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xity

검색결과 159건 처리시간 0.024초

다중프로세서 시스템을 위한 여유시간 기반의 온라인 실시간 스케줄링 알고리즘 (A Laxity Based On-line Real-Time Scheduling Algorithm for Multiprocessor Systems)

  • 조규억;김용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A
    • /
    • 제16A권6호
    • /
    • pp.437-442
    • /
    • 2009
  • 마감시간을 기준으로 스케줄링하는 EDF (Earliest Deadline Fisrt) 알고리즘이나 여유시간을 기준으로 스케줄링 하는 LLF (Least Laxity First) 알고리즘과 같은 기존의 방식들은 다중프로세서 시스템에서는 스케줄링 성공률이 급격히 낮아지거나 문맥교환 획수가 지나치게 높아 현 실적인 적용에 무리가 있다. 이 둘을 적절히 조합하여 성능을 개선한 것으로서 EDZL (Earliest Deadline Zero Laxity)은 EDF를 기본으로 하고 여유시간이 0에 도달한 태스크에 대해서는 우선적으로 실행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본 논문에서는 LLF와 같이 최소 여유시간의 태스크를 우선 적으로 실행하되 문맥교환은 여유시간이 0에 도달한 태스크가 발생할 경우에만 이루어지도록 한 LLZL (Least Laxity Zero Laxity)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시뮬레이션 평가결과 LLZL은 준최적으로 알려져 있는 LLF에 근접한 높은 스케줄링 성공률을 보이면서도 문맥교환 오버헤드는 EDF 와 비슷한 낮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EDZL과의 비교에 있어서도 스케줄링 성공률, 문맥교환 횟수 두 가지 측면 모두 나은 성능을 보인다.

안면주름과 안면이완 개선을 위한 매선요법 시술 방법 고찰과 제안 (Narrative Review and Propose of Thread Embedding Acupuncture Procedure for Facial Wrinkles and Facial Laxity)

  • 윤영희;김태열;임태정;황용호;최인화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19-133
    • /
    • 2015
  • Objective : Thread embedding acupuncture has become popular as a minimally invasive treatment for facial wrinkles and laxity. However, there is little published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This study is to developing a specific procedure of thread embedding acupuncture for facial wrinkles and laxity. Method : We reviewed and summarized 6 studies on thread embedding acupuncture for facial wrinkles and laxity. And, four practitioners who have more than four year of clinical experience and one hundred of cases were participated in developing a thread embedding acupuncture procedure for facial wrinkles and laxity. Result and conclusion : We developed a thread embedding acupuncture procedure for facial wrinkles and laxity which consists of correction of lower jaw, facial laxity, nasolabial fold and eye wrinkles.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문맥교환을 줄이기 위한 변형된 LLF 스케줄링 알고리즘 (A Modified Least-Laxity First Scheduling Algorithm for Reducing Context Switches on Multiprocessor Systems)

  • 오성흔;길아라;양승민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30권2호
    • /
    • pp.68-77
    • /
    • 2003
  • 최소 여유시간 우선(Least-Laxity First, LLF)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작은 여유시간을 가진 태스크가 높은 우선순위를 갖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으로써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최적이고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준최적으로 증명되었다. 그러나 이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여유시간 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태스크 간에 빈번한 문맥교환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어 실용적이지 못하다. 본 논문에서는 과도한 문맥교환을 일으키는 LLF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을 위한 MLLF/MP(Modified Least-Laxity First on Multiprocessor)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MLLF/MP는 태스크의 여유시간 역전이 발생하더라도 마감시간을 놓치지 않는 범위에서 태스크를 연속적으로 수행시킴으로써 빈번한 문맥교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MLLF/MP 또한 다중 프로세서 시스템에서 준최적임을 증명한다. 모의 실험 결과를 통하여 MLLF/MP는 LLF보다 적은 스케줄링 오버헤드를 가짐을 보인다.

