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wood proportion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2초

뉴질랜드산(産) 라디에타 소나무의 기계적(機械的) 성질(性質)에 관(關)한 연구(硏究)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New Zealand-grown Radiata Pine)

  • 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4권3호
    • /
    • pp.12-17
    • /
    • 199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ome mechanical properties for wood rational utilization of heartwood and sapwood in radiata pine according to basic density, ring width and proportion of latewood which were grown in New Zealand. This result were summarized as follow: Heartwood showed 35.78(MPa) of the compression strength parallel to the grain while sapwood showed 42.08(MPa). The modulus of rupture in static bending was higher in sapwood showing 86.12(MPa) than in heartwood 72.99(MPa) Heartwood had 7.38(GPa) for the modulus of elasticity in static bending and sapwood 8.17(GPa). As the basic density and proportion of latewood increased: compression strength parallel to the grain, MOR and MOE in static bending had a tendency to increase. As ring width increased, the mechanical properties decreased.

  • PDF

생장지역별 소나무재의 물리적·역학적 특성과 상호 상관관계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Korean Red Pine Wood from Different Growth Sites and Correlations between Them)

  • 한연중;이현미;엄창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5호
    • /
    • pp.695-704
    • /
    • 2016
  • 충청북도 태안군 안면도와 경상북도 울진군 소광리 지역 소나무재의 물리적 특성과 역학적 특성을 측정하고, 상호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두 지역의 5영급과 9영급 소나무에서 생장코어를 채취하여 방사방향의 연륜폭과 만재율을 측정하였다. 두 지역 모두에서 연륜폭은 수에서 수피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전체 평균 연륜폭은 안면도 지역에서 5영급과 9영급이 각각 2.865 mm, 1.705 mm이고, 소광리 지역에서 5영급과 9영급이 각각 4.764 mm, 2.228 mm로 안면도 지역의 값이 소광리 지역에 비하여 약 23-40% 정도 작았다. 두 지역 모두 연륜폭이 증가함에 따라 만재율은 감소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강도측정용 시험편에 대하여 소나무재의 물리적 특성과 역학적 특성의 상관관계를 단순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만재율과 전건밀도는 서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만재율과 역학적 특성은 안면도 소나무재의 휨강도 시험편을 제외하고,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전건밀도와 역학적 특성은 두 지역 모두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소광리 지역 시험편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안면도 지역의 소나무재의 평균 압축강도와 휨강도는 각각 51.3 MPa와 80.5 MPa로 소광리 지역의 평균 압축강도와 휨강도 37.7 MPa와 63.7 MPa에 비하여 크게 측정되었다. 두 지역 간의 강도 차이는 생장조건의 차이도 있지만, 영급에 의한 연륜폭과 만재율 등의 차이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국산참나무 아속(亞屬) 주요 수종의 해부학적 성질과 휨강도와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Bending Strength in Major Species of Korean Lepidobalanus)

  • 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9-17
    • /
    • 1999
  • 목재의 강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다양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국산 참나무 아속 주요수종인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를 대상으로 해부학적 특성과 휨강도와의 관계를 규명하여 참나무 아속의 합리적인 이용방안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었다. 해부학적 특성가운데 휨강도에 가장크게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굴참나무는 $1mm^2$ 당 만재 관공의 수, 갈참나무와 신갈나무는 microfibril 경사각, 졸참나무는 목섬유의 길이, 상수리나무는 단열 방사조직 높이였다.

  • PDF

참나무 아속(亞屬) 주요 수종의 조직적 성질과 종압축강도와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Anatomical Characteristics and Compression Strength Parallel to Grain in Major Species of Lepidobalanus)

  • 오승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6권1호
    • /
    • pp.63-69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et some basic information on mechanical properties of Korea Lepidobalanus for rational utilization of wood. Five species of Quercus variabilis, Q. aliena, Q. serrata, Q. mongolica, Q. acutissima belong to Lepidobalanus were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Relationship of anatomical characteristics to compression strength parallel to grain was analyzed using stepwise regression technique. All possible combination of 21 independent variables were regressed on compression strength parallel to grain. The summarized result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I. In the proportion of wood structural elements, the factors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compression strength parallel to grain appeared to be proportion of ray in earlywood in Q. variabilis and Q. acutissima, proportion of wood fiber in latewood in Q. aliena and Q. serrata and proportion of vessel in earlywood in Q. mongolica respectively. 2. In the size of wood element and its structure, the factors that had the greatest influence on compression strength parallel to grain were microfibril angle in Q. variabilis, Q. serrata and Q. mongolica and length of wood fiber in Q. aliena and Q. acutissima.

