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ek seed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초

식물 및 해양 미세 조류 추출물의 벼 도열병균, Magnaporthe grisea에 대한 항진균 효과 (Antifungal Activity of Plant and Marine Microalgae Extracts Against Rice Blast Fungus, Magnaporthe grisea)

  • 지희윤;조태은
    • 한국균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86-88
    • /
    • 2005
  • 식물과 해양미세조류 추출물의 Magnaporthe grisea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조사하였다. 석류껍질, 부추 씨, 옥수수껍질의 아세톤 추출물은 M. grisea에 대하여 살진균제양상의 높은 항 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석류껍질, 부추 씨, 옥수수껍질 아세톤 추출물들의 M. grisea에 대한 최소 억제 농도는 각각 100 ng/ml, $50\;{\mu}g/ml,\;and\;100\;{\mu}g/ml$이었다. Amphiprora gigantea의 에탄올 추출물은 $100\;{\mu}g/ml$의 최소억제 농도로 M. grisea에 대한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부추(Allium tuberusum) 씨의 이화학적 특성과 항산화 활성 (Chemical Compositions and Antioxidative Activity of Leek (Allium tuberusum) Seeds)

  • 차재영;김성규;김현정;송재영;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273-278
    • /
    • 2000
  • 식용식물 이면서 한방재료로 이용되고 있는 부추의 이용 효율을 증대시킬 목적으로 부추씨의 이화 학적 특성과 수용성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부추씨의 일반적 조성을 보면 조단백질 25.7%, 조지방 16.6%, 조회분 2.9%, 수분 4.4%로 나타났다. 아미노산 조성은 건물 중량 100g 당 proline 11.0 g 으로 가장 높았으며, glutamic acid 4.91 g, arginine 2.12 g, aspartic acid 1.62 g, leucine 1.31 g, valine 1.16 g, methionine 1.15 g 순으로 나타났다. 부추씨의 무기질 성분은 칼륨 215 ppm, 칼슘 142 ppm, 철 124 ppm, 마그네슘 100 ppm 순으로 나타나 칼슘과 철분을 많이 함유하였다. 주요 지방산으로 linoleic acid (C18:2) 71.9%, oleic acid(C18:1) 12.7%, palmitic acid(C16:0) 8.6% 및 stearic acid(C18:0) 1.4% 순 으로 전체의 약 93%를 차지하였다. 부추씨로부터 열침 온도에 따른 총폴리페놀 화합물의 함량 변동은 2$0^{\circ}C$ 추출물에 비해 4$0^{\circ}C$ 추출물에서 27%, 6$0^{\circ}C$ 추출물에서 51% 증가하였다. 부추씨 수용성 추출물을 DPPH 환원법으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한 결과, 부추씨는 BHT 보다 활성이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부추 씨는 아미노산, 무기질 및 지방산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어 영양적인 면에서도 상당한 가치를 가지는 식품재료로 이용될 가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상도 별미김치의 표준화 연구 (Standardizations of Traditional Special Kimchi in Kyungsang Province)

  • 한지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7-38
    • /
    • 1995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andardize ingredient ratio and preparation method of mafor traditional special kimchies in kyungsang province, korea. There were about 35 varieties of special kimchi in Kyungsang province. Six varieties of them such as burdock kimchi, wild leek kimchi, green thread onion kimchi, perilla leaf kimchi, Godulbaegi(Korean wild lettuce) kimchi, and red pepper leaf kimchi were selected, because they tasted good and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their main ingredients were excellent. The ingredient ratios of the selected special kimchi were standardized through surveying hereditary preparation of some families in kyungsang province and using the literatures including cooking books. The standardized ingredient ratio of the burdock kimchi was 15.1 pickled anchovy juice, 6.8 red pepper powder, 5.7 garlic, 2.2 ginger, 18.0 rice flour paste, 13.5 green thread onion, and 1.2 sesame seed in proportion to 100 of burdock. The standardized preparation step of the selected special kimchies was similar except some preprocessing methods of main ingredients. The diagonally cut-up burdock ws usually parboiled or soaked in salted water, then it was mixed with the other ingredients. Wild leek and green thread onion were usually pickled with salt or pickled anchovy juice. Sometimes the green thread onion pickled was dried in the sun. General preprocessing of perilla leaf, Korean wild lettuce, and red pepper leaf was soaking them in salted water for about 5-10 days. Sometimes red pepper leaf was heated with steam and dried in the sun, then it was mixed with the other ingredients.

  • PDF

고랭지 여름출하용 유망 쌈채소 선발 (Selection of Promising 'Ssam' Vegetable for Summer Production in Highland)

  • 장석우;김원배;류경오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9권2호
    • /
    • pp.140-144
    • /
    • 2001
  • 고랭지에 적합한 신소득 작목을 개발하고자 최근에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쌈채소중에서 적근대 등 17종을 공시하였다. 파종은 128공 플러그트레이에 30일간 육묘하였으며 비가림하우스에 정식하여 생육, 특성, 수량 등 제반 수량형질과 쌈으로서의 재배 및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정식시 묘소질은 공시작목 17종 모두 묘상 및 본포 생육은 고랭지 환경조건에서 순조로운 양상을 보였다. 이들 중에서 부추, 삼엽채 및 로메인상추 등의 첫수확은 8월 상중순이었으나 나머지 작목은 7월 10일이었다. 삼엽채 등을 비롯한 11종은 7월 중순-8월 하순에 추대하여 대부분 개화에 도달하였다. 로메인상추, 화채 등 일시수확하는 작목을 제외한 전 작목 모두 월별 수확이 진행됨에 따라 상품엽의 크기가 점차 감소하였으며 9월 수확시에 그 감소 정도가 다소 컸다. 7-9월의 상품수량은 적근대, 적겨자, 겨자채, 청경채, 다채, 로메인상추, 적엽치커리, 적치커리, 녹엽치커리 등 9작목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 PDF

부추김치의 발효숙성에 들깨가루 첨가량이 미치는 영향 (Effect of Various Levels of Perilla Seed Powder on the Fermentation of Puchukimchi)

  • 장명숙;박문옥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32-24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부추김치를 담글 때 최적의 들깨가루 첨가량을 찾기 위한 것으로 부추 무게의 0, 1, 2, 3, 5%의 들깨가루를 첨가하여 부추김치로 담그고, 담근 즉시 1$0^{\circ}C$에서 45일 동안 발효숙성 시키면서 이화학적,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알아보았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와 총산도는 발효숙성 초기에 처리구간에 큰 변화가 없었다. 발효숙성 8일째까지는 들깨가루를 첨가한 구보다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의 발효숙성이 빨리 진행되어 높은 총산도를 나타내었으나, 발효숙성 25일 이후에는 오히려 들깨가루를 첨가한 처리구의 발효숙성이 빠르게 진행되었다. 총 비타민 C 함량은 발효숙성 8일째까지 거의 비슷한 함량을 보이다가 발효숙성 13일에 모든 처리구에서 크게 감소하였는데 특히 들깨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와 들깨가루 1% 첨가구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적은 총 비타민 C함량을 나타내었다. 발효숙성 40일에는 들깨가루 5% 첨가구가 가장 많았으며, 들깨가루를 첨가하지 않은 처리구가 가장 적게 나타났다. 젖산균 수는 발효숙성이 진행되면서 서서히 증가하였는데, 발효숙성 8일과 13일에 모든 처리구에서 크게 증가하였고, 들깨가루 2% 첨가구가 발효숙성 35일 이후부터 45일까지 다른 처리구에 비하여 많은 젖산균 수를 유지하였다. 관능평가 결과 발효숙성 초기인 발효숙성 2일에는 들깨가루 3%와 5% 첨가구를 선호하여 들깨가루의 첨가량이 많은 경우에는 부추김치가 덜 익은 상태에서 높은 기호도를 보였음을 알 수 있었으며, 발효숙성 45일까지 꾸준히 관능적 특성에서 우수한 것은 들깨가루 2% 첨가구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들깨가루는 발효숙성 초기에는 부추김치의 발효숙성을 억제하나, 발효숙성 말기에는 오히려 촉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들깨가루를 첨가하여 부추김치를 담글 때에는 들깨가루를 2%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조선 인조(仁祖)의 질병관리 중 약죽(藥粥)의 적용과 의미에 관한 고찰 - 승정원일기 기록을 중심으로 - (Review of Application of Medicinal Porridges by King-Injo of the Joseon Dynasty - Based on the Records from The Daily Records of the Royal Secretariat of Joseon Dynasty -)

  • 임현정;차웅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38-449
    • /
    • 2013
  • During the Joseon Dynasty, medicinal foods derived from herbs were often more effective than traditional medicines. In addition, the royal family of the Joseon Dynasty believed that foods could be used as various disease treatments. Grain-based foods, especially medicinal porridges (藥粥), were most frequently used for diet therapy. We investigated various types of diet-related diseases suffered by King Injo (仁祖) as well as how the diseases were treated using medicinal porridges based on information in the SeungjeongwonIlgi (承政院日記), which is the daily record of the Royal Secretariat of the Joseon Dynasty. This study examined the SeungjeongwonIlgi of King Injo from his1st year (1623) to 27th year (1649) on a website database maintain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ccording to the records, King Injo suffered from severe diarrhea several times due mainly to febrile disease (煩熱症) as well as abdominal dropsy (脹滿) throughout his entire life. Major diseases affecting King Injo were due to his unhealthy eating habits and psychological factors. For treatment, royal doctors prescribed around 15 medicinal porridges, including nelumbo (seed) porridge (Yeonja-juk), milk porridge (Tarak-juk), Chinese dioscorea porridge (Sanyak-juk), mungbean porridge (Nokdu-juk), perilla seed porridge (Imja-juk), adzuki-bean porridge (Pat-juk), soybean porridge (Kong-juk), Korean-leek porridge (Buchu-juk), and so on, in addition to other medical treatments. Diet therapy using medicinal porridges has been used throughout history since the Joseon Dynasty period. However, knowledge of traditional diet therapy and medicinal porridges used by monarchs in the Joseon Dynasty is insufficient. Therefore, in-depth study is needed to understand the theory of traditional medicinal foods as well as explore their application to patients in the context of modern medicine.

The activity of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as anti-diabetic function

  • Kim, Misook;Kim, Eunji;Kwak, Han Sub;Jeong, Yoonhwa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8권5호
    • /
    • pp.602-606
    • /
    • 2014
  • BACKGROUND/OBJECTIVES: We investigated total 26 ingredients of Saengshik which will be commercially produced as an anti-diabetic dietary supplement. SUBJECTS/METHODS: Thirteen vegetables, nine cereals, three legumes and one seed were extracted with aqueous ethanol for 2 h at $60^{\circ}C$, and evaluated for their inhibitory effects against ${\alpha}$-amylase and ${\alpha}$-glucosidase and for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RESULTS: All ingredients inhibited ${\alpha}$-amylase activity except cabbage. Strong inhibitory activity of ${\alpha}$-amylase was observed in leek, black rice, angelica and barley compared with acarbose as a positive control. Stronger inhibition of ${\alpha}$-glucosidase activity was found in small water dropwort, radish leaves, sorghum and cabbage than acarbose. All Saengshik ingredients suppressed ${\alpha}$-glucosidase activity in the range of 0.3-60.5%. Most ingredients contained total phenols which were in the range of 1.2-229.4 mg gallic acid equivalent/g dried extract. But, total phenolic contents were not observed in carrot, pumpkin and radish. All ingredients contained flavonoid in the range of 11.6-380.7 mg catechin equivalent/g dried extract. CONCLUSIONS: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Saengshik containing these ingredients would be an effective dietary supplement for diabetes.

견육요리(犬肉料理)의 연구(硏究) (I) -문헌고찰(文獻考察)- (A Study on Korean Dog Meat Cooking (I) -Bibliographical Study-)

  • 김태홍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347-356
    • /
    • 1989
  • 1670년부터 1943년까지의 문헌 16권을 통하여 견육(犬肉)요리의 종류, 조리법, 양념, 부재료를 조사한 것은 다음과 같다. 1) 견육(犬肉)요리는 14종류로 분류되며, 연대순으로 보면 ${\ulcorner}$찌는법${\lrcorner}$(증(蒸)) 20회(40%), ${\ulcorner}$견육순대${\lrcorner}$ 1회(2%), ${\ulcorner}$견육꽂이구이느르미${\lrcorner}$ 1회(2%), ${\ulcorner}$견육느르미${\lrcorner}$ 1회(2%), ${\ulcorner}$국(갱(羹),탕(湯))${\lrcorner}$ 12회(24%), ${\ulcorner}$익힌 고기 다시 찌는 법${\lrcorner}$ 4회(8%), ${\ulcorner}$구장${\lrcorner}$(구장(狗醬)) 4회(8%), ${\ulcorner}$구적${\lrcorner}$(구적(狗炙)), ${\ulcorner}$구장과 젖${\lrcorner}$(구장(狗醬)과 해), ${\ulcorner}$구포${\lrcorner}$(구포(狗脯)), ${\ulcorner}$구족초${\lrcorner}$(구족초(狗足炒)),${\ulcorner}$구이진초${\lrcorner}$(구이진초(狗彛唇炒)), ${\ulcorner}$백숙${\lrcorner}$등은 각각 1회(2%)이며 50회 기록되었다. 빈도면에서는 ${\ulcorner}$찌는 법${\lrcorner}$ ${\ulcorner}$${\lrcorner}$ ${\ulcorner}$익힌 고기 다시 찌는 법${\lrcorner}$ ${\ulcorner}$구장${\lrcorner}$의 순으로 ${\ulcorner}$찌는 법${\lrcorner}$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2) 견육요리의 전처리에 있어서 씻는 과정은 내장만 씻고 고기는 씻지 않는 것(52.6%)이 전부를 씻는 것(26.3%)보다 많았고, 내장을 많이(42.1%) 이용하였으며 익히는 과정에서는 거의 쪄낸 후(84.2%) 나름대로의 요리를 만들었고 삶어서 이용한 것은(9.0%) 거의 없었다. 3) 전체 견육요리에 이용된 양념은 22가지이며 그 중 많이 이용된 것은 유장(42.1%), 참깨가루(39.4%), 후추가루(36.8%), 식초(36.8%), 간장(28.9%), 고춧가루(26.3%), 참기름(23.6%), 만초가루(23.6%), 천초가루(23.6%) 등이고, 부재료는 5가지이며 그 중 많이 이용된 것은 파(파의 흰부분과 합함 34.2%)와 미나리(21.0%)이다.

  • PDF

고추 탄저병균(炭疽病菌) Colletotrichum dematium의 기주범위(寄主範圍) 및 대사독소(代謝毒素)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Host Range of Colletotrichum dematium Isolated from Anthracnose of Pepper and Toxic Metabolites Produced by the Pathogen)

  • 강희완;유승헌;박종성
    • 농업과학연구
    • /
    • 제14권1호
    • /
    • pp.26-37
    • /
    • 1987
  • 본(本) 연구(硏究)는 고추탄저병균(炭疽病菌) Colletotrichum dematium의 병원성(病原性)과 기주범위(寄主範圍)를 조사(調査)하고 배양여액(培養濾液)의 식물독성(植物毒性) 및 국부적(局部的)으로 순화(純化)된 독소(毒素)의 생물활성(生物活性)을 조사(調査)하기 위하여 실시(實施)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고추탄저병균(炭疽病菌) Colletotrichum dematium의 기주범위(寄主範圍)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고추뿐만 아니라 대두, 토마토, 시금치, 근대에서 고도(高度)의 감수성(感受性)이 나타났으며, 가지, 수박에서는 중도감수성(中度感受性)이, 파에서는 약(弱)한 감수성(感受性)을 보였으나, 당근, 담배, 오이, 참외에는 전혀 병징(病徵)이 형성(形成)되지 않았다. 이병(罹病) 식물체(植物體)의 병징(病徵)은 흑색반점(黑色斑點), 갈색반점(褐色斑點), 위조(萎凋) 및 잎맥괴사(壞死) 등 다양하게 형성(形成)되었다. 2. 고추탄저병균(炭疽病菌) Colletotrichum dematium의 액체(液體) 배양중(培養中)에 고추 잎에 괴사(壞死) 및 위조증상(萎凋症狀)을 나타내는 독소(毒素)를 생성(生成)함을 알 수 있었다. 배지중(培地中)에 독소생성(毒素生成)은 배양개시(培養開始) 15 일후(日後)에 최대(最大)를 나타냈으며, 진탕배양에 비하여 정치배양(靜置培養)에서 증가(增加)하였다. 3. 배양려액중(培養濾液中)의 독소성분(毒素成分)을 Acetone 침강법(浸降法)으로 분리(分離)하여 국부적(局部的)으로 순화(純化)된 독소(毒素)를 얻었으며 이 독소(毒素)의 Shoot cutting bioassay 법(法)에 의한 고추품종(品種)의 감수성(感受性)은 병원균(病原菌) 접종(接種)에 의한 이병성(罹病性)의 품종간(品種間) 차이(差異)와 일치(一致)하지 않았고, 저항성(抵抗性) 품종(品種)에서도 감수성(感受性) 품종(品種)에서와 비슷한 직물독성(直物毒性)을 나타내었다. 4. Acetone 침강독소(浸降毒素)의 고추 이외의 식물(植物)에 대(對)한 반응(反應)을 조사(調査)하였던 바, 콩(대두(大豆)), 토마토, 당근에서도 잎맥괴사(壞死), 반점(斑點), 위조(萎凋) 등(等)의 독성(毒性)이 나타났다. 5. Acetone 침강독소(浸降毒素)는 고추를 비롯한 오이, 참깨 및 가지 종자(種子)의 발아시(發芽時)에 영향(影響)을 주어 유근(幼根) 및 하배축(下胚軸)의 신장억제(伸長抑制)를 초래하였다.

  • PDF