여성 호르몬이 무릎의 느슨함(laxity)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male Hormone on Knee Joint Laxity)

  • 박상균
    • 한국운동역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9-106
    • /
    • 2009
  • 연구의 목적은 여성 호르몬 변화가 무릎의 느슨함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연구가 실시되었다. 23명의 여성피험자들이 본 실험에 참여하였다. 각 피험자의 호르몬 주기 중에 세 차례에 걸쳐 에스트라디올과 프로제스트론을 혈액들 통해서 산출되었다. 첫 번째 측정은 호르몬주기의 초기 중 3일과 7일 사이에, 두 번째 측정은 배란측정기를 통해서 에스트로겐의 최고치 측정 후 24시간에서 48시간 후인 배란기에 실시되었다. 세 번째 측정은 28일의 평균 호르몬주기를 기준으로 두 번째 측정 후 약 7일이 지난 후에 실시되었다. 무릎 관절의 느슨함 정도가 측정기기(KT-2000)를 통해서 호르몬 수치와 함께 동시에 측정되었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서 호르몬의 수치와 무릎의 느슨함 정도가 각 시기별로 비교되었다. 호르몬의 수치들은 세 차례의 시기 간에 차이가 있었다. 무릎의 느슨함은 각각 호르몬 배란기 동안에 증가를 나타내었다. 다중 회귀방정식을 통해서 20lb좌 30lb의 부하 수준에서 77.9%에서 80.9%4의 예측수준을 나타내었고 두 호르몬 간에 관계가 관절의 느슨함에 상호 상쇄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호르몬의 수치가 무릎의 느슨함을 적절하게 예측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개인의 호르몬 수치의 프로파일을 통해서 관절의 느슨함과 같은 관절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통해서 스포츠 상황에서의 관절상해에 관한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겠다.

견관절 다방향 불안정성의 하방 관절낭 이동술에 대한 중간 추시 결과 (The Mid-term Results of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for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of the Shoulder)

  • 이용걸;조창현;이재훈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3권1호
    • /
    • pp.1-9
    • /
    • 2000
  • Purpose: To report the mid-term results of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for the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and to analyze whether the bilateral laxity, the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and the voluntary instability can influence upon the final outcome. Material and Method: We reviewed 95 patients with 96 shoulders treated by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for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through an anterior approach. In total, 49 shoulders(51%) showed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56 shoulders(58%) bilateral laxity, and 65 shoulders(68%) voluntary subluxation. Mean follow-up was 27 months(11-60 months). Result: The final Rowe score was 75 points in patients who had had at least one of the bilateral laxity,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or the voluntary subluxation and 84 points without any of these in each element. Seventy-five percent of the bilateral laxity and 87% of the unilateral instability continued to function well without any pain and instability postoperatively. Those with a voluntary(74%), those with an involuntary instability(83%), those with a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73%) and without laxity(84%) could do well a daily living activity without instability Eighty-six percent who had had the voluntary instability was eliminated completely the voluntability. Eighty-four percent of the patients stated that they were subjectively satisfied with the status of their shoulder. Nine shoulders(9.4%) had recurrence of symptomatic and disabling instability and theses patients had had at least voluntary instability preoperatively. Seven patients(7.3%) suffered from the stiff shoulder after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Conclusion: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in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provided satisfactory results both in objective and subjective terms. Nonetheless, a patient who has a bilateral laxity, a generalized ligamentous laxity or a voluntary instability could be expected less favorable results compared to those with neither of these. A careful selection of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for the multidirectional instability is needed before surgery. But our results suggests that a voluntary instability is not always poor candidate for the inferior capsular shift procedure.

  • PDF

Earliest Virtual Deadline Zero Laxity Scheduling for Improved Responsiveness of Mobile GPUs

  • Choi, Seongrim;Cho, Suhwan;Park, Jonghyun;Nam, Byeong-Gyu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17권1호
    • /
    • pp.162-166
    • /
    • 2017
  • Earliest virtual deadline zero laxity (EVDZL) algorithm is proposed for mobile GPU schedulers for its improved responsiveness. Responsiveness of user interface (UI) is one of the key factors in evaluating smart devices because of its significant impacts on user experiences. However, conventional GPU schedulers based on completely fair scheduling (CFS) shows a poor responsiveness due to its algorithmic complexity. In this letter, we present the EVDZL scheduler based on the conventional earliest deadline zero laxity (EDZL) algorithm by accommodating the virtual laxity concept into the scheduling.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EVDZL scheduler improves the response time of the Android UI by 9.6%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CFS scheduler.