  • PDF

목재(木材)의 경도(硬度)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ardness of Woods)

  • 홍순일;이원용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8권1호
    • /
    • pp.21-33
    • /
    • 1992
  • 우리나라의 주요(主要)한 경제적(經濟的) 수종(樹種)이고 조림수종(造林樹種)인 잣나무 낙엽송 및 전나무재(材)등의 침엽수와 참나무재(材)인 활엽수에 대(對)해 목재(木材)의 합리적(合理的)인 이용(利用)을 도모하고 재질(材質)을 평가(評價)하기 위한 자료를 얻기위해 본대학(本大學) 연습림(演習林)의 인공(人工) 조림지(造林地)에서 생육(生育)한 공시목(供試木)을 선정 벌채하여 목재(木材)의 경도(硬度)를 측정(測定)한 다음 이들 수종(樹種)에 대한 수종별(樹種別), 단면별(斷面別), 변(邊) 심재별(心材別), 조(早) 만재별(晩材別) 경도(硬度)의 출현상태(出現狀態)와 목재(木材)의 비중(比重), 연륜폭(年輪幅) 및 함수율(含水率)과 경도(硬度)와의 상관관계를 조사(調査)하였으며 이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일반적으로 목재(木材)의 경도(硬度)는 비중(比重)의 크기에 따라 커지는 경향(傾向)이 있으며 그 경도(硬度)의 크기의 순은 굴참나무>낙엽송>잣나무>전나무의 순위(順位)였다. 2) 목재(木材)의 경도(硬度) 횡단면(橫斷面)에서 가장 크며 정목면경도(柾木面境度)($H_L$)에 대한 기단면경도(棋斷面硬度)($H_H$)와의 비(比)는 잣나무 3.8, 굴참나무 2.8, 낙엽송 2.6으로서 비중(比重)이 커질수록 양자(兩者)의 차이(差異)는 감소(減少)되었다. 3) 변재도(邊材都)와 심재부(心材部)의 경도(硬度)의 차이(差異)는 수종(樹種)에 따라 다르나 전체적(全體的)인 면(面)에서 관찰하면 심재부(心材部)가 변재부(邊材部)의 경도(硬度)보다 다소 크게 출현(出現)되고 있다. 그러나 굴참나무에서는 변재부(邊材部) 경도(硬度)가 약간 더 컸다. 4) 일반적(一般的)으로 일년륜내(一年輪內)에서의 만재부(晩材部)의 경도(硬度)가 조재부(早材部) 보다 더 크며 조재부(早材部) 경도(硬度)($H_E$)에 대(對)한 만재부(晩材部) 경도(硬度)($H_L$)와의 비(比)는 비중(比重)이 클수록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 있다. 5) 목재(木材)의 비중(比重)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그 경도(硬度)는 점차 커지는 비례적인 관계(關係)가 있다. 그러나 그 경도(硬度)가 증대(增大)되는 정도(程度)는 단면(斷面)(가압면(加壓面))에 따라 다소(多少) 다르게 횡단면(橫斷面) 경도(硬度)가 다른 단면(斷面)보다 급진적인 경향(傾向)이 있다. 6) 전체적(全體的)으로는 목재(木材)의 연륜폭(年輪幅)이 넓어짐에 따라 경도(硬度)는 점차 감소되는 경향(傾向)이 있다. 그러나 그 감소(減少)되는 정도(程度)는 단면(斷面)에 따라 다소(多少) 다르며 횡단면(橫斷面)의 경도(硬度)에서는 뚜렷이 감소(減少)되지만 종단면(縱斷面)에서는 뚜렷치 못하다. 7) 목재(木材) 경도(硬度)는 전건상태(全乾狀態)에서 가장 크며 함수율(含水率)이 증가(增加)되면 경도(硬度)는 점차 감소(減少)된다. 그러나 F. S. P 이상(以上)에서는 거의 일정(一定)하다. 생재시(生材時)의 경도(硬度)에 대(對)한 전건시(全乾時)의 경도(硬度)와의 비(比)는 단면(斷面)에 따라 다르며 횡단면(橫斷面) 3.0, 정목면(柾木面): 2.4, 판목면(板木面): 1.9로서 경도(硬度)가 증가(增加)되는 순위는 횡단면(橫斷面)>정목면(柾木面)>판목면(板木面)의 순이다.

