는 기존의 3D 콘크리트 프린터를 검토하고 기존 연구에서 확인된 3D 콘크리트 프린터의 특징을 비교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분류체계는 최신 3D 콘크리트 프린터를 반영하지 못하였고, 분류 용어들은 모호하며, 전체 출력과정은 고려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연구 분석을 통하여 3D 콘크리트 프린터의 필수적인 특징들을 도출함으로써, 새 분류체계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3D 콘크리트 프린터 관련 연구들뿐만 아니라, 상업용 3D 콘크리트 프린터들을 분류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LSU를 이용한 SLA 방식의 3D프린터 설계 및 스캐닝 기구부 동작 테스트 (Design of 3D Printer Based on SLA Using LSU and Test of Scanning Mechanism)

  • 장민;오암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6호
    • /
    • pp.1225-1230
    • /
    • 2017
  • 3D 프린터는 산업용을 중심으로 성장해 왔으나 최근 경제 효과 및 기술 발달로 인한 원가 절감 등으로 인해 개인용 3D 프린터 시장의 성장이 가속화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현재 보급되고 있는 3D 개인용 프린터는 조형 속도, 크기, 정밀도 등의 한계점에 따라 소비자 만족도가 매우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개인용 3D 프린터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LSU를 이용한 SLA 방식의 3D 프린터를 제안하였다. 그리고 핵심 기능을 담당하는 스캐닝 기구부의 동작을 확인하기 위해 스테핑 모터를 이용한 조형판의 이동 및 레이저 출력 테스트를 시행하였다. 해당 테스트를 통해 레이저 동작 및 제어가 가능한지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레이저 모듈과 폴리곤 미러를 사용하여 X축에 일정한 점이 출력됨을 확인하였다. 제안하는 3D프린터는 정밀도와 제조 속도를 개선하여 기존의 보급 형 3D프린터를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