Modified Robert-Jones Bandage Application to a Pointer Puppy with Carpal Laxity Syndrome

  • Yoo, Saejong;Lin, Chihfeng;Kim, Dae-Hyun;Chung, Hyo-Jin;Suh, Hyun Jung;Lee, Changsun;Kim, Hwi-Yool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60-62
    • /
    • 2018
  • A 5-month-old, intact female pointer weighing 13 kg was referre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f bilateral thoracic limb hyperflexion without trauma. After physical and radiographic examination, carpal laxity syndrome was diagnosed. A modified Robert-Jones bandage was applied and cage rest, including general puppy food, was prescribed for 3 weeks. The patient acquired normal gait with weight bearing, with non-remarkable findings on radiographic examination. The modified Robert-Jones bandage was sufficient to treat carpal laxity syndrome in this case.

ATM망에서 다중등급 통화유량 처리를 위한 동적 우선순위 스케쥴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ynamic Priority Scheduling for Multiple Class Traffic in ATM Network)

  • 정상국;진용옥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2호
    • /
    • pp.279-287
    • /
    • 1993
  • 본 논문은 다중등급의 통화유량에 대해 효율적인 처리를 위하여 동적 우선순위 스케쥴링이 가능한 2중이완성 한계치를 갖는 최소이완성한계 (Minimum Laxity Threshold:MLT)알고리즘과 2중 대기행열 한계치를 갖는 대기 행열간격한계(Queue Length Threshold QLT)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한 알고리즘의 성능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 실시간서비스 중 지연민감도가 다른 2개 등급 이상의 통화유량 처리시2중 이완성 한계치를 갖는 MLT알고리즘을 적용함으로써 MLT알고리즘 자체보다 처리 효율성이 개선됨을 확인하고, 또2개 등급 이상의 비실시간 통화유량에 대해서는 2중 대기행열 한계치를 갖는 QLT알고리즘이 QLT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멀티 프로세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여유시간 예측에 의한 저전력 태스크 스케줄링 (An Energy-Efficient Task Scheduling Algorithm for Multi Processor Embedded System by Laxity Estimation)

  • 서범식;황선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5권11B호
    • /
    • pp.1631-1639
    • /
    • 2010
  • 본 논문은 멀티프로세서 임베디드 시스템에서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태스크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전력과 태스크간의 의존성에 의해서 발생하는 통신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스케줄링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듬은 기존 알고리듬에서는 통신비용은 고려하였으나 스케줄링 단계에서는 동적 전력 관리 결과를 고려하지 않는 점을 보완하여 스케줄링 단계에서 여유시간(Laxity) 사용을 예측하여 동적 전압 관리의 효율을 높이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를 통해 복잡한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에 동적 전력 관리를 적용하여 수행 시 에너지 효율을 높였다. 실험 결과 멀티미디어 어플리케이션인 HD MPEG4, MotionJPEG codec, MP3, Wavelet 프로그램을 멀티프로세서 환경에서 제안된 알고리듬을 이용하여 저전력 스케줄링 결과 기존 방식에 비해 평균 11.2%의 에너지 감소를 얻었다.

다중처리기 시스템에서 데드라인과 여유시간을 통합한 실시간 스케줄링 기법 (Integrating Deadline with Laxity for Real-time Scheduling in Multiprocessor Systems)

  • 조성제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9권11호
    • /
    • pp.611-621
    • /
    • 2002
  • 실시간 시스템에서 많은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다중처리기 구조가 필수적이 되었다. EDF나 LLA와 같은 기존의 실시간 온라인 스케줄링 알고리즘들은 다중처리기 시스템에서 실시간 태스크들을 스케줄링하는 데 적합하지 않다. EDF의 경우 문맥교환 오버헤드가 낮지만 다중처리기 이상현상을 보이며, LLA의 경우 준최적이지만 문맥교환 오버헤드가 높다. EDZL은 두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일부 해결하였으나 세 개 이상의 처리기에서는 준최적이 아니다. EDA2는 과부하 단계에서 좋은 성능을 보이지만 준최적이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두개의 온라인 스케줄링 알고리즘 ED/LL과 ED2/LL을 제안한다. ED/LL은 다중처리기에서 준최적이며, 정상부하 단계에서 낮은 문맥교환 오버헤드와 높은 성공률을 보인다. 그러나, 시스템이 과부하 상태가 되면 ED/LL은 비효율적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ED2/LL은 정상 부하 단계에서는 ED/LL 또는 EDZL을 사용하고 과부하 단계에서는 EDA2를 사용한다. 실험을 통해 ED2/LL이 정상부하 단계에서는 물론 과부하 단계에서도 좋은 성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