  • PDF

섬잣나무(Pinus parviflora S. et Z.) 지재의 압축이상재, 측면재, 대응재에 관한 해부학적 특성 비교 (Anatomical Comparison of Compression, Opposite, and Lateral Woods in a Branch of Pinus parviflora S. et Z.)

  • 허광수;엄영근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3권1호통권129호
    • /
    • pp.38-47
    • /
    • 2005
  • 본 연구는 섬잣나무(Pinus parviflora S. et Z.) 지재에 발달되어 있는 압축이상재, 측면재 및 대응재의 조직학적 특성을 광학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비교, 검토하였다. 조재로부터 만재로의 가도관 이행은 압축이상재가 측면재나 대응재보다 상대적으로 더 점진적이었다. 그리고 연륜폭과 만재율은 압축이상재가 측면재 혹은 대응재보다 큰 경향을 보였다. 횡단면상 만재 가도관의 형상에 있어 정방형 내지 다각형을 나타내는 측면재 및 대응재와는 달리 압축이상재는 원형을 나타냈다. 세포간극, 나선강, 나선째짐 및 슬릿형 벽공구는 압축이상재에만 발달하였다. 그러나 우상층은 측면재 및 대응재뿐만 아니라 압축이상재 가도관에서도 모두 관찰되었다. 압축이상재의 교분야벽공은 정상적인 창상형 벽공이 아니라 심한 변형을 통해 편백형 내지 삼나무형 벽공을 나타내기 때문에 식별 인자로 이용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방추형방사조직의 폭과 높이는 압축이상재가 측면재 및 대응재의 것보다 넓고 낮은 모습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압축이상재의 해부학적 특징은 측면재나 대응재와 상이한 특성을 나타냈으나 대응재와 측면재 사이에는 해부학적 차이가 거의 없었다.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해부학적, 물리·역학적 특성 비교 (Comparison of Cellular Anatomical,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Between Dahurian Larch and Japanese Larch)

  • 한연중;김민지;이현미;강진택;엄창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525-534
    • /
    • 2017
  •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종 구분을 위하여 해부학적 특성을 관찰하고, 재질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연륜폭, 가도관 길이, 밀도, 강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수간해석와 시험편 채취를 위하여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 지역에서 생장한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를 경급별(대 중 소)로 1본씩 선발하여 벌채하였다.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평균 수령은 각각 74년, 51년, 평균 흉고지름은 각각 442 mm, 352 mm, 평균 수고는 각각 26.1 m, 20.8 m이었다. 두 수종의 수목해부학적 차이는 나선비후가 잎갈나무에 존재하지 않지만, 일본잎갈나무의 방사가도관에 드물게 존재한다는 점이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잎본잎갈나무의 방사단면에서 나선비후가 발견되지 않았다. 수고 1.2 m의 원판에서 측정된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의 연평균 직경생장은 각각 5.167 mm, 5.954 mm로 일본잎갈나무의 생장이 잎갈나무에 비하여 우수하였다. 강도측정을 위한 시험편의 물리적 특성에서 연평균 직경생장이 작은 잎갈나무가 일본잎갈나무에 비하여 만재율과 전건밀도가 크게 측정되었다. 역학적 특성은 잎갈나무가 일본잎갈나무에 비하여 2 - 7% 크게 측정되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축적된 자료는 향후 수행될 DNA 분석을 통한 잎갈나무와 일본잎갈나무 종